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여성운동의 역사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와 문제점, 그리고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여성운동
1) 여성운동이란?
2) 여성운동의 양상
2.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
1) 1945년 8월 해방 전까지의 여성운동
2) 해방 이후 전개된 여성운동
3) 1950년대의 여성운동
4)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여성운동
5) 1980년대 여성운동
6) 1990년대 여성운동
3. 한국 여성운동의 문제점과 과제
1) 대중의 이해도 미비
2) 여성운동의 높은 지위
3) 여성가족부에 대한 반감

Ⅲ. 결론

본문내용

만들어줘 왜 자신 없나 그렇게 못할 바엔 여성부 다 해체 시키던가 국민 평등부로 전환 시키던가 할 껀 하고서 권리를 주장해 우리아버지가 낸 혈세를 왜 여자들 위한 일에만 쓰는 건데 왜 내가 이런 걸로 Rap하니까 유치하냐? 그럼 너희들 하는 그 짓거리는 또 뭐냐 페미니즘이야 휴머니즘이야? 누굴 위한 평등인가 누굴 위한 행정인가남녀평등 그보다 더 국민평등 해결하라 (박삿갓. 2003. “누굴 위한 행정인가”)
위 박스 안에 들어있는 것은 2003년에 가수 박삿갓이 발표한 〈보석보다 자석〉앨범의 수록곡 “누굴 위한 행정인가”의 가사이다. 곡의 가사를 잘 보면 양성평등을 말하면서 오로지 여성의 권익만을 추구하는 여성부(현 여성가족부)에 대한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곡은 인터넷 상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 여성가족부의 방만한 운영이 여성운동자체의 이미지를 흐리고 있는 것이다. 이 뿐만이 아니다. 인터넷에서 ‘여성부’를 검색해보면, 여성가족부의 폐지를 주장하는 글들이 수십 개가 검색된다. 왜 없애야 하는지에 대한 이유를 조목조목 짚어내는 글들도 제법 많다. 재정운영 자료제출을 거부해서 검찰에 고소당하는 등의 여성가족부의 추태는 여성가족부의 존재의미자체를 흐리게 할 뿐만 아니라 여성운동과 여성운동가들을 폄하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자신들의 한국의 여성운동을 대표하고 있다는 것에 대한 자각과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여성가족부 폐지 서명운동에 3일 만에 5만여 명이 서명하는 상황을 두고 ‘이벤트 하나 가지고 섭섭하다’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라 ‘왜 이런 상황이 왔는가’라고 자문할 수 있어야 한다. 여성가족부가 합리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투명하게 예산을 운영하며, 권리는 함께 나누어야 한다는 사상으로 일반 시민들의 공감을 이끌어 낼 수 있을 때 여성운동이 일반 시민들에게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Ⅲ. 결론
이제까지 한국 여성운동의 역사와 문제점, 풀어야할 과제를 살펴보았다. 한국 여성운동은 20여년에 불과한 짧은 기간 동안 다른 나라에서조차 관심을 기울일 정도로 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장기적인 시각의 부재와 현안 해결에 급급하여 스스로 위기를 초래하였다. 굵직한 쟁점이 해결됨으로써 여성운동 내부에서 분열이 일어나고 있고, 운동 지도자들의 방만함이 여성운동에 대한 반감을 키워냈다. 그러나 한국의 여성운동이 이제 겨우 20여년을 지냈을 뿐인 신생운동임을 떠올려 보았을 때 앞으로 이러한 문제들이 개선될 여지는 충분해 보인다. 여성운동이란 궁극적으로 양성평등을 위한 운동이고 또한 인간 모두의 평등과 해방을 위한 운동임을 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납득하고 이해하게 될 때 더 이상 여성운동은 필요가 없게 될 것이다.
참고문헌
박진숙. 2001.12. “미국 여성운동과 한국 여성운동의 비교 試論” 『여성학논집』18집pp.73~103
서미라. 2002.02 “정치적 기회구조의 변화와 '진보적' 여성운동의 제도화 :<한국여성단체연합>을 중심으로”『성공회대 시민사회복지대학원』129p.
장미경. 2000a. “80, 90년대 여성운동에 나타난 운동론 쟁점들”. 『석순』17집
조희연. 2001a. 「NGO가이드」. 한겨레신문사. p.284
- 인터넷 사이트
김윤덕 기자. 2007.03.04 "여성운동, 더 낮은 자리로 내려가야"
http://www.tagstory.com/video/video_post.aspx?media_id=V000029311&feed=NV
네이버 백과사전 http;//www.naver.com
여성가족부 홈페이지 http://www.mogef.go.kr
한국여성단체협의회 홈페이지 http://www.kncw.or.kr
  • 가격1,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0.31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5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