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실에서 쓰는 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술실에서 쓰는 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술실에서 쓰는 기구
1) Knife handle(scalpels)
2) Scissors
3) Needle holders
4) Forceps
5) Retractor
6) 기타 instrument
2.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
1) 순회 간호사
2) 소독 간호사
3) 마취 간호사

본문내용

이송용 침대로 안전하게 옮긴다.
수술간호 기록을 확인하고 처치재료를 정확히 입력한다.
미화원에게 연락하여 수술방을 청소한다.
수술침대, 기구상, 메이요상(mayostand) 등 환자와의 직접 접촉부위를 소독액으로 닦은 후 다음 수술환자가 들어오도록 한다.
모든 수술이 끝난 후 흡인기와 전기지혈기 등 모든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빼고 정리한다.
접수되지 않고 남아있는 검체가 있으면 즉시 접수하도록 조치한다.
근무시간에 발생된 문제점이나 물품 공급상의 문제에 대해 수간호사에게 보고한다.
2) 소독 간호사
소독간호사는 수술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간호활동을 하게 되는 간호사로 멸균된 수술가운(sterile attire)을 입고 멸균영역(sterile area)에서 활동하게 된다. 소독간호사는 수술과정을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하며 집도자의 요구를 예측할 수 있음은 물론 집도자의 요구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① 손을 소독한 후 수술가운을 입고 closed method로 장갑을 낀다.
② 수술에 대비하여 기계상의 기구들을 준비한다.
③ 수술시작 전에 순회간호사와 함께 거즈, 패드, 기구, surgical blade, 바늘 등을 센다.
④ 국소마취인 경우에는 약명과 용량을 순회간호사와 같이 확인하고 준비한다.
⑤ 소독간호사의 자리에서 기구를 안전한 방법으로 집도의에게 정확히 건네준다.
⑥ 수술 중 거즈와 봉합사, 물품, 장비 등을 제공하고 수술 진행에 따른 요구를 예견하고
준비한다.
⑦ 수술 부위 주위를 깨끗이 정리하고 기계가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한다.
⑧ Cavity 봉합 직전, cavity 봉합 후, 피부봉합 직전에 거즈, 패드, 기구, surgical blade,
바늘 등을 정확히 계수하고 기록한다.
⑨ 피부 절개부위의 피를 닦기 위한 젖은 거즈와 드레싱을 준비한다.
⑩ 모든 기구를 정확히 계수한 후 세척 및 소독을 의뢰한다.
⑪ 다음 수술을 위해 순회간호사와 함께 방을 정리한다.
⑫ Package, 세트, 거즈, 물품을 정돈하여 다음 수술에 대비한다.
3) 마취 간호사
마취과 간호사는 마취과 의사가 수술 중에 깊이 마취된 상태와 죽음 사이에 놓여있는 환자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모든 것을 제공해 주는 제공자의 역할과 각종 마취 장비 및 약품, 물품들을 관리하는 관리자의 역할을 함께 하여야 한다.
① 수술스케줄을 보고 수술시간과 마취 종류를 확인한다.
② 마취 종류에 따라 필요한 물품 및 약품을 준비한다.
③ 환자의 이름을 확인하며 환자를 안심시킨다.
④ 배액관이나 튜브가 빠지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수술침대로 옮긴다.
⑤ 환자의 chart를 비교 확인한다.
⑥ 수술 전 처치 및 간호 상태 확인, 마취 및 수술에 필요한 각종검사 결과, 혈액형, 수술 동의서 유무, 활력징후(vital sign)의 이상 및 질병 유무, 지금까지 투여했던 약물 등을 확인한다.
⑦ 환자의 의치, 콘택트렌즈, 귀중품 등을 몸에 지니고 있는지 재확인한다.
⑧ 환자에게 편안한 자세를 취해주고 혈압과 맥박을 확인한다.
⑨ 환자에게 마취 준비에 대하여 설명하고 협조를 구한다.
⑩ 정맥주입로를 확인하며 필요 시 다른 정맥주입로를 확보한다.
⑪ 수술을 위한 적절한 자세로 수술대를 조작한다.
⑫ 수술 중 각종 monitor(EKG, NIBP, CVP, SaO2 등)를 관찰한다.
⑬ 수혈이 필요한 경우 혈액은행에 연락한다.
⑭ 마취기록지를 정확히 기록한다.
⑮ 수술이 끝났을 때 외과의 및 마취의와 함께 환자를 회복실이나 중환자실로 옮긴다.
수술 후 환자 상태에 대하여 해당간호단위(회복실, 중환자실)에 인계한다.
수술이 끝난 후 마취상을 정리하고 사용한 물품은 보충한다.

추천자료

  • 가격4,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1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