한국의 인디 뮤직 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용어 정리
1.2. 연구 목적

2. 인디문화의 소개
2.1. 인디란
2.2. 한국의 인디 뮤직 씬
2.2.1. 라이브 클럽의 탄생
2.2.2. 라이브 클럽의 부상
2.2.3. 라이브클럽 합법화 운동

3. 한국의 인디 씬의 현주소
3.1. 한국의 인디씬의 문제점
3.1.1. 자금상의 문제
3.1.2. 기회의 부족
3.1.3. 공연공간의 부재
3.1.4. 인디음악의 획일화

3.2. 한국 인디씬의 발전 방향
3.2.1. 자금적인 지원
3.2.2 공연공간의 확충과 홍보 강화 3.2.3. 프로정신의 요구

4.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과 음악도시로서의 여건조성을 위해 대중음악 종합축제인 2005 광명음악밸리축제를 개최하게 된 것이다. 이 축제에는 인디밴드들뿐만 아니라, 민중음악, 포크, 실용음악 등 대중들이 모르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소개하였다.
3.2.3. 프로정신의 요구
음악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내가 듣거나 읽어본 인터뷰 중에서 제일 흔한 대답은 ‘그저 음악이 좋아서’ 이다. 사실 맞는 말이긴 하지만 내 생각은 틀리다. 이것은 아마추어가 할 대답이다. 프로와 아마추어가 갈라지는 지점은 바로 여기서부터 라고 생각한다. 그냥 좋아서 하는 거라면 결코 음악을 듣고 흥얼거리는 아마추어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한다. 음악을 시작하는 뮤지션들은 그 단계를 뛰어넘어서 창작자의 단계에 이르러야 프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음악은 절대로 쉽지 않다.
클럽밴드들의 생리는 6개월이 보통이다. 취미나 부업으로 밴드를 하거나, 반드시 목숨 걸고 해야 할 필요가 없는 아마추어 밴드로서는 6개월 정도 하다가 힘에 부치면 그만 두려고 한다. 6개월은 음악적으로 그 무엇도 이룰 수 없는 기간이다. 기본이 1년이라곤 하지만 밴드만의 색깔과 그들만의 음악관은 2년이 지나야 완성되는 것이다. 즉 이렇게 인디뮤지션들에게도 프로 정신이 필요하다. 인디음악은 취미로 하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힘들어도 자신만의 음악세계를 추구하고자 하는 직업정신이 발휘되어야 할 때이다.
4. 결론
우리나라 인디 뮤직 씬은 1994년 홍대 앞에 클럽 드럭이 문을 열면서 시작되었다. 드럭은 음악을 들으며 술을 마시는 공간이 전부였던 시절에서 아마추어 밴드가 직접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 공간이 있었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이곳에서 연주를 하던 밴드들이 인기를 얻고, 이후 많은 클럽들이 생겨나게 된다. 그 당시 불법이었던 클럽(음식점) 에서의 공연을 당시 지식인들의 모임이었던 개클련의 노력으로 라이브클럽이 합법화 되었고 한국의 인디 뮤직씬이 발전하는 듯하였다. 그러나 이후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한국의 인디 뮤직 씬은 몇 년째 제자리걸음만 하고 있다. 인디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여러 방안이 논의 되고, 실행되고 있지만 대중의 의식이 변하기 전까지는 크게 변하지 않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종휘 외 4명 (2000), 날아라 밴드 뛰어라 인디, 해냄
박준흠 (1999), 이 땅에서 음악을 한다는 것은, 교보문고
신현준 외 5명 (1996), 얼트 문화와 록 음악, 한나래
장호연 외 2명 (1999), 오프 더 레코드, 인디 록 파일, 문학과지성사
정호영 외 15명 (2000), 맨땅에 헤딩하리, 푸른 미디어
컬쳐뉴스 2007.05.02 [칼럼] ‘2007 인디레이블육성지원사업’ 선정 결과를 보고. 나도원
한겨레신문 1998. 6. 10 이재훈기자.
다음 까페 인디 속 밴드 이야기 http://cafe.daum.net/Indiestory
웹진 가슴 http://www.gaseum.com/
웹진 위브 http://www.weiv.co.kr/
한국 문화 콘텐츠 진흥원 http://www.kocca.or.kr/
*목차
1. 서론
1.1. 용어 정리
1.2. 연구 목적
2. 인디문화의 소개
2.1. 인디란
2.2. 한국의 인디 뮤직 씬
2.2.1. 라이브 클럽의 탄생
2.2.2. 라이브 클럽의 부상
2.2.3. 라이브클럽 합법화 운동
3. 한국의 인디 씬의 현주소
3.1. 한국의 인디씬의 문제점
3.1.1. 자금상의 문제
3.1.2. 기회의 부족
3.1.3. 공연공간의 부재
3.1.4. 인디음악의 획일화
3.2. 한국 인디씬의 발전 방향
3.2.1. 자금적인 지원
3.2.2 공연공간의 확충과 홍보 강화 3.2.3. 프로정신의 요구
4. 결론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0.09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