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속의 한국건축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궁전과 도성
2)사원
3)산성
4)교량과 제방

일본에 전해진 백제 불교 건축

1. 아스카지(飛鳥寺)
2. 시텐노지(四天王寺)
3. 호류지(法隆寺)

본문내용

백제의 건축술은 왕궁 축조부터 시작해서 왕릉과 대규모 토목공사인 산성축조에까지 일본에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근거는 문헌기록과 유적, 유물 등을 기반으로 알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불교건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문헌에서는 일본서기에 기술된 백제에서 일본으로의 조사공(造寺工)과 와박사(瓦博士)가 파견했다는 사실과 유적에서는 사택불교에서 가람불교로 사찰건물 배치가 변모하는 데에 미친 백제의 장인들의 영향 등에서 그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일본이 우리나라의 영향 받은 흔적을 발견한 것을 바탕으로 한국의 고대문화가 일본보다 더 우월하다고 할 수는 없으며 과거의 일은 기록과 유물에 의존한 것이니만큼 확실하지가 않고 지금만큼 국가에 대한 개념이 뚜렷했다고 하기도 힘들다. 또한 교류에 제약도 지금과 같지 않았을 것이고 일본은 우리뿐만 아니라 중국이나 다른 나라의 영향도 받았을 것이 분명하다. 한반도 고대 국가 역시 일본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도 많을 것이다. 따라서 주제에 대해 심도 있게 조사 하자면 그 구분을 정확히 하기가 어려울 수가 있다. 아래는 그런 것을 떠나 단순히 관계가 있는 것으로 선택해 조사하였다.
그 동안은 단순히 일본 고대문화 형성에 한반도 고대국가의 영향을 받았다고만 알았다면 이번 건축문화의 조사를 통해 영향을 받은 건축물은 무엇이 있는지,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알아보고,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되는 불교건축에 대해서 자세히 조사해 보도록 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8.10.21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4867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