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구기술, 배구] 배구의 모든 것(배구의 역사와 규칙, 개인기술 및 에티켓)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구기술, 배구] 배구의 모든 것(배구의 역사와 규칙, 개인기술 및 에티켓)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배구의 기원과 역사

2. 우리나라 배구의 역사

3. 배구의 시설과 용구
(1) 배구공
(2) 코트
(3) 네트
(4) 경기 복장

4. 경기방법 및 규칙

5. 배구에서의 자세
(1) 포워드 플레이어
(2) 백 플레이어

6. 개인기술
(1) 풋워크
(2) 패스
(3) 토스
(4) 스파이크
(5) 서브 리시브
(6) 공격 리시브
(7) 블라킹 ???
(8) 서브

7. 배구선수에게 필요한 조건
(1) 체격
(2) 체력
(3) 정신력 ― 성격
(4) 우수한 기술 습득

8. 배구대회

9. 배구경기의 에티켓

10. 배구용어

본문내용

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선수는 재능있고 눈치가 빠르고 침착한 지도력을 갖추어 나아가 토스를 완벽하게 가깝게 함으로써 팀을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
공격을 주로 하는 스파이커는 장신이어야 하고, 스테미너와 점프력이 훌륭해야 하며, 빠른 결단력과 스파이크 능력이 뛰어나야 한다.
리시브를 주로 하는 수비 선수는 뛰는 것이 상당히 발달되어야 하고 파이팅이 강하며, 리시브·토스·서어브에 특히 뛰어나야 할 뿐 아니라 팀이 궁지에 몰렸을 때 극복해 나갈 기력이 있는 선수가 필요하다.
8. 배구대회
국제배구대회는 1913년 필리핀 마닐라(Manila)에서 열린 제1회 극동선수권대회에서 시작되었다. FIVB(Fdration Internationle de Volleyball:국제배구연맹)가 후원하는 세계배구선수권대회는 1949년에는 남자만, 1952년부터는 남녀 모두 개최되었으며, 1964년 도쿄[東京] 올림픽경기대회 때 남녀 경기 모두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FIVB는 국제배구대회를 4년 주기로 개최할 것을 권장했고, 이런 주기는 1969년 월드컵대회로 시작되었다. 월드컵대회는 올림픽경기대회가 열린 이듬해에 열린다. 월드컵대회가 열린 이듬해에는 세계선수권대회가 열리고, 그 이듬해에는 유럽선수권대회·아시아경기대회·아프리카경기대회·범미주경기대회 등 지역대회가 열리며, 그 이듬해에는 다시 올림픽경기대회가 열린다.
그 밖의 세계대회로는 남녀 모두 참가할 수 있는 아시아청소년선수권대회·아시아배구선수권대회·아시아유스배구대회·세계청소년배구선수권대회·세계유스대회가 있다. 또한 남자만 참여할 수 있는 유니버시아드대회와 월드리그 국제남자배구대회가 있으며, 여자만 참여할 수 있는 BCV컵대회와 그랑프리 국제여자배구대회가 있다.
국내경기로는 전국체육대회의 배구경기를 비롯하여 종별배구선수권대회, 한국배구슈퍼리그, 한국실업배구대제전, 전국남녀대학배구선수권대회, 대통령배 전국남녀고등학교배구대회, 춘계전국남녀중고배구연맹전, 박계조배 전국9인제 배구대회 등이 있으며 전국대회 규모의 초등학교 배구대회도 여러 개가 있다.
9. 배구경기의 에티켓
- 경기자들은 "배구 경기 규칙"을 알고 준수하여야 한다.
- 경기자들은 심판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거나 자기편이 저지른 반칙을 모면하기 위한 행 위나 태도를 보여서는 안된다.
- 페어 플레이 20.2.1 경기자들은 페어플레이 정신에 입각하여, 심판들뿐만 아니라 임원, 상대편, 팀 동료 및 관중에 대해 정중하고 예의바르게 행동하여야 한다.
- 경기중에 팀 경기자들 사이의 의사전달은 가능하다.
- 서브전에 주심에게 목례로 인사하기
- 네트를 사이에 두고 상대방에게 위협을 하거나 모욕하지 않기
- 상대방의 플레이를 방해하는 행동(예를 들어 소리를 지르거나) 하지 않기
- 자신의 반칙(예를 들면 터치아웃) 인정하기
- 심판의 판정에 승복하기
- 기타 규칙을 잘 지키고 규정된 옷(유니폼)과 신발을 신는다.
10. 배구 용어
- 오버핸드 패스: 세트업의 기본 기술로서 대게 자신의 머리 위에서 공을 처리하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보낼 수 있다.
- 언더핸드 패스: 허리보다 낮게 들어오는 공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패스로, 상대방의 서브나 공격을 리시브 할 때 효과적
- 세트 업: 공격수가 공격하기 쉽게 네트 근처로 공을 올려주는 기술
- 오픈 세트업: 높고 길게 보내는 세트 업으로 주로 강력한 스파이크를 하기위한 세트업
- 평형 세트업: 길게 보내는 것은 오픈 세트업과 같지만, 공을 직선으로 빠르게 보내는 세트업이다.
- 언더핸드 서브: 가장쉽고 안전한 방법(아래에서 위로 공을 칠때 손목으로)
- 플랫 서브: 머리위에서 공을 치는 방법
- 스파이크 : 세터가 세트업한 공을 공격자가 달려들어가 점프하여 네트 위에서 상대방의 코트로 내려꽃는 기술.
- 블로킹 : 상대방의 공격을 네트 근처에서 차단하는 것
- 서브: 공격하는 사람이 서브권을 갖고 상대방에게 공격을 할 수 있게 자기 진영 뒤 라인 밖에서 공을 넘기는 행위
- 리시브 : 서브권을 갖지 않은 사람이 서브권을 갖고 공을 넘기면 상대방이 넘긴 공을 받는 행위
- 토스: 리시브 된 공을 자신의 공격수에게 공격을 할 수 있게 볼을 올려주는 행위
- A속공: 보통 세터의 근거리 좌측 또는 우측, 앞에서 세터가 넘겨준 공을 빠르게 공격하는 것
- B속공 : A속공보다는 조금 먼 거리에서 빠르게 공격하는 행위
- C속공: B속공 보다 먼 거리 세터를 중심으로 레프트, 라이트끝에서 공격하는 행위
- 오픈공격 : 블러킹의 방해 없이 세터가 토스한 공을 공격하는 행위
- 시간차 : 블러커의 타이밍을 빼앗기 위해 공격수 2,3명이 위장 점프하고 최종 공격수가 안전하게 공격하는 행위
- 이동공격 : 공격수가 세터의 토스와 동시에 자기의 자리에서 이동하여 점프 공격
- 백어택 : 후방으로 포지션이 로테이션 되면 공격수는 공격라인 안으로 들어와 공격을 할 수 없기에 공격라인 밖에서 점프 공격하는 행위
- 페스페인팅 : 세터의 위장 공격술로 자신의 공격수에게 토스하는 척하면서, 상대방 빈자리를 보고 살짝 손끝으로 밀어넣는 행위
- 블로킹: 공격수가 상대방의 코트에 공격을 하는 것을 점프하여 네트위에서 방어하는 행위
- 디그 : 수비로 스파이크를 받아내는 것
- 드리블 : 수비수 또는 공격수가 공을 두번 건드리는 행위
- 홀딩 : 배구공을 손으로 잡은 것
- 넷터치 : 공격수나 수비수 가운데 쳐놓은 그물을 손 또는 몸으로 만지는 행위
- 오버타임 : 공격수나 수비수가 세 번 이상 가지고 상대방에게 넘기지 못하면 자동 공격권이나 점수를 잃게 됨
- 어택라인침범 : 공격수가 후방으로 수비를 하러 가면 공격라인 안으로 들어와 공격을 할 수 없음.
- 서브미스 : 공격하는 사람이 서브를 넣었는데, 받지 못하는 경우
- 서브득점: 서브를 넣었는데 상대방이 받지 못하면 서브넣은 편이 점수를 올리는 것
- 포지션폴트 : 서브를 받고 공격을 하여 성공하면 자리를 이동하는데 자리를 이동하지 않은 것
- 작전타임 : 경기 중 감독이 작전지시 또는 작전회의를 공식적으로 규정 해두어 벤치에서 회의를 할 수 있는 시간
  • 가격1,4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10.1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