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구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농구의 유래

□ 한국농구의 역사 □ 농구경기규칙
○ KBA 규칙
○ KBA 와 KBL의 차이점

□ 경기감상문

□ 농구용어 및 혼돈규칙

□ 참고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12회 째(명칭변경 후 6회)를 맞이하였다.
○ 결승전 경기개요
1. 스코어보드
1Q
2Q
3Q
4Q
오토복
17
28
38
44
무궁화전자
18
26
34
53
2. 느낀점
1Q : 치열한 접전이라고 중계를 하고 있지만 그다지 박진감이나 흥미를 느끼지 못한 채로 1퀴터가 끝이나 버렸다.
2Q : 생각보다 어려운 기술이 많이 나왔다. 거의 모든 슛은 정지된 상태가 아닌 움직이는 상태에서 이루어졌고, 휠체어를 탄 선수들 간에 충돌역시 많았다.
3Q : 수비에서 더욱 적극성을 보였던 무궁화전자팀이지만 공격은 한명의 선수에 의해 거의 미들슛으로 득점을 이어가고 있었다
4Q : 처음시작은 비슷했다. 종전과 같이 서로 한번씩의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가는 듯 했으나 오토복팀의 턴오버를 놓치지 않고 득점으로 성공시키면서 분위기가 반전되고 급기야 역전까지 이루어졌다.
→ 사실 경기를 끝까지 보면서도 프로농구와 같은 흥미는 느낄 수가 없었다. 물론 대회의 규모도 작을뿐더러 대중들에게 흥미를 만들어내기가 쉽지가 않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여러 가지 재미있는 상황이 있었지만 그 중에서도 휠체어를 타고 경기하는 선수들간의 충돌로 인해 선수가 넘어진 경우 그 누구도 도와줄수 없고 스스로 일어나야 한다는 규칙을 아나운서로부터 전해들었을 때 사실 뭉클했었다.
그들은 농구를 하기 위해 신체적인 불리함에도 불구하고 좌절하지 않고 농구를 통해 즐기고 배우고 있다는 것을 느꼈을 때 내 자신이 부끄러워졌다.
기회가 된다면 경기장을 찾아가서 보고싶다. 주체 측의 홍보도 더욱 세련되었으면 하는 아쉬운 생각이 들었다.
□ 농구용어 및 혼돈규칙
○ 알기쉬운 농구 용어
골 텐딩(goal tending) 슛한 공이 포물선의 정점에 이른 다음 떨어지는 공을 림 위에서 쳐냈을 경우를 말함(이 때의 슛은 골로 인정된다.)
더블 팀(double team) 수비수 2명이 공격수 한 명을 집중 수비 하는 것. 수비수 3명일 때는 트리플 팀(triple team) 이라고 함.
로 포스트(low post) 페인트 존 지역(cf. 하이 포스트:로 포스트 바깥 지역)
루즈볼(lose ball) 공의 소유권이 어느 편에도 있지 않은 상태를 말함.
바이얼레이션(violation) 퍼스널 파울, 테크니컬 파울 등 파울 이외의 규칙 위반을 가리킨다.
공의 소유권은 상대편으로 넘어가게 되며, 상대편은 반칙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사이드 라인 밖에서 드로 인을 하게 된다. 바이얼레이션에는 키킹, 워킹, 더블 드리블, 하프라인 바이얼레이션과 라인 크로스, 아웃볼, 3초룰, 5초룰, 8초룰, 24초룰 등의 오버타임 등이 있다.
바이얼레이션을 범하였을 때 심판은 호각을 부는 동시에 손을 위로 드는 신호로 시계를 정지시킴으로써 공을 데드시킨다. 이어 바이얼레이션에 해당되는 신호를 한 뒤 상대팀에게 공을 주어 드로 인 시킴으로써 경기를 재개한다.
키킹(kicking) 공을 발로 찼을 경우의 바이얼레이션
더블 드리블(double dribble) 드리블한 후 공을 잡았다가 다시 드리블한 경우의 바이얼레이션
3초룰(3 second rule) 자기편 선수가 공을 가지고 있을 때 상대편의 골 밑(또는 수비수가 수비하는 동안 자기편의 골 밑) 제한구역(페인트 존) 안에 3초 이상 머물렀을 경우의 바이얼레이션
5초룰(5 second rule) 공을 가지고 있는 선수가 5초 이내에 패스나 드리블 또는 슛을 하지 않았을 경우의 바이얼레이션
8초룰(8 second rule) 자기 진영에서 공을 갖고 있을 때 8초 이내에 상대편 진영으로 넘어가지 않았을 경우의 바이얼레이션
24초룰(24 second rule) 공격팀이 24초 이내에 슛(슛한 공은 림을 맞야야 함.)을 하지 못하여 공격이 지연된 경우의 바이얼레이션
박스 원(box one) 특정 공격수 1명을 집중마크하고 나머지는 수비수들은 지역방어형태를 취하는 수비 방법.
박스 아웃(box out) 리바운드를 먼저 잡기위해 상대선수를 페인트존 밖으로 최대한 밀어내는 것을 말함.
스위치(switch) 자기가 맡고 있는 공격수에 대한 수비를 수비수끼리 서로 바꾸는 것을 말함.
아웃 오브 바운드(out of bound) 사이드라인(side line), 또는 엔드라인(end line) 바깥으로 공이 나가는 것을 말함.
턴오버(turn over) 공격수의 실책(이로 인하여 공격권을 상대편에게 넘겨줌)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
피벗 풋(pivot foot) 공을 가진 선수가 몸의 방향을 바꾸는 경우 축으로 삼는 발을 말한다. 발의 일부가 바닥에 닿으면 상관없지만. 끌거나 뗀 경우엔 워킹 바이얼레이션이 된다.
헬드 볼(held ball) 공격수와 수비수가 동시에 공을 잡고 있어서 소유권을 판단하기 어려운 상태를 말한다. 이 때 심판은 점프 볼(jump ball)을 선언한다.(가장 가까운 서클에서 시행)
○ Q & A
Q : 페이크 동작중에 팔을 접었다가 펴기도 하고 발꿈치를 들었다가 놓았다가 하기도 하는데 반칙인가요?
→ 팔을 접었다가 폈다가 하는 동작은 반칙이 아닙니다. 하지만 발꿈치를 드는 것은 문제가 좀 있습니다. 발바닥 전체의 50%이상이 떨어질 경우 스텝으로 간주하여 집니다. 즉 워킹바이얼레이션이 되는 것입니다.
Q : 드리블을 하다가 공이 발에 맞고 우리편에게 패스가 된 경우 바이얼레이션인가요?
→ 공을 발로 차는 행위는 키킹 바이얼레이션입니다. 그것에 전제가 되는 것은 고의성의 유무입니다. 물론 경기 중에는 심판이 판단하게 되지만 고의가 아닌 경우 바이얼레이션이 아닙니다.
Q : 자유투로 던진 공을 다시 잡아서 덩크 슛이나 레이업슛으로 연결해도 반칙인가요?
→ 현재 룰 상에서는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농구 경기 자유투 룰 중에서는 고의적으로 백보드를 맞춘다면 그 즉시 바이얼레이션이 선언되고 볼은 상대편 볼이 됩니다.
□ 참고 자료 및 참고 사이트
○ 대한 농구협회 http://www.koreabasketball.or.kr
○ KBL http://www.kbl.or.kr/
○ 경기용어해설집, p143 서울아시아경기 대회 조직위원회, 서울 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 곰tv 농구중계 방송

키워드

농구 ,   규칙,   유래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2.23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0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