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영어마을설립과 파주 영어마을의 비교조사 및 개선방향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산 영어마을설립과 파주 영어마을의 비교조사 및 개선방향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조사 사전 계획서
주제 선정동기
조사 목적
조사 일정
본문
지역탐사 목적
☞영어 교육 실태 조사
경기 파주 영어 마을
☞ 경기 영어마을 설립목적
☞ 파주 영어 캠프의 시설과 프로그램
☞ 파주 영어 마을의 평가
부산 영어 마을
부산시 영어 교육 방침
부산시의 영어마을 추진 현황
부산시 영어 마을 평가
부산 영어 마을과 부산 영어 마을 비교
영어 마을 운영 실태 문제점 및 개선 방향

본문내용

따라 불어진 해외 유학, 어학연수, 조기 어학 교육등의 열풍과 함께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나타난 영어 마을 중 파주 영어마을은 다채로운 프로그램과 대규모의 이국적인 시설이 놀라울 만큼 좋았고 우수했다. 영어마을 체험을 통한 교육효과는 개인적으로 크다고 생각한다. 사실 영어 교육을 수년간 해오면서도 영어회화에는 자신감이 없는 사람들에게 정말 유익한 교육이 될 수 있으리라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조사를 하면서 느낀점은 이교육기관이 수도권 지역에만 편재되어 있다는 것이다. 이는 수도권 지역과 지방간의 교육의 다극화와 차이를 더 부축일수 일 수 있다는 우려가 들었다. 지방에도 영어 마을이 있고 앞으로 추진계획이 많기는 하나 설립초기부터 예산부족으로 차질이 생기고 정체성문제와 전국 지자체가 운영하는 영어마을이 효율성이 떨어지고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 부산에는 이렇다 할 영어마을이 추진만 되고 있고 실제 존재하지 않고 있어 영어마을 중 활성화 되고 파주 영어마을을 체험하려고 부산에서 기차타고 서울 가서 다시 가야하는 등 시간과 비용 상의 비효율과 불편함이 컸다.
해외 유학과 연수에만 의존하는 현 교육상의 문제점과 영어마을로 인해서 극복될지 영어마을이 공교육의 강화로 이어질지는 아직 불투명하지만 영어교육 열풍은 앞으로도 가중될 것으로 보이므로 영어 교육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해 질것이므로 실질적인 영어 교육 기관이의 당위성과 교육기관 중 영어마을이 한 가지 대안이 될 것임은 분명하다.
영어 마을 운영 실태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영어 마을 운영비만 220억원 지원받은 경기도 영어마을은 경영 실적 평가 보고서 에서 사교육비 경감효과 어학연수 대체 효과 프로그램 대체 효과 프로그램 이수 능력 항목에서 낮은 실적을 오리고 있다. 막대한 예산에 비해 지난 2년간 영어마을 정규교육 과정을 이용한 학생은 경기도내 전체 초, 중학생의 3.6%에 불과 5박 6일 일정으로는 해외유학을 차단시키는 효과가 없고 저 소득층 학생이 이용하기 힘들다는 이유. 실제로 영어마을 개원에도 불구하고 경기도내 초. 중. 고등학생 유학생 수는 지난 2001년- 2105명 2002년- 2721 2003년- 2674명 2004년- 4885명 2005년- 6961명, 2003년 이후 해마다 2000명 식 증가 추세 5박 6일 일정 전체 이용자 중 무료 이용률은 4.8%에 불과하다.
거기다 재정상 매년 200억원 적자 기록해 올해 부터 교육비 67%인상하여 파주 캠프 2주 80만원 상당의 귀족학원으로 둔갑하고 있다.
서울 수유 영어마을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5~6학년생 6%가 영어마을 다녀가고 경기 영어 마을 파주 캠프등 수도권 지역은 상황은 나은 편이고 지자체 영어 마을은 열세 현상이 더욱 심각한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자치 단체들은 서둘러 계획을 바꿔 영어체험 마을 건립을 백지화 하거나 예산이 삭감되는등 건립 시키가 무산화 되거나 늦쳐 지고 있고 대부분이 적자에 허덕이며 민간업체에 맡겨 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지역에서는 영어마을을 새로 건립하는게 아니라 그 비용으로 학교별 원어민 교사들을 배치해 밀도 있는 영어 교육을 받는게 좋겠다고 계획을 바꾸는 사태도 발생한다.
단기 프로그램 위주 효과가 일시적, 투자비용과다 고비용 저효율로 지속적 확대에는 한계가 있따는 지적. 짧은 일정에 평소와는 다른 영어 회화 위주의 영어사용 노출로 인한 일시적인 흥미효과는 불러오지만 영어능력 향상에는 한계가 있고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어마을 교육을 받는동안 학교를 떠나 있게 함으로써 학교의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에도 지장을 초래할수 있다는 지적이다.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중요한것은 영어 환경에 지속적으로 접하고 노출되는것이지 일시적인 효과는 결국에는 경험이 될 뿐 영어 향상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영어 마을과 같은 일회성 체험보다는 매일 다니는 학교 내에서의 영어 체험 프로그램이 상시적으로 운영되도록 하는것이다. 영어 능력 향상에 있어서 중요한것은 원어민과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달려 있다고 본다. 영어마을이 체험이 장으로는 좋지만 시에서 몇개의 영어마을 조성보다는 사교육기관의 비싼 영어마을을 상쇄할 만한 공교육 기관의 원어민 교사를 배치와 개방화에 따른 외국인 유치가 더욱 영어 능력 향상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실제로 체험한 파주 영어마을은 딱딱한 현 주입식 영어 교육에서 벗어나 마치 외국이 와 있는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재미있는 영어학습의 장을 제공하며 일시적이고 좁게 나마 다른국가의 문화를 접할수 있었다는 점에서 좋은 학습의 장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또한 흥미를 유발하는 학습과 영어의 자신감을 주어 말을 트일 수 있는 장을 마련해 주는 공간이 되었다. 하지만 영어 능력 향상에는 너무 제한적이고 한계가 있었다. 실제로 인터뷰 했던 학생들과 학부모들이 이곳 영어마을에 대해서 좋은 체험을 할 수 있는 장이었다고 칭찬을 했지만 계속적인 이용에 대해서는 호응도가 낮았다. 이처럼 처음 문을 열 때 영어마을은 경기도의 자랑거리이고 높은 만족도와 교육효과와 단기 어학연수 효과등 좋은 성과를 거두고 있었으나 점차 적자폭이 점점 늘어나면서 운영방식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단지 체험에 대한 공간에 그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가장 부각되고 있다. 여름 방학 캠프나 5박 6일 동안의 짧은 일정과 정해진 프로그램이 한계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영어 마을의 의의는 영어 능력 향상보다는 언어를 통해 다른 국가의 문화를 접하고 체험하고 이해 할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는데만 그치고 있다.
이처럼 영어 마을을 체험적 공간으로서의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고 설립 당위성이나 필요성 또한 존재하지만 교육의 한계성에 부딪혀 마치 열풍처럼 불고 가다가 없어지는 곳이 되어서는 안 될것이다.
시간이 가고 영어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할수록 영어 교육프로그램이 변화해 왔고 효율적이고 실질적인 영어 교육의 흐름도 변화하는것은 어찌보면 당연할지도 모른다. .
하지만 무작정 인기있는 영어 교육 사업을 따라가기 보다는 충분한 검토후에 지역 실정에 맞는 영어 교육 방법을 찾는것이 현명할 것이다.

키워드

영어마을,   영어,   부산 ,   파주,   비교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1.08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4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