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관절 질환(IDK.슬내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슬관절 질환(IDK.슬내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의
2.해부학적 구조
3.원인에 따른 분석
(1) 반월상 연골 손상(injury of the meniscus)
관절경(arthroscopy) 검사
(2) 측부인대 손상 (injury of the collateral ligament)
(3) 십자인대 손상(injury of the cruciate ligament)
(4)관절내 유리체(loose body, joint mouse)
(5) 원판형반월상 연골 (discoid meniscus)
(6) Osteochondritis dissecans (박리성 골연골염)
(7) 반월상 연골낭종 (meniscus cyst)
4.진단방법 치료
5. 슬관절수술 후 재활운동(Early post-operative exercises)
6. 무릎 수술에 따른 수술 후 계획표

본문내용

보다 ) 관절경 수술이란 약 5mm 직경의 가늘고 긴 연필같이 생긴 관절경(Arthroscope)이란 기구를 피부의 작은 절개를 통하여 관절안에 삽입하고 여기에 작은 TV카메라를 부착시켜 모니터에 연결하여 관절내부를 모니터를 통하여 보면서 관절내 병변을 진단하고 동시에 병변에 대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는 수술적 기법이다. 관절 속에 넣는 관은 가장 굵은 것이 7.5mm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관절에 1cm 정도의 구멍을 내고도 충분히 속을 들여다 볼 수 있다.
구멍을 내는 숫자는 어디를 보고 어떤 수술을 하는가에 따라 달라지나 관절경을 집어 넣고 물로 세척도 해야 하기 때문에 최소 3개 이상이 필요하며, 수술을 하기 위한 조그마한 기구들이 잘 발달되어 무릎 관절 속에서 시행되는 대부분의 수술, 즉 슬내장에 해당되는 연골판이나 십자인대에 대한 수술 뿐만 아니라 관절연골 수술, 활약막 수술 및 관절 골절 수술도 시행할 수 있다.
관절경이 처음 개발되었을 때는 눈으로 직접 보아 불편하였으나 최근에는 TV 모니터로 볼 수 있어서 편리하고 사진을 찍어 기록하거나 비디오로 녹화를 할 수도 있다.(그림 1-2). 마취는 국소 마취에서 전신 마취에 이르기까지 가능하다.
2)관절경 수술의 장단점
①관절경 수술의 장점
-수술 후 통증이 적다.
-주위 정상 조직에 손상이 적어 회복이 빠르다.
-X-ray 및 MRI로 발견되지 않는 병변을 찾아낼 수 있다.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가능하다.
-확대된 상을 눈으로 보기 때문에 진단이 정확하다.
-상처를 적게 내어 수술 후 회복이 빨라 입원기간이 짧아 치료비용이 적게 든다.
-작은 수술 기구들이 잘 발달되어 손으로 하기 힘든 세밀한 조작도 할 수 있다.
②관절경 수술의 단점
-관절경으로 잘 안 보이는 부분이 있고 관절경에 숙달 되지 않으면 오히려 관절에 상처를 더 줄 수있다.
5. 슬관절수술 후 재활운동(Early post-operative exercises)
1) CPM (continuous passive motion)
굴곡, 신전 운동을 하며 점차 각도를 늘려간다.
2) 대퇴 사두근 강화운동(Quadriceps isometric :quad sets, SLR)
- Knee straightening exercises
- Ankle pumps
- Straight Leg Raise : 수술한 다리를 끝까지 펴고 누워서 발끝에 힘을 주고, 천천히 다리를 끝까지 들어 올린 상태에서 다섯까지 세고, 천천히 다리를 내린다.
- Bed supported knee bends
- Terminal Knee Extension, Supine : 침대에 앉아서 발목에 수건 또는 베개를 대고
손으로 무릎을 천천히 눌러 무릎 뒤가 바닥에 최대한 닿을 수 있도록 한다.
- Short Arc Quads : 수술한 다리를 펴고, 수술 안한 다리는 적당히 구부린 상태에서 수술한 다리의 무릎 밑에 roll을 놓은 상태에서 천천히 수술한 다리를 발끝까지 힘을 주어 들어올리고, 끝까지 편 상태에서 다섯까지 쉬고, 다시 다리를 내린다.
3) 무릎 굽히기 운동
침대나 의자에 걸터앉아 무릎을 굽히는 운동을 시행한다.
자신이 매일 굽혀지는 정도를 측정하여 무릅 굽히는 운동범위가 향상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Sitting Supported Knee Bends) (Sitting Unsupported Knee Bends)
6. 무릎 수술에 따른 수술 후 계획표
구분
보조기착용
관절운동
목발사용
재활
ACLR
수술후 6주간착용
(수면과 보행시 0′)
수술 후 바로 CPM시행
→6주이내 최소90′
→3개월내 135′
무릎의 신전이 중요
(무릎을 완전히 편상태로 보행)
수술 후 3주까지 사용
→그 후 검사결과에 따라 추가사용결정
partial weightbearing
.3주째-운동치료시작
.6개월-가벼운운동 (ex.수영, 자전거,조깅)
9~12개월- 근기능 검사에 따라 스포츠 활동복귀 가능
ACRL +repair
6주간 보조기 착용
(수면과 보행시 0′)
수술 후 3주뒤 CPM시행
→6주까지90′를 목표
(90′이상 구부리지 마세요)
수술 후 3개월까지 135′
(이후에는 완전히 구부리기)
수술 후 6주까지 체중부하 금지
6~8주
: 부분적 체중부하
8주
: 전체 체중부하 가능
.3개월-수영, 자전거 가능
4~5개월 -가벼운 조깅허용
9~12개월- 근기능 검사에 따라 스포츠 활동복귀 가능
Meniscus repair
6주간 보조기 착용
수술 후 3주뒤 CPM시행
→6주까지90′를 목표
(90′이상 구부리지 마세요)
수술 후 3개월까지 135′
(이후에는 완전히 구부리기)
6주 까지
: 보조기 0 ′고정목발이용
(체중부하 절대금지)
6~8주
:보조기풀고 목발보행, 부분적 체중부하
8주부터
: 전체 체중부하 가능 목발제거
.3개월- 수영, 자전거 가능
4~5개월 -가벼운 조깅허용
6개월- 근기능 검사에 따라 스포츠 활동복귀 가능
PCRL
수술후3주까지 반깁스 0′유지
3주후 보조기로 교체
3개월간착용
수술 후 3주뒤 CPM시행
→6주까지90′를 목표
(90′이상 구부리지 마세요)
→반드시 엎드려서시행
수술 후 3개월까지 135′
3개월이후
: 완전히 구부리기
3주 까지 반깁스하고
목발이용
(체중부하 절대금지)
.3~6주
; 반깁스 풀고 보조기 0′ 고정후 목발보행, (부분적 체중부하가능)
6주이후부터
:0′맞춘상태로목발이용 (전체 체중부하 가능)
3개월 이후
: 보조기 없이 보행
목발제거
.6개월- 조깅 수영가능
(자전거 타기는1년이후부터)
9~12개월-근기능 검사에 따라 스포츠 활동복귀 가능
Menis-
cectomy
없음
각도 제한없이 자유롭게 보행
수술 후 3주까지 사용
→가능한 정도의 체중 부하
(3주이후 목발없이
전체 체중부하를 목표로함)
.3주- 가벼운 운동 가능
(수영, 자전거,조깅)
3개월 -근기능 검사에 따라 스포츠 활동복귀 가능
Ⅳ. Reference
정형외과학(2004) 대한정형외과학회 p497~p573
임상정형외가학개론(2002) 박정태외 현문사 p441-449
해부생리학(2001) 김시동 p112~p133
슬관절(2003) 김려섭

키워드

슬관절,   슬내장,   athroscopy,   연골,   ACL,   idk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0.26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5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