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바로보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우리시대 한류
1. 문제제기와 본고방향

Ⅱ. 주요 담론의 형성
1. 2001년 초기 한류 담론들
2. 후기 한류 담론들

Ⅲ. 반한류와 최근 한류 담론
1. 반한류
2. 최근 한류 담론
2.1. 경제적 가치 연구
2.2. 문화상품의 소비행위에 관한 수용자 분석

Ⅳ. 결론
1. 요약
2. 한계 및 전망

본문내용

한류가 거품일 뿐이라는 냉소적 시선 안에서 나름대로 정리된 목소리로 나오기 시작했다. 크게 세 가지 입장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문화 민족주의적 입장, 신자유주의적 입장, 탈식민주의적 입장이 그것이다. 우선 문화 민족주의적 입장은 아시아에서 한국의 대중가요와 문화가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것을 기회삼아 서구의 문화적 식민 지배를 벗어나기 위해 한류의 정체성을 정립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이와 다른 문화 민족주의적 입장은 정부의 아시아 지역에 대한 연성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신자유주의적 입장은 대중문화상품은 어디까지나 문화상품으로써 살아남아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로 탈상업적탈식민주의적 입장이다. 이것은 문화민족주의와는 다르게 한류 열풍을 몇 세기에 걸친 전지구적 자본주의화 과정이자, 근대화 과정의 산물로 보는 점이 특징이다.
최근 한류 연구에서는 한류의 경제적 가치의 연구와 이와는 다른 한류 소비자의 문화상품 소비행위와 그 의미를 고찰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경제적 가치의 경우, 각 문화산업별 상품 수출과 연관지어 산출하고 있다. 개별 상품에 대한 직ㆍ간접적인 경제효과, 대한민국 브랜드 이미지의 상승, 정서적 유대감 제고 등 무형의 효과의 측정 등이 그것이다. 다음으로 문화산업별 소비행위와 그 의미의 해석인데, 그 부분은 몇 가지로 분류된다. 문화상품 소비에 관한 수용자 분석 가령 왜 소비하는가? 소비 후 어떠한 사회적 의미를 발동시키는가? 등의 문제제기와 한류 후 한국에 대한 이미지, 한국기업의 이미지와 선호성 등을 묻는 수용자 분석이 있다. 문화상품 소비에 관한 수용자 분석의 대표적인 예는 아시아 각국에서 한국 드라마를 좋아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을 들 수 있다. 일본은 한국 드라마의 운명적이며 순애보적인 사랑, 중국의 경우 가족의 따뜻함과 멜로의 달콤함이 각각 호소력이라고 분석했다. 또 아시아 각국의 문화상품 소비자의 사회적 의미를 발견하는 연구도 있다. 시카고 한국 드라마 매니아는 대장금을 보며 의견을 나누고 한국 문화에 대한 이해 증진을 도모하고 있다. 반면 한류에 반대하는 흐름인 반한류는 아시아 지역에서 한류의 인기가 높아지자 각국의 정부와 문화산업 종사자들은 아시아 지역인의 한류에 대한 기호가 그저 유행일 뿐이고, 한국 대중문화는 미국와 일본의 문화산업의 아류라고 폄하하고 있다.
2. 한계 및 전망
본고는 지금까지 미흡하나마 한류에 대한 담론들을 종합적으로 살펴봤다. 나름대로 한류에 대한 담론을 모두 담으려다 보니 하나의 일관된 주제로 그려나가는데 부족한 점이 많다. 또 한류에 발생된 부수적인 논의들 가령, 한류는 과연 한국문화에 대한 아시아인들의 열광인가? 한류는 지속시킬 대안은 무엇인가? 등에 관한 담론들도 다루지 못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류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논의되는 주요 담론을 담으려고 노력했다.
최근 한류 논의는 앞서 언급한데로 수용자적 접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 각 지역의 수용자적 분석은 문화산업별로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어 앞으로도 계속 진행되리라 본다. 그러나 한류가 지속된다는 가정 하에 연구는 지속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일부 문화산업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 한류의 인기가 시들하다. 일본의 드라마 시장과 대만 드라마 시장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전문가들은 한국 드라마에 식상해 대중들에게 점차 외면할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이처럼 한류의 지속성에 관한 논의도 계속적으로 나올 것이라고 본다. 또 각국의 정부나 문화산업의 종사자들의 입장에 관한 연구도 진행될 부분이다. 가령, 겨울연가를 흥행시킨 NHK 기획자들은 어떻게 한류를 접근하고 상품화 시켰는지 또 그 의미는 무엇인지, 혹은 한국 드라마 수입 후 위축된 대만 연예산업에 관한 연구 등이 그것이다.
한편으로 동아시아 각국은 문화산업 지원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일본은 오래전부터 문화산업에 대한 육성을 했고, 중국은 현재 문화산업에 큰 욕심을 내며, 지원하고 있다. 한국도 김대중 대통령시절부터 문화산업에 대한 열을 올려 왔다. 또 이들 국가 간의 문화산업은 때때로 문화산업간의 결합과 혼종, 글로컬라이제이션 최근 남미 지역과 미국의 남미계에는 미국 드라마가 아닌 남미 드라마 ‘텔레노벨라’가 최고의 인기를 모으고 있다는 점은 아시아 지역에서 한국 드라마와 인기를 모으는 것과 비교할 수 있어 흥미롭다.
을 통해 시장확대와 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최근 한국 드라마와 중국의 무협 드라마가 인기를 얻고 있고, 중국에서는 일본의 가수와 한국의 가수가 인기 경쟁을 하고 있다. 지금은 바로 그러한 시대이다. 이러한 문화산업간의 혼종과 경쟁은 심화돼, 초국적가적인 문화연구도 연구자들 의해 계속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어수웅(2006. 1. 6)「반짝 한류 막으려면 상호교류 늘려야」조선일보
서은정임진택(2004. 12. 2)「한류주역 '주식회사 욘사마' 경제효과는?」헤럴드경제
코리아 헤럴드 사설(2006.8.31)「Marketing Korean Pop Culture」
김현미(2001. 10. 30)「욕망의 동시성」『한겨레 21(382호)』
조선일보(2006. 4. 14)「한류 인기비결 국가별로 다르다」
윤경철(2006. 5. 11)「일본내 한류 ‘아~ 옛날이여’」헤럴드경제
정우상(2005.12.13)「겨울연가가 아랍영혼 울렸다」조선일보
김형인(2004)「미국에서의 한류확장 가능성」『 국제지역정보 제8권 10호(통권 135호)』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고정민(2005) 「한류의 지속과 기업의 활용」삼성경제연구소
조한혜정 외(2003)「글로벌 지각 변동의 징후로 읽는 ‘한류열풍’」『‘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연세대 출판부
김현미(2005)『글로벌 시대의 문화번역』또 하나의 문화
백원담(2005)「한류의 지속가능성」『국회도서관보 2005. 7』
이와부치 고이치(2004)『아시아를 잇는 대중문화』(하라타 유키에, 전오경 옮김), 또하나의 문화
문화관광부(2006)『2006 주요업무계획』
http://www.mct.go.kr/open_content/administrative/branch/branch_view.jsp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3.20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2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