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복지]새터민 가족의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나아갈 방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복지]새터민 가족의 지역사회 프로그램과 나아갈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새터민 가족의 지역사회 적응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1. 공적 지원 제도
2. 민간 지원 프로그램
2. 정책 및 프로그램의 나아가야 할 방향
1. 공적 지원 제도
2. 민간 지원 프로그램
부록 : 새터민에게 묻는 지역사회통합과 저해요인

Ⅲ. 결 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로그램에 참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이라고 한다.
4) 정리
인터뷰 내용을 전체적으로 정리해보면, 새터민들이 느끼는 지역사회통합의 가장 큰 저해요인은 이웃주민들의 인식과 경제적 요소이다. 응답자는 새터민을 단순히 ‘북한에서 내려온 사람들이다’, ‘우리보다 못사는 사람들이다’, ‘신기하다’는 식의 지역주민들의 동정적이고 호기심어린 시선이 새터민들이 스스로를 드러내기를 꺼리게 되는 가장 큰 요소라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진정한 지역사회통합을 위해서는 이러한 인식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지역 종합사회복지관 등 새터민 대상의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기관에서는 천편일률적인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것보다 지역사회 새터민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그들이 가장 원하는 서비스를 연계/시행하는 것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Ⅲ. 결론
지금까지 새터민 가족의 지역사회통합을 위한 공적 제도 및 민간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고, 여러 학자들 사이에서 각 정책 및 프로그램에서 부족한 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부문과 그 해결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지금까지 살펴본 새터민 가족을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통합 제도 및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시사점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새터민 가족 단위의 프로그램이 민간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모습은 보이나 여전히 이러한 프로그램은 양적ㆍ질적으로 새터민 개별 단위 프로그램에 비해 부족한 편이다. 이는 가족 단위의 새터민 입국의 증가 추세와는 다소 상충되는 결과로, 현재까지의 새터민 지원 정책이 새터민 개인에 집중되어 있음을 반영하는 현상이다. 새터민 ‘가족’이 지역사회통합을 저해하는 요소를 살펴보고 남한가정, 특히 저소득층 가족과 차별화되는 새터민 가족만의 적응 문제 및 욕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둘째, 공적ㆍ민적 지원에서 공통적으로 새터민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고 있다는 것도 의미가 있다. 새터민에 대해서 더욱 심층적으로 이해하여 새터민의 욕구에 부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다.
셋째, 민간 기관에서 이루어지는 새터민 가족 지원 사업의 경우 각 기관 간 의사소통 및 역할분담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서 기관별로 유사한 사업이 중복되어 제공되는 측면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지역사회 내 거주하는 새터민 가족의 욕구에 부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대한 어려움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지역사회의 새터민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실시하는 민간기관 간의 효율적 연계를 통한 서비스 중복 방지 및 각 지역별ㆍ기관별 특성에 맞추어 특성화된 사업의 개발ㆍ적용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새터민의 남한사회 흡수만큼이나 지역주민들의 새터민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통합’은 한 쪽의 다른 한 쪽에 대한 일방적 흡수가 아닌 쌍방의 서로에 대한 이해와 수용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새터민 가족의 남한 사회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지역사회 남한 주민의 새터민에 대한 이해가 합치될 때 진정한 지역사회통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새터민 거주 지역사회 주민들을 대상으로 새터민과 북한 사회에 대한 기본적 이해 뿐 아니라 새터민이 남한 사회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들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이해를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제시한 부분들에 대한 새터민 지역사회통합 관련 정책ㆍ실천 분야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새터민 가족의 지역사회통합의 양적ㆍ질적 수준이 향상될 것이다. 이러한 새터민 가족의 지역사회통합은 곧 남한사회통합으로 이어지고, 그 결과 남북통일 시 남북통합 발전의 토대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Ⅳ. 참고문헌
김경호, 2006, 새터민 정착지원체계의 대안적 모색, 대한정치학회, p331-346
김동배, 이기영. 1999. 통일연구 Vol.3 No.1.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53-306
박광무, 임광택. 1998. ‘제1기 남북통합교실 운영평가’, 민족발전연구 제2호, 중앙대학교 민족발전연구원 연구논문집. 317-324.
박은숙, 2008, 북한이탈주민의 실태와 남한사회 정착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숙대회, Vol. 2008, No2
이기영. 2005.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사회통합의 과제: 경제적 자립지원을 중심으로. 한국통일연구 VOL.10 NO.1
이기영, 윤경애. 2003. 북한이탈주민의 지방정착지원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동원전략. 한국사회복지학
권태용. 2007. 신규북한이탈주민을 위한 단기사회적응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우울과 대인관계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학위논문
김성구. 2008. 국내ㆍ외 북한이탈주민 실상과 정착지원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석사논문
김윤하. 2003. 지역복지관의 북한이탈주민 지원프로그램의 실태와 개선방안. 동국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수진. 2005.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방안.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유광현. 2005.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 민간 차원 정착지원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숙, 2006.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정책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인숙. 2006.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을 위한 지역사회의 대응방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정지은, 2008, 북한이탈주민의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탈피 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 대학원 사회복지학 석사학위 논문
개금종합사회복지관 http://good.bulgukto.or.kr/index.asp
공릉종합사회복지관 http://www.gongneung.or.kr/
방화6 종합사회복지관 http://www.21csw.or.kr/
상리종합사회복지관 http://www.sangli.org/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http://www.taiwha.or.kr/
통일부, http://www.unikorea.go.kr/
통일부 새터민 취업지원사이버센터, http://sjobcc.or.kr/
통일부 인도협력국 내부자료, http://blog.naver.com/unicul
한국기독교탈북민정착지원협의회 http://www.hjh.or.kr/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12.0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31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