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상담 - 죽음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죽음에 대한 이해
1) 죽음의 정의
2) 죽음에 대한 관점
2. 죽음에 대한 태도
1) 문화적·개인적인 태도
2) 죽음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3. 죽음에 대한 심리적 반응
1) 퀴블러 로스의 5단계
2) 두려움
3) 불안과 공포
4) 노인의 죽음인지와 반응
4. 죽음에 관한 통계 자료
1) 평균 사망연령의 연장
2) 고령자 사망
3) 총 사망자 수와 성, 연령별 사망률
4) 주요 사망원인의 변화
5) 사망 장소에 관한 통계
6) 평균장례 비용 현황
5. 죽음과 상담
1) 말기 환자의 욕구와 상담
2) 사별상담
6. 죽음 준비 교육
7. 웰다잉을 위한 우리나라의 죽음교육의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 / 시신 기증 등에 대한 생각을 밝힙니다.
☞ 장례식 장소, 집례, 부르고 싶은 사람들, 불러주었으면 좋을 노래들, 장례식에서 거절하고 싶은 사항 등을 기록합니다.
2. 사후 유산 처리 문제 ☞ 기증, 분배, 남은 가족에게 처리 부탁 등을 합니다.
Ⅲ. 그 밖에 남기고 싶은 말
2) 나의 사망기 작성
'사망기(記)'는 부고(訃告, obituary), 즉 사망 기사를 뜻하는 말이다. 자신을 3인칭으로 하여 부고를 써봄으로써 자신의 삶을 객관적으로 돌아보는 죽음준비교육의 한 과정이다.
1. __________________는(은) 어제 ___________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자신의 이름을 일단 먼저 써넣으면서 어제 세상을 떠났다고 가정하며, 과연 나는 몇 살 쯤에 죽게 될까, 몇 살 쯤 죽으면 가장 좋을까, 아마도 나는 그 나이쯤 되면 죽지 않을까, 등등을 상상해보며 나이를 적어 넣는다.
2. 그의 사망 원인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이었다.
어르신들이 희망하는, 혹은 짐작해 보는 사망 원인을 적어본다.
3. 그의 남은 가족은 _________________이며, 그는 _______________의 구성원이었다.
남은 가족이 몇 명인지와 소속되어 있는 단체, 모임 등을 적으면서 자신의 자리를 한 번 돌아보게 된다.
4. 그는 사망한 그 때에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를(을) 하고 있었다.
숨이 멈추는 바로 그 순간 무엇을 하고 있을 것 같은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생각해 보는 항목이다.
5. 그를 아는 사람들은 그를 _____________________한(했던) 사람이었다고 기억할 것이다.
내가 떠난 후 사람들은 나를 어떤 사람으로 기억할까, 스스로의 생을 돌아보며 채워 넣는 항목이다. 이 항목은 자신이 꼭 지키며 살아온 생활 원칙이 드러나기도 하면서, 내가 떠난 후 이러 이러한 사람으로 기억되었으면 좋겠다는 희망사항까지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
6. 그의 죽음을 가장 슬퍼할 사람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일 것이다.
7. 그가 세상에 남긴 업적은________________________이다.
어르신들이 쓰기 가장 어려워하시는 항목이다. 이때 교육자는 어르신과 업적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누고 작성해보도록 격려한다.
8. 그의 시신은 ______________처리될 것이며, 장례식은 그의 유언에 따라 _______________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전자에는 매장, 화장, 시신기증 등을 기록하고, 후자의 장례식은 불교식, 기독교식, 천주교식 등을 쓰게 된다.
3)임종체험
체험 순서 : 영정 사진 촬영 → 죽음에 대한 강의 → 유언장 작성 → 입관 및 화장로 체험
4)어르신 죽음준비학교 캠프
① '자서전 쓰기' 주제의 하나인 <잊을 수 없는 사람들>이라는 제목의 수업을 진행 한다.
-내 인생에서 잊을 수 없는 단 한 사람
-용서하기 어려운 사건과 사람들
-은혜를 갚아야 할 사람들
-화해하고 싶은 사람들
② 신문지 찢기
어르신들과 신문지를 갈기갈기 찢으며 놀다가, 쌓인 스트레스, 짜증, 신경질 나는 일, 화, 속상한 일, 미운 사람 등을 생각하며 이 감정들을 사랑의 마음으로 바꾸기 위해 미움의 신문지 조각을 한데 모아 ‘사랑의 공’을 만들어 미움보다는 사랑을 던진다는 결심을 하는 활동이다.
③ 내 인생이 한 달 남았다면
'버리고 싶은 것'을 적은 종이는 마구 구겨서 검은 천에 던진다. 그리고, 그 검은 천을 꽁꽁 묶어 돌아가며 던지고 패대기를 치며 내 마음 속에서 그것들이 없어지기를 바래본다.
'하고 싶은 일'을 적은 종이는 곱게 접어 노란 천에 잘 담아 놓는다. '버리고 싶은 것'을 모두 함께 나눈 후, '하고 싶은 일'을 하나 하나 꺼내 읽어본다.
④ 촛불 속에서 만난사람
조용히 누워 잔잔한 음악에 몸을 맡기고 인생을 돌아보며 그동안 만난 수없이 많은 사람들을 떠올려 본다.
그 가운데서 죽기 전에 꼭 한 번 만나보고 싶은 사람을 촛불 속으로 초대한다. 촛불 속으로 찾아온 그와 그동안 가슴 속에 묻어둔 이야기, 꼭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나눈다.
⑤주먹에 담긴 한 평생
캠프의 마지막 프로그램은 <나의 다짐>이라는 제목하에 어르신들의 주먹을 석고로 만드는 것으로 완성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노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죽음과 Well Dying을 실천하기 위한 방법인 죽음 상담, 죽음 준비 교육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이전까지는 노인에게 죽음은 두려운 것으로 감히 앞에서 꺼내지 못할 말이라 생각했는데, 좀 더 차근차근 죽음 준비교육을하고 죽음 상담을 하며 죽음을 잘 준비하는 사례를 보고 그것이 틀린 생각임을 알았다. 준비없이 갑자기 닥친 죽음으로 노인과 그 주변 가족에게도 큰 충격을 주는 죽음을 미리 준비함으로써, 죽음에 대해 잘 알고 천천히 준비하여 죽음을 잘 맞이하는 것, 즉 웰다잉을 실천하는 것이 바람직한 죽음을 대하는 자세인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웰다잉을 위한 죽음의 이해, 차미영, 상상커뮤니케이션
2. 노년학의 이해, 한국노년학회편, 대영문화사
3.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http://www.nowonsenior.or.kr/
4. 통계청 http://www.nso.go.kr/
5. 아름다운 죽음을 위한 안내서, 최화숙
6. 노인상담 이호선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죽음에 대한 이해
1) 죽음의 정의
2) 죽음에 대한 관점
2. 죽음에 대한 태도
1) 문화적·개인적인 태도
2) 죽음에 대한 태도 영향요인
3. 죽음에 대한 심리적 반응
1) 퀴블러 로스의 5단계
2) 두려움
3) 불안과 공포
4) 노인의 죽음인지와 반응
4. 죽음에 관한 통계 자료
1) 평균 사망연령의 연장
2) 고령자 사망
3) 총 사망자 수와 성, 연령별 사망률
4) 주요 사망원인의 변화
5) 사망 장소에 관한 통계
6) 평균장례 비용 현황
5. 죽음과 상담
1) 말기 환자의 욕구와 상담
2) 사별상담
6. 죽음 준비 교육
7. 웰다잉을 위한 우리나라의 죽음교육의 사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 가격1,9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12.14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47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