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보론]사이버퍼블릭(Cyber public)에 관한 논의 및 유형화 기준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제기

2. PR의 정의와 퍼블릭(Public)의 개념 변화
1) PR의 정의
2) 퍼블릭(Public)의 개념 변화
3. 퍼블릭 의미에 관한 최근논의
1) 정체성과 담론형성으로서의 공중
2) 인터넷과 공중

4. 사이버퍼블릭(cyber public)의 이해
1) 인터넷과 PR커뮤니케이션
2) 사이버퍼블릭의 개념화
3) 현대적 의미의 사이버퍼블릭의 특성

5. 사이버퍼블릭의 유형화 기준
1) 그루닉의 유형화 기준
2) 사이버퍼블릭의 유형화 기준
(1) 문제인식(problem recognition)
(2) 관여수준의 문제
(3) 제약인식
(4) 준거기준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약인식, 준거기준의 변수들에 대해서는 다소 수정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특히 사이버퍼블릭의 문제인식은 오프라인세계에서의 조직 혹은 개인에 대한 경험과 연결되어 문제가 발생했거나, 긍정적 경험을 인식했을 때 온라인상에서 사이버퍼블릭이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즉 오프라인 상에서의 경험의 내용, 경험의 강도, 경험의 방향이 사이버퍼블릭이 성립되는데 중요한 요소로 작동한다는 점이다. 또 그루닉의 상황이론에서는 어떤 상황에 문제가 있거나 잘못이 발견되었을 때 공중이 된다고 하지만, 사이버 퍼블릭은 상황에 문제가 없이 매우 만족스러울 때도 사이버퍼블릭이 될 수 있다는 점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제약인식은 사이버공간에서 담론활동을 제약하게 하는 외적요소라고 판단되는데, 사이버 공간이 갖는 자유스로움은 사실상 퍼블릭의 담론활동을 가로막지 못한다. 이는 익명성 보장이라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사이버공간상에서 담론구성에 참여하는 이들을 지칭하는 차별적 개념으로서 "사이버퍼블릭"이라는 용어를 제안하고, 이들이 가진 이상에서 설명한 5가지 특성들을 고려해 사이버퍼블릭을 유형화하는 기준으로 오프라인상의 경험을 주요 변수로 고려한 새로운 기준의 적용을 제안한다.
참고문헌
P.Levy, 김동윤,조준형 옮김, 사이버문화, 문예출판사, 2000,
박기숙(2000). 인간, 매체, 커뮤니케이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성동규·라도삼(2000).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서울: 한울아카데미.
안보섭(2002). 인터넷과 PR, 원우현외, 인터넷커뮤니케이션,(23-268쪽). 서울:박영사.
이종혁(2001 3월25일), 국내사이버홍보 용어 기원은?, http://www.koreapr.org Resource.
오두범(1991). PR커뮤니케이션론, 서울: 나남.
원우현·박종민(2000), 여론홍보론, 서울: 법문사.
차배근 외(1992). 설득커뮤니케이션 개론, 서울: 나남.
최윤희(2001). PR의 새로운 패러다임,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한미정(2002). 인터넷으로 PR하기,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Blumber, Herbert(1996). The mass, The public and Public opinion, In Berdson & Morris Janowitz (Eds.), Reader in Public opinion and communication, eds, (pp. 3-32). NY: the Free Press.
Branham, R.(1980). Ineffability, Creativity,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Communication Quarterly, 28(3), pp. 11-20.
Bruning, S. D. & Ledingham, J. A.(1999), Relationships Between Organizations and Publics: Development of a Multi-Dimensional Organization-Public Relationship Scale, Public relations Review, 25(2), pp. 157-170.
Christenson, R. M. & McWilliams, R. O.(1962), Voice of The People: Reading in Public Opinion and Propaganda, McGraw-Hill.
Cloud, Dana L.(2001). Which voices? whose democracy?, Argumentation & Advocacy, 37(4), pp. 210-213.
Dayan, Daniel,(2001). The Peculiar Public of Television, Media, Cultural & Society, 23(6), p.743-765.
Eiko Ikegami(2000). A Sociological Theory of Publics: Identity and Culture as emergent Properties in Networks, Social Research, 67(4), pp.989-1029.
Esrock, S. L. & Leichty, G. B(2000). Organization of corporate web pages: Publics and functions, Public relations Review, 26(3), pp. 327-344.
Hallahan, K.(2000), Inactive publics: the forgotten publics in public relations, Public relations Review, 26(4), pp.499-515.
Hauser, G. A.(2001), On Reading and Misreading The Rhetoric of Publics and public spheres, Argumentation & Advocacy, 37(4), pp.217-221.
Hauser, G. A.(1999), Vernacular voices: The Rhetoric of Publics and public sphere, Columbia, SC: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Hearit, K. M.(1999). Newsgroups, activist publics, and corporate apologia: The case of Intel and its Pentium chip, Public relations Review, 25(3), pp.291-308.
Heath, L. Robert(1998).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 Issues Management point of View, Public Relation Review, Vol.24(3), pp.273-174.
Higley, J.(1999), Elite, Mass publics, and Democratic Prospects in postindustrial societies", International Review of Sociology, 9(2), pp. 221-238.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8.12.05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15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