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왜 WWE에 열광 하는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WWE란?
(2) 연구 목적 및 방법

2. WWE의 과거와 현재
(1) 역사와 탄생
(2) 위기 상황들과 극복
(3) 전 세계로 뻗어가는 WWE

3. 사람들이 WWE에 열광하는 이유
(1) 화려한 쇼맨십
(2) 대리만족 캐릭터
(3) 디바의 등장
(4) 유명 선수들의 두터운 팬층 형성

4.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
(1) 내용적 측면
➀ 다양한 매치
➁ 새로운 기술
➂ 캐릭터 양성
(2) 가격 정책
(3) 부차 산업
➀ Pay Per View
➁ 브랜드 산업
➂ 세계 투어 및 자선사업

5. 결론
(1) 요약
(2) WWE 산업의 취약점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6. 참고자료

본문내용

및 Asia, South Africa, Australia, New Zealand까지 확장하였다.
로고와 이미지가 의류, 완구류, 비디오게임, 음악CD등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되어 Wal-Mart, K-Mart, Toys R Us, KayBee Toys, AAFES, and 7-Eleven등 미국 내의 대형회사와 함께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출판 업계 에서는 유명 레슬러의 자서전 형식의 책들과 RAW와 SMACKDOWN 두 종류로 연간 13회씩 발간하는 잡지, 연간 6개로 특별히 제작 하고 있는 Special Magazine과 Mini-Magazine를 발행하고 있다.
이 밖에도 2004년에는 3개의 Double DVD를 포함하여 15개의 VHS와 DVD를 제작하였고,
Gamecube, X-box, PS2등 여러 메이저 콘솔업체와 협력하여 1600만개의 비디오 게임기가 만들어졌다.
세계 투어 및 자선사업
WWE는 전 세계를 투어하면서 WWE라는 산업의 위대함을 알리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아시아 투어, 유럽투어, 남미투어 등 각 나라를 방문하면서 그들의 산업을 알리고 흥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3년 첫 한국 방문으로 2004, 2005년에도 한국 투어를 가졌었다. 또한 자선사업을 통해 불우이웃을 돕기 위한 자선모금 및 행사를 실시하고, 선수들의 연봉일부를 의무적으로 기부하도록 하여 비영리 단체를 도움을 주고 있다. 그리고 이라크 파병군인들을 위문하거나 장애인 아동시설을 방문하여 그들과 함께 하고 좋은 시간을 보냄으로서 그들이 받았던 사랑을 되돌려 주는 환원의 의미로서 좋은 이미지를 유지하고 있다.
5. 결론
(1) 요약
지금까지 WWE의 역사와 그 엄청난 인기의 비결, 그리고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다. WWE가 만들어 지기 까지 과정들과 위기의 상황들은 너무나도 많아서 본고에서 일일이 다 다루지는 못했으나 중요한 점은 WWE가 그 많은 사건들과 위기들을 지혜롭게 혹은 매우 영악하게 극복해 나갔다는 것이다. 그 중심엔 현재 WWE의 CEO인 빈스 맥마흔이 있었고, 빈스 맥마흔은 레슬링을 하나의 엔터테인먼트로 발전시킨 주역이기도 하다.
빈스 맥마흔의 WWE 사업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그는 기존의 진부한 레슬링에 화려한 쇼맨십을 가미하고, 디바를 등장시키며 WWE를 미국 최고의 인기 스포츠로 자리매김 시킨다. 관중들은 WWE의 화려한 무대에 매료됐고, 여러 선수들의 캐릭터를 통해 대리 만족감을 느끼며 스트레스를 해소했다.
WWE의 마케팅 또한 영리했다. 첫째로 WWE는 다양한 매치를 선보였고,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기술로 관객들을 압도했다. 또한 여러 캐릭터의 선수들을 발굴해 가며 인기를 유지했다. 둘째는 가격 정책이었다. WWE는 미국의 5대 스포츠 중 가격을 가장 낮춰서 많은 관객들을 모았다. 마지막으로 그 외의 부차 산업들로 Pay Per View 정책을 통해 수익을 올렸으며, 브랜드 산업으로 비디오 게임, 잡지 등 많은 분야에서 WWE란 브랜드를 부각 시면서, 세계 투어 및 자선사업을 통해 여러 나라에서도 사랑받는 계기를 만들어 냈다.
WWE의 이런 성공 전략들은 어떻게 보면 단순해 보일지 모른다. 화려하고 거침없는 WWE의 경기들처럼 그들은 마케팅 또한 매우 광범위하고 거침없어 보인다. 빈스 맥마흔도 레슬러 출신이라 레슬러답게 단순하고 거침없이 화끈하게 밀어 붙인 것일까? 어쨌든 그들은 엄청난 인기를 얻었고, 많은 돈을 벌어 성공을 했다......
(2) WWE 산업의 취약점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WWE는 국제적으로도 마케팅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국내 중계는 1달여의 시간차로 이미 인터넷을 통해 소식을 접한 국내 팬들에게는 긴장감을 덜하게 한다. 그리고 영어로만 제작되어진 홈페이지(www.wwe.com) 는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들에겐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경기의 내용적인 면에서는 매인 이벤트 급 레슬러에 지나치게 의존해서 인기 레슬러들이 너무 오랫동안 마이크를 잡고 연설을 하고 있고, 인기 레슬러들 위주로의 무리한 스토리 전개는 관객을 지루하게 만들곤 한다. 이런 지나친 스토리 위주의 WWE에서 짜고 하는 경기가 아닌 이종격투기(UFC, Pride, K-1 등)의 등장으로 인한 주 고객층이 이전은 현재 WWE의 가장 큰 위험요소이다. 또한 디바들을 이용한 지나친 선정성은 관객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앞으로 WWE는 이런 취약점 들을 정확히 판단해서 해결해 나가야 한다.
WWE가 앞으로 해 나갈 일들은 이런 것들이다. 첫째로 계속해서 새로운 스타를 발굴하고 키워야한다. 지금은 은퇴했으나 한 때 엄청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킨 블록 레스너와 같은 거물급 신인의 발굴은 관중의 관심을 끌어올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둘째로 관중과 시청자의 흥미를 끌 수 있는 새로운 시나리오와 경기방식을 개발하여야한다. 계속되는 무리한 스토리 전개와 오로지 시선을 끌기 위한 선정성 볼거리, 눈에 훤히 보이는 시나리오를 없애고 참신한 시나리오를 만드는데 노력해야 한다. 셋째로 더 많은 Tour로 미국이외의 팬들을 확보하고 관심을 가져야 하고, 마지막으로 다른 경쟁 스포츠의 변화에 빠른 대응과 기존 팬을 유지해야 한다. 기존의 마니아들에게도 항상 새롭게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 그들을 유지시키는 한편, 다른 경쟁 스포츠와의 차별성을 보여 줌으로써 새로운 팬들을 확보해야 한다.
이런 노력들을 기울인다면 WWE의 성공 신화는 계속될 것이다.
6. 참고자료
김남훈ㆍ전창욱 (2004), WWE 프로레슬링의 진실 혹은 거짓, (주) 컬쳐 코리아
성민수(2005), 프로레슬링(흥행과 명승부의 역사), 살림
http://www.wwe.com
http://www.wwebank.com
http://cafe.daum.net/Wrestling
http://cafe.naver.com/ftwmwwe.cafe
http://www.sportsseoul.com/special/expert/star/wrestling/index.htm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image&sm=tab_jum&query=wwe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1.28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71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