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와 여자의 언어 차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연구목적

2. 성별어 연구의 이론적 개관
2.1. 성별어 연구의 이론적 관찰
2.1.1. 일반 언어학적 연구
2.1.2. 페미니스트 사회언어학의 연구
2.1.3. 성별에 따른 대화 스타일 차이에 대한 연구
2.2. 한국어 성별어 연구의 흐름
2.2.1. 성별 발화어 연구
2.2.2. 기타

3.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다음은 남성이 화자이고 여성이 청자인 노래가사와 그 반대 경우의 노래가사를 비교한 것이다.
위의 노래가사를 살펴 본 결과 남성화자의 경우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여성청자에게 “너”라는 호칭을 거리낌없이 사용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연인사이이기 때문에, 연인사이로 인정받고 싶어서이다. 즉, 연하의 남성과 연상의 여성이 연인관계로 발전할 경우 나이로 성립되는 일반적 상하관계를 무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것은 연인관계에서도 남성의 권위가 우선시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에 여성화자인 “오빠”의 경우 당당하게 자신이 바라는 것을 요구하면서도 “가져봐”와 같은 수동적 어휘를 선택하고 있다. 한편 “내 남자친구에게”에서는 여성을 자신의 것이라고 지칭하는 “내 여자니까”와는 상반되게 여성화자가 남성의 것이라고 지칭하고 있다.
위 표는 네이버 노래방을 이용하여 가사를 검색한 것을 바탕으로 집계한 것이다. 남성화자의 경우 자신이 주체가 되어 여성을 소유하고자 가사가 많으며 반면에 여성 화자는 남성이 주체가 되어 자신을 소유해 주었으면 하는 노래가사가 더 많이 나타난다. 이를 통하여 남성화자는 능동적임을 여성화자는 수동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위의 두 예를 살펴볼 때, 노래가사 속에 여성과 남성의 사회적 성 역할과 고정관념이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내 여자
나의 여자
(남성화자)
내 남자
나의 남자
(여성화자)
너의 남자
당신의 남자
(남성화자)
너의 여자
당신의 여자
(여성화자)
내 꺼
(남성화자)
내 꺼
(여성화자)
16곡
9곡
8곡
12곡
12곡
5곡
(3) 문학 교육
중고등학교의 국어나 문학 자습서에 나온 글의 개관에서 여성적 어조와 남성적 어조를 구분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 여성어: ~요 체의 유순하고 순종적인 어조 (화자를 낮추는 어법)
예) 김소월의 다수의 시, 한용운,「복종」
남들은 자유를 사랑한다지마는, 나는 복종을 좋아하여요.
자유를 모르는 것은 아니지만, 당신에게는 복종만 하고 싶어요.
- 한용운,「복종」
- 남성어: ~다 체의 단정적이거나 호방하며 의지적인 어조 (화자가 청자와 동등한 관계 이거나 높은 어법)
예) 이육사,「광야」 신동엽,「껍데기는 가라」 유치환,「생명의 서」
내 여기 가난한 노래의 씨를 뿌려라
다시 천고(千古)의 뒤에
백마(白馬)타고 오는 초인(超人)이 있어
이 광야(曠野)에서 목놓아 부르게 하리라
- 이육사, 「광야」
중 고등학교 자습서의 글의 개관 부분을 보면(시나 수필 류), 글의 어조 면에서 여성적 어조, 또는 남성적 어조라고 구분하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학생들에게 국어와 문학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줄 자습서 자체도 성별 언어의 단정과 구분에 대한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를 통해 학습되는 학생들의 머리 속에도 그러한 인식이 고스란히 박힐 수밖에 없는 것이다.
3. 결론
이상으로 어휘적, 담화적, 기타의 예를 통하여 여성어와 남성어의 실태와, 그 사회적 원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어휘적 측면에서는 여성과 남성의 관심정도와 가치관에 따라 즉 그들의 기호에 따라 선호하는 어휘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성은 대화중 형용사와 부사를 많이 사용하고, 맞장구 어구의 사용이 두드러지는 반면 남성은 형용사와 부사등을 욕설로 대신하고 맞장구 어구의 사용이 잘 사용하지 않는다. 대신 남성은 군대용어, 은어, 비속어 등을 많이 사용한다.
둘째, 담화적 측면에서는 여성과 남성의 발화태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여성은 협동적 대화를 지향하고 남성은 경쟁적 대화를 지향하며 그러한 그들의 발화태도는 맞장구와 말 가로채기라는 각각 다른 양상으로 드러난다. 또 여성의 경우 그 종결어미가 애매모호하고 자신의 감정에 대한 보류의 여지를 남기며 자신의 주장이 청유형으로 끝나는 것에 반해, 남성은 그 종결어미가 비교적 확실하고, 자기 주장을 명령형으로 끝내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연인에서 부부관계로의 발전에 있어서 그 둘 사이의 대화는 남성은 하대하고 여성은 존대하는 양상으로 변화해 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로는 기타 측면에서 속담, 노랫말, 문학에서 여성어와 남성어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속담에서는 여성의 언행을 가부장적 질서 위주의 여성비하적인 시선이 많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고, 노랫말에서는 남성화자는 능동적, 여성화자는 수동적으로 그려져 있었다. 또 문학교육에서는 여성적화자, 남성적화자라는 개념을 설정하고 있었다. 그것은 여성어와 남성어의 구분이 사회의 간접적인 영향을 제외하고도 직접적으로 교육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여성어와 남성어는 전통적으로 교육되어오거나 이어져 내려온 가부장적 질서, 즉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이라는 사회적 인식에 많은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하겠다.
※ 참고문헌
박소라(2004), 한국어 남녀 언어 변화에 관한 연구, 언어학 연구94호
민현식(1996), 국어 남녀 언어의 사회언어학적 특성, 사회언어학
이익섭(1994), 사회언어학, 민음사
임홍빈(1993), 국어의 여성어,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이명자(1993), 성별언어에 대한 언어사회학적 고찰「불문화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불문화 연구소
George Allen & Unwin [김선재 역(1961), 언어, 한국 번역도서 주식회사]
Tannen.D.(1990), You Just Don't Understand :Women and Men in Conversation. New York: Ballantine Books [정명진 역(1996) 대화통로 뚫기, 한언]
Lakoff, R(1975), Language and Woman's Place, New York : Harper & Row [강주헌 역(1911), 여자는 왜 아름답게 말해야 하는가, 고려원]
*목차
1. 연구목적
2. 성별어 연구의 이론적 개관
2.1. 성별어 연구의 이론적 관찰
2.1.1. 일반 언어학적 연구
2.1.2. 페미니스트 사회언어학의 연구
2.1.3. 성별에 따른 대화 스타일 차이에 대한 연구
2.2. 한국어 성별어 연구의 흐름
2.2.1. 성별 발화어 연구
2.2.2. 기타
3. 결론
※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10.1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