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의 공예와 서양의 공예의 차이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동양의 공예와 서양의 공예의 차이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공예

Ⅱ. 동양의 공예 기원

Ⅲ. 서양의 공예 기원

Ⅳ. 금속공예
1. 동양의 금속공예
2. 서양의 금속공예

<참고문헌>

본문내용

히 수용할 수 있었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 시기 때 금속공예품의 변화에 영향을 준 원인은 관청수공업에서 민간수공업으로 이행한 것과 금속원료의 공급원료의 공급문제, 실학사상의 대두로 알 수 있다. 이 중 제일 큰 영향을 준 것은 관청수공업에서 민간 수공업으로서의 이행이라 할 수 있으며, 이 시기의 상업의 발달은 화폐유통의 필요성을 일깨워주며 화폐유통을 현실화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고 한다. 또 이 시기의 수공업은 농업 다음으로 사회구조 내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대부분의 공예품들이 생산과 수요에서 서민중심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금속공예품의 경우 서민층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유기로 한정되었으며 원료의 공급의 어려움을 인식해보면 18세기말엽에서 19세기 초로 본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공예의 정체성을 수립하는데 이 시기의 공예품 생산구조와 양식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을 것이라 생각한다. 한국의 금속공예는 불교적 배경이 강하며 장식품과 생활용품으로 많이 사용되어 생활가구들을 아름답게 하는데 공헌한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엔 이런 장식을 찾기 힘든데 이런 공예품들이 현대의 디자인으로 다시 발전하였으면 한다.
2. 서양의 금속공예
서양의 금속공예는 B.C.5000년 무렵에 이집트에서는 금과 구리가 알려져 있었으며 그 때 이미 비즈나 핀이 구리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청동은 B.C.3000년기 후반은 서아시아에서 쓰였는데 제 12왕조 무렵부터는 이집트에도 널리 보급되었다고 한다. 청동은 기물이나 무기, 그리고 조각과 상징물의 소재로 많이 이용되며 청동 조상은 주로 납형주조방법에 제 18왕조인 투탕카멘왕 분묘에서 현란한 금속공예품이 많이 출토되었으며, 철은 히타이트족이 처음 사용하였다고 하며 그들 문명이 꽃핀 것은 BC 2000년에서 BC 1200년 사이였다. 철이 동양으로 보급된 것은 BC 12세기 이후의 일이다. 그리스에트루리아로마에서는 금은으로는 작은 기구를 만들고, 큰 그릇이나 거울은 주로 청동으로 만들었다. 그것에는 예술적인 디자인이 베풀어져 항아리거울화장상자 등에 선각문(線刻紋)이나 조소적 장식이 들어 있다. 에트루리아에서는 누금세공이 발달하였으며 또 정교한 은을 상감한 청동기도 만들어졌다. 사산조 시대의 페르시아 공예는 고대 오리엔트의 전통을 이어받아 발달하였으며, 7세기 전반 이후의 이슬람 시대에는 사산조 양식의 금은공예가 발달하였으나, 이슬람의 금속공예에는 청동황동철과 같은 재료가 많이 사용되었다. 거기에는 주조타출(打出)과 같은 단조선조상감부식 등 다채로운 기법이 쓰였으며, 에마유클루아조네 등의 칠보기술도 쓰였다. 청동은 동물형 물그릇이나, 각종 향로거울 노커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황동도 기물의 재료가 되었으며, 표면에는 아라베스크 문자명(文字銘)꽃인물이나 동물모양이 정교하게 조각되고 곳곳에 은이나 동을 상감하여 장식 효과를 높이고 있다. 중세에서 근세에 걸쳐서는, 유럽 대륙에서 우선 켈트인이 곡선적 디자인을 가진 독특한 제품을 만들어냈으며 그리스도교의 전파와 더불어, 금속공예는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메로빙거카롤링거 왕조 때에는 보석을 상감한 귀금속 품에 켈트나 로마의 전통을 살린 호화로운 작품이 만들어졌으며. 청동과 은을 재료로 하는 크고 작은 주조가 행해지고, 로마네스크 시대에는 청동 품의 주조가 성행하였다고 한다. 르네상스 이후에도 이탈리아에서 가장 즐겨 쓰인 금속재료는 청동이었으며, 조각 작품이나 교회용구와 일용잡기들도 역시 청동으로 만들어졌다. 바로크 로코코기에 프랑스 예술은 유럽에서 우위를 차지하였으며, 유럽의 금속공예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그 영향은 오늘날까지 미치고 있다고 한다. 산업혁명 이후에는 생산수단 및 조형수단으로서 기계의 가치가 확인되며, 기계생산공예품이 제작되어 수공품과는 별개의 아름다움을 갖는 것으로 받아들였다고 한다. 그리고 기계가 만들어내는 생산공예품 때문에 단철세공(鍛鐵細工)과 같은 공인(工人)의 특수기능을 필요로 하는 금속공예를 제외한 일반적 금속수공예는 많이 쇠퇴하였다고 할 수 있다. 서양에서는 특정하게 정해져있는 공예의 범위가 없으며 거의 동물과 꽃 등의 문양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청동을 공예에 많이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공예개론, 송미림
17,18세기 조선 금속공예 변화에 관한 연구[논문], 양석진
한국의 전통 공예기술, 한국문화재 보호재단
한국고대의 금속공예, 이난영
한국의 연장- 홍정실
http//home.opentown,net/~chosw7/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0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03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