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시대를 읽고 독후감 쓴 내용입니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얽힌걸 풀지 못하고 결국 정신치료를 위해 요양소에 입원하게 되고..거기서 또 한명의 인물을 만나게 된다..레이코라는 중년의 여인이다..이미 많은걸 잃은 여자이다..
난 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 나오코의 죽음을 슬퍼하는 와타나베와 레이코가 그 슬픔을 서로의 육신으로 달래는게 너무나 이해가 되지 않는다. 너무나 직설적인 섹스장면도 어두움 상황도 책의 완성도를 위해 필요하겠지만 마지막 와타나베와 레이코의 섹스장면은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미도리를 찾는 와타나베의 모습도.. 하지만 중요한걸 잃은 후 기댈 수 있고 다시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남기는걸 잊지 않은 건 참 다행이라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참으로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긴 하지만 문장문장 표현을 참 대단하다는건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무라카미 하루키씨의 소설을 더 읽어봐야 무엇을 추구하는 것인지 알수 있지 않을까 싶어 다른 책을 넘기고 있다.
하루키의 소설은 슬픔과 깊은 정신적 상실감이 젖어 있다. 그의 소설은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 1973 핀볼, 일각수의 꿈, 그리고 그의 단편 반딧불외 다수'- '나'라는 주인공이 격는 일상적 삶의 느낌을 적은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일상적 느낌은 환상의 세계와 현실세계 두 가지의 세계를 함께 넘나들면서 표현되고 있다.
노르웨이의 숲은 '나오코', '미도리'라는 상반되는 두 여성을 등장시켜서 '나'라는 주인공이 어느 쪽을 선택하느냐는 기본적인 문제로부터 출발한다. 여기서 '나오코'는 상처받은 마음의 소유자로 어린 시절 자신의 친구였던- 물론 와카나베('나'의 이름)의 친구이기도 한- 다즈키의 죽음으로 인해 자신의 세계를 파괴당한 체로 방황하는 여성이다. 그러는 그녀에게 '나'는 따뜻한 옛 친구로 다가가지만 그 둘 사이에는 항상 죽은 친구의 잔상이 따라다닌다. 그리고 급기야 '나오코'의 생일날 나는 '나오코'의 유체적인 면을 소유하게 되나 정신적인 면에서 나오코에게 버림받는다. 그들이 가까워진 것은 하나의 끊을 수 없는 운명이었으나 '나오코'는 그 당신 정신적으로 기댈 사람이 필요한 것이었기에 '나'는 그만 나오코에게 커다란 상처만을 안겨주고 만다. 그러는 나에게 미도리는 천진 난만한 모습으로 다가온다. 같은 대학에 다니는 그녀는 항상 어딘지 모를 순종적인 면으로 남자를 편안하게 해주는 성격을 가졌는데, '나오코'가 정신 요양원으로 간 혼란의 순간 나의 마음을 위로해주는 반쪽 역할을 한다. 그러나 나의 내면에는 항상 나오코의 존재가 남아있다. 그리고 나는 그것을 인식하게 된다. 나오코의 죽음은 나에게 내면적 사랑의 상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죽음은 진지한 어투로 전개되지 않고 그냥 잔잔한 필체로 그려진다.
바로 작가는 인간의 죽음이라는 극단적 표현을 사용하기는 하나 죽음이라는 것에 허무감, 상실감 이외의 어떠한 의미도 담지 않고 있다. 그것이 바로 이 소설을 읽으면서 사람들이 삶의 허무 '죽음'이라는 암흑의 세계를 낭만적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고 생각된다. 하루키는 중간중간 아주 사소한 일을 넣거나 일반적 상식으로는 해석할 수 없는 행위 또는 사건들을 집어넣는다. 이러한 소재들은 그러나 독자에게 거부감으로 다가오기보다는 새로운 소설의 맛을 느끼게 한다. 그것이 하루키가 말하는 진진한 삶이라면 오히려 그의 문학에서 글쓰는 의도에서 벗어나는 하나의 투정과도 같다.
이러한 하루키의 소설이 현대의 젊은이들에게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서 초유의 베스트 셀러가 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흔히 말하는 신세대의 생활을 생각을 잘 집어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그의 소설을 보면, 우선 일본 내에서 애정소설에 주류를 이르는 불륜이나 사회적 폭력 등의 내용에서 벗어나 신세대들이 말하는 소위 자신들만의 삶, 즉 심각하지 않고 가볍게 세상을 보는 삶을 소개했기 때문이라 보인다. 그러면서도 그의 소설은 신비성을 더해주는 소재나 표현으로 참신성을 더하는 이중적인 면을 지니고 있다.
하루키는 뛰어난 감각을 지닌 작가임은 틀림없다. 그러나 그의 소설에서 들어나는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내용은 너무 이상적이거나 허무주의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칫 사회에서 멀어진 소설로 되기가 쉽다. 그리고 너무 신세대의 감각에 맞는 소설을 쓰다보니 사회적 인식이나 일상적인 삶의 내용에서 멀어지는 내용이 많아지게 되었다. 소설이 사회를 비치는 창의 역할을 한다면 그의 소설은 그저 사회에서 살아가는 젊은이들의 심정내지는 일시적 감정을 대변하는 정도의 역할밖에 하지 못한다고 본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1.1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11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