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sseau와 Pestalozzi의 생애와 교육사상 비교 연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Rousseau와 Pestalozzi의 생애와 교육사상 비교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문제 및 연구 방법

Ⅱ. Rousseau의 교육사상
1. Rousseau의 생애(生涯)
2. Rousseau의 교육사상
가. ‘자연’에 대한 개념
나. 교육의 3요소
다. 인간도야의 이념
3. 에밀에 나타난 교육사상

Ⅲ. Pestalozzi의 교육사상
1. Pestalozzi 생애(生涯)
가. Neuhof시대
나. Stanz시대 다. Burgdorf 시대
라. Iferten시대
2. Pestalozzi의 교육사상
가. 사상적 배경
나. 교육사상
다. 교육목적

Ⅳ. Rousseau와 Pestalozzi의 교육 사상의 시사점.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혼란을 가져오게 하는 경우가 생긴다. 그러나 그와 같은 모순은 인간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볼 때 Rousseau의 열렬한 자연주의사상은 그 시대에 큰 경각심을 던져 준 혜성의 역할을 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셋째로, 그의 교육론은 이상적인 점을 긍정하면서도 현대사회에 적용하기에는 현실적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한 아이에 한 교사가 늘 같이하면서 교육을 실시하는 일은 현실하회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특히 현대교육의 특징이 교육의 대중화라는 관전에서 볼 때 교사한 사람이 학생 한사람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교육공학의 힘을 빌려서 한꺼번에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면서도 개인의 능력이나 소질·진도 등에 맞추어서 개인화한 지도를 어떻게 하여야 효율적인가에 대한 관심이 더 커가고 있다.
Rousseau 자신은 다른 서술에서 공교육문제를 생각하고 이상적인 공교육제도를 제시해보기도 하였으나, 결국 학교교육이 이상적인 교육을 실시하기는 어렵다고 생각하고 진정한 의미의 교육은 한 인간이 쏟는 정열과 정성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강조하였던 것이다. 결국 Rousseau는 실천을 수반하지 않는 교육의 이상을 에밀이라는 가공적인 어린이를 선정하여 꾸민 교육사상가라고 하겠다.
하지만 Rousseau는 현대 교육에 있어서의 아동의 발견과 자연적 과정의 적용을 강조하는 진보주의 교육의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 아동의 개성의 존중, 아동의 자유로운 활동, 경험을 통한 교육 등등 듀이를 중심으로 하는 진보주의 교육자들의 주장은 이미 Rousseau에 의해서 그 기반이 굳혀졌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의의는 매우 큰 것이라 할 수 있다.
진보주의 교육사상가들도 Rousseau가 주장하였던 바와 같이 정치적, 정신적으로 자유로운 곳에서는 개인을 교육의 주체로 삼았다. 여기에서 개인은 국가보다 우위에 두는 교육이 된다. 민주국가의 교육은 개인과 자유, 개성의 신장을 존중한다. 이런 이상이 존재하는 곳에서 여전히 Rousseau의 에밀정신을 살아 있는 것이다.
한편, Pestalozzi는 유럽 산업혁명 이후 몰락해가는 농민과 도시 빈민의 인간이하의 삶에 대하여 큰 관심을 가지고 이들이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길을 교육을 통하여 모색하였다. 특히 Rousseau가 어린이의 고유성에 입각하여 어린이를 발견하였다는 점과 비교하여 교육사상 그의 위치를 높이 평가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는 교육방법을 심리화.과학화하는데 노력한 사람이다. 뿐만 아니라 그는 교육의 진지한 연구가이자 인간애의 충만으로 교육활동을 사랑으로 실천했던 사람이다. 그는 이처럼 사회적으로 외면 당하고 소외받는 대중교육의 선구자로서 초등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개선에 기여하였다.
그러나 그는 교육의 실천상에서 다음과 같은 비판을 피할 수 없다. 첫째, 교수의 심리화 과학화의 노력은 때때로 교수의 기계화의 결과를 가져왔다. 둘째, 직관에의 노력은 때때로 교육내용이 중시되어 사회 문화적인 면이 외면되었다. 따라서 Pestalozzi의 교육사상은 과학적인 검증보다 자신의 주관적인 견해에 좌우되고 말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Pestalozzi의 교육사상은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그들은 독일의 Herbart, Froebel, Fichte, Humbolt, Natorp이며, 프랑스의 기조, 영국의 Mayo남매, 미국의 Parker 등이라고 볼 수 있다.
Pestalozzi의 교육은 Rousseau의 자연 주의사상적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빈민학교의 운영과 고아원 교육활동등들을 통하여 실천으로 이어졌다. 이를 통하여 볼 때 Rousseau의 교육이 개인주의적 철학에 바탕을 둔 인간의 완성에 의미를 가진 것이라면 Pestalozzi의 교육은 사회를 수용 또는 사회 공동체 생활을 통한 인간의 계발에 목적을 부여한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V. 결론
루소의 휴머니즘적 자연주의 교육은 시대를 초월해서 오늘날에도 유용한 교육원리이다. 물론 그의 교육사상이 현대 사회에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겠으나, 최소한 인간성 회복을 위한 교육의 방향성에 있어서 만큼은 루소의 교육사상에서 많은 것을 수용할 수 있다. 루소의 '낭만적 자연'을 현대적 의미로 해석하면 '진솔성'이고 인문주의자들의 비판과는 달리 물질주의로 귀결될 수 없는 루소의 이상적, 인간주의적 자연주의 교육사상은 구체적으로 실현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능동적으로 자세한 검토와 연구를 통하여 현대 교육상황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방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전 생애를 통하여 온갖 역경을 참으면서 교육자로서의 참뜻을 굽히지 않았던 페스탈로치의 삶은 교육자가 진정으로 어떠해야 함을 보여 준다. 교육이 진심으로 어린이를 사랑하고 신뢰하는 마음에서 출발해야 한 인간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교육자적 삶이 주는 시사점이다. 현재 우리의 교육 풍토를 살펴보면 교육을 위해 어린이가 존재하는 것처럼 여겨질 때가 있다. 어린이 각자의 내면에 깃든 잠재적 능력을 자연스럽게 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교육이 진정으로 필요할 때이고 교육이 인간을 옭아매는 도구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참 고 문 헌
김경식 (1991). 교육사철학강의, 교육과학사.
김수동 (1997).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도서출판 문음사.
노상우 (1998). 교육의 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손정수 (1990). 에밀, 배제서관.
안인희 (1992). Rousseau의 자연 교육사상, 이화여대 출판부.
안인희 (1997). Rousseau의 교육론 에밀, 도서출판 서원.
이화선 (1993). Pestalozzi의 實踐的 교육에 영향을 미친 Rousseau의 교육이론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찬익 (1987). Rousseau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서울교대 논문 전집.
최정웅 (1997). Rousseau의 교육사상, 배영사 교육신서 14.
김정환 (1983). 페스탈로찌의 교육사상, 고려대학교.
황보용 (1995). Pestalozzi의 全人敎育思想 硏究,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11.27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65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