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격장애에 대하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격장애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1. 인격장애란 무엇인가?
2. 일반적인 특징은?
3. 얼마나 흔한 장애인가?
4. 분류
5. 원인
6. 총괄적 치료 개념

본 론
A. 괴상하고 별난 경향을 보이는 사람들
1) 편집성 인격장애
2) 분열성 인격장애
3) 분열형 인격장애
B. 극적이고 감정적이며 변덕스러운 특징의 사람들
1) 히스테리성 인격장애
2) 자기애성 인격장애
3) 반사회성 인격장애
4) 경계성 인격장애
C. 억제되어 있고 불안해하며 두려움을 가진 것 처럼 보이는 사람들
1) 회피성 인격장애
2) 의존성 인격장애
3) 강박성 인격장애

본문내용

하여 지나치게 신경을 쓴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냉담하며 지나치게 통제된 생활을 하므로 옹졸한 사람으로 보여진다. 대인관계에 있어서 자신도 윗사람에게 철저히 복종하는 만큼 다른 사람들도 자기에게 복종하기를 원한다. 주위 사람들이 완벽하지 못할 때는 경멸하고 분노를 느끼지만 겉으로 표현하지는 않는다. 이들은 혹시나 실수를 하지나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에 모든 일에 우유부단한 자세를 취한다. 사회생활에서는 이들의 정돈성과 완벽성 때문에 융통성이 요구되는 직업에서는 실패하나, 정확성이 요구되는 직업에서는 성공할 수 있다.
1. 유병률
체계적 평가를 사용한연구에서 강박성 인격장애에 유병률은 인구의 약 1%, 정신건강진료소를 방문한 외래환자 가운데 3-10%로 보고 되었다. Ibid, p860
2. 왜 발생하는가?
Freud에 의하면, 항문기에 해당하는 생후 2-4세 경에 대소변 가리기 훈련 과정에서 어린 아이의 욕구와 어린아이를 사회화시키려는 부모의 요구 사이에 갈등이 나타나는데 이러한 갈등이 제대로 해결되지 않을 때 강박성 인격이 싹트게 된다고 한다. 주로 사용하는 방어 기재는 고립, 지능화intellectualization, 반동 형성, 취소 및 전치 등이다. 유전적 요인에 있어 가족 중에 강박성 인격 장애의 빈도가 일반 인구보다 높다. 그러나 대체로 강박 장애와는 일직성 상에 놓여 있지는 않다고 보고 있다.
3. 어떤게 행동하는가?
강박성 인격 장애의 기본적 특징은 정돈성, 인내심, 완고함, 우유부단, 그리고 감정 표현의 인색함이다. 대인 관계에서는 따뜻함이나 부드러움을 표현하는 능력이 제한되어 있다. 모든 일에 합리적이고 형식적이어서 다른 사람들에게 거리감을 주게 된다. 이들은 서로 주고받는 일이란 것의 없다. 모든 일이 또는 자신의 사생활이 올바르게 일정한 틀에 맞게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하여 지나치게 신경을 쓴다. 다른 사람들에게는 냉담하며 지나치게 통제된 생활을 하므로 옹졸한 사람으로 보여진다. 대인 관계에 있어서 주로 수직 관계를 유지하기 때문에 자신도 윗사람에게 철저히 복종하지만 다른 사람에게도 자기에게 복종하기를 원한.da다. 주위 사람들이 완벽하지 못할 때는 경멸하고 분노를 느끼지만 겉으로 표현하지는 않는다. 이들은 혹시나 실수나 하지 않을까 하는 두려움 때문에 모든 일에 우유부단한 자세를 취한다. 사회 생활에서는 이들의 정돈성과 완벽성 때문에 융통성이 요구되는 직업에서는 실패하나 정확성이 요구되는 직업에서는 성공적일 수 있다. 강박성 인격 장애자들에 대해서 Freud는 다음과 같이 특성을 기술하고 있다. 즉 감정 표현의 제한, 정돈성, 인색함, 경직성, 엄격한 초자아, 인내성, 옹고집, 우유부단 그리고 성적 자발성의 결여이다. 진단 기준에도 증상에 대한 기술이 자세히 되어 있다.
4. DSM-Ⅳ 진단기준
융통성, 개방성 효율성을 희생시키며 정돈, 완벽, 정신과 대인관계의 조절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광범위한 양상으로 이는 청년기에 시작되며 여러 상황에서 나타나고 다음 중 네가지 (또는 그 이상) 항목으로 나타난다.
(1) 내용의 세부, 규칙, 목록, 순서, 조직, 혹은 스케줄에 집착되어 있어 활동의 중요한 부 분을 놓친다.
(2) 완벽함을 보이나 이것이 일의 완수를 방해함 (예: 자신의 완벽한 기준을 만족하지 못 해 계획을 완수할 수 없다)
(3) 여가 활동이나 친구 교제를 마다하고 직업이나 생산적인 것에 지나치게 충실한다.(명 백한 경제적인 필요에 의한 것이 아님)
(4) 과다하게 양심적임, 소심함, 그리고 도덕, 윤리 또는 가치관에 융통성이 없음 (문화적 혹은 종교적 주체성에 의하여 설명되지 않음)
(5) 감정적인 가치가 없는 데도 낡고 가치 없는 물건을 버리지 못함
(6) 자신의 일하는 방법에 대해 정확하게 복종적이지 않으면 일을 위임하거나 같이 일하 려 하지 않으려 함
(7) 자신과 타인에 대해 돈 쓰는데 인색하다. : 돈을 미래의 재난에 대해 대비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Ibid, p860
(8) 경직되고 완강함을 보인다.
5. 어떤게 감별하는가?
만일 강박사고 obsession나 강박행동 compultion이 반복해서 일어날 때에는 강박장애 obsessive-compulsive disorder로 진단을 내려야 한다. 흔히 강박적 경향은 누구에게나 다소 있으나 강박성 인격 장애자들은 직업적 또는 사회적 효율성에 많은 지장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유의하여야 한다.
6. 경과와 예후는 어떤게 하는가?
경과는 일정하지 않다. 청소년들 중에는 얼마간 성장하여 가면서 오화하고 개방적이며 애정있는 성인이 되기도 한다. 어떤 경우는 정신 분열증, 강박장애, 정신 신체 장애 또는 갱년기 우울증으로 발전하기도 한다.
7. 어떤게 치료하는가?
환자들 자신이 고통을 호소하기도 하며 스스로 치료를 받고자 하기도 한다. 정신 치료 특히 분석적이지만 비지시적 정신 치료가 효과가 있다. 그러나 환자는 흔히 지능화라고 감정 표현에 제한이 크다. 그 밖에도 집단 치료, 행동치료 및 개인 정신 요법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흔히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의 초점을 환자의 사고 보다는 환자가 현재 지니고 있는 감정적 느낌에 맞추어야 하고 환자의 격리나 전치의 방어기재들을 명백하게 밝혀 주는 데 역점을 두어야 한다. 기타 역설적 기법(더 강박적이 되라고 함), 인지치료, thought stopping기법(반추사고에 대해)도 도움이 된다.
참고문헌
미국정신의학회.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펴람 제4판. 이근후외 14명 역. 하나출판사. 1995.
인터넷 자료
누다심의 심리학 아카데미 http://www.nudasim.com/zbxe/home
정신건강커뮤니티 http://wooljima.net/zbxe/wonin
LUV4US http://luv4.us/299
YH 자연의학 http://kr.blog.yahoo.com/ockleeryh/1722
마음백과 http://www.sangdam.kr/encyclopedia/cp/disorders/disorders.html
신석호 소아 청소년정신과 http://www.autism.co.kr/index.html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09.02.05
  • 저작시기200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77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