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피아니스트> 서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 영화 속 스필만과 호센빌트 장군과의 만남의 의미

Ⅱ. 본론
1) 홀로코스트와 디아스포라
- 로만 폴란스키 감독과 서경식
2) 영화의 관조적 시선
3) 스필만과 호센필드 장교의 만남
- 독일인과 유대인이 아닌 인간과 인간으로서의 만남
4) 마틴 부버의 ‘나와 너’의 만남의 철학
5) 영화 속의 만남과 닮은 문학속의 만남
- 생떽쥐베리 <어린왕자>, 에밀 아자르 <자기앞의 생>

Ⅲ. 결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들여진다는 것에 대한 의미를 찾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던 중 여우가 장미 정원으로 가면 길들여진다는 것에 대한 의미를 알 수 있다고 해서 지구의 장미꽃들에게 가게 된다. 그리하여 자신이 살던 별에서 가꾸던 한 송이 장미꽃들과 수천송이의 장미들과 바꿀 수 없는 의미임을 깨닫게 된다. 즉 화단에 심겨져 있던 수많은 장미들은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고 있었지만 어린왕자와 관계되지 않았던 장미들은 아무런 의미를 갖지 못하는 식물로 전락해리고 말았다. 바로 진정한 관계 맺기란 한 송이 장미 꽃에 불과 했지만 자신이 물을 주고 유리덮개를 덮어 주고 꽃이 투덜대는 말을 들어 주던 것들이 바로 나와 너의 관계를 형성함을 알게 되는 것이다.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인간과 인간의 인격적 교류가 필연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 역시 인간의 실존적인 관계와 만남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에밀 아자르는 모스크바에서 유태계 프랑스인으로 태어나 프랑스에서 가장 권위 있는 공쿠르 상을 두 번이나 수여 받은 작가이다. 그에게 두 번째 공쿠르 상을 선물해 준 <자기 앞의 생>은 부모에게 버림 받은 열네 살 소년 모모가 부모가 버린 아이들을 맡아 키우는, 유태인이라는 이유로 아우슈비츠에 강제 수용된 끔찍한 기억을 갖고 있는 로자 아줌마와 함께 지내던 자신의 생(生)중 어느 한 시기에 관한 슬프고 아름다운 기억의 일부분을 그리고 있다. 자신을 돌보와 주었던 로자 아줌마가 뇌혈증을 앓고 죽음의 문턱에 다가 서자 모모는 로자 아줌마를 아주머니가 평소에 사랑했던 방, 혼자만의 방, 무서운 것이 있을 때 혼자 숨어들곤 했던 지하실의 방으로 데리고 가서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삶을 마지막을 배웅한다. 로자 아줌마의 이름을 큰 소리로 부르면서. 모모는 자신의 궁금증 해결 박사, 하밀 할아버지에게 배운 관계 맺기에 대해 배웠다. 누군가 자신의 이름을 부르는 것은 그를 사랑하고 그의 이름을 아는 사람이 아직 있다는 것, 그리고 그에게 이름이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주기 위해서였다라고. 에밀 아자르, 아니 로맹 가리의 자기 앞의 생에서도 역시 <나-그것>의 관계에서 <나-너> 관계로 변화해 가는 인칭의 변화를 가장 프랑스적인 감수성과 소소한 삶의 굴적의 결을 어루만지며 보여주고 있다.
금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작된 고아들의 양육자가 된 로자 아줌마와 모모는 피양육자와 양육자의 일차적 관계에서 서로의 삶을 이해하고 서로에게 유일한 존재로 삶을 사랑으로 들여다 보게 하는 실존적 관계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Ⅲ. 결 론
전쟁의 역풍 속에서 피아니스트와 한 장교와의 만남을 통해 인간과 인간의 인격적이고 주체적인 관계 맺기를 떠올려 영화 <피아니스트>와 부버의 만남, 그리고 이들의 만남을 닮은 문학작품을 서술해보았다. 이런 만남을 광의의 의미로 인간이 삶을 지탱할 수 있게 하는 탄탄한 힘이 아닐까 한다. 그것은 어떠한 압박이나 배경을 생략한 채 오로지 <나와 너>로 관계하는 적극적인 만남이다. 전 세계적으로 묻지마 살인과 이념의 대립으로 인한 극단적인 폭력 사태의 발발이 점점 익숙해지고 있는 두려운 사회를 살아가며, 스크린으로 투영된 영화 <피아니스트>에서 본 <나와 너>의 인간과 인간과의 만남의 힘에 더 나은 세상이 올 수 있다는 희망을 걸어본다.

에밀 아자르(2003) 자기 앞의 생. 문학동네
생텍쥐페리, 김화영 역(2007) 어린왕자. 문학동네
강선보(1992) 마틴 부버의 만남의 교육. 양서원
서경식(2006) 시대의 증언자, 쁘리모 레비를 찾아서. 창비
김용규(2006) 철학까페에서 문학읽기. 웅진닷컴
송준(2004) 아웃사이더를 위한 변명. 심산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8.12.30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12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