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시스템][무역자동화]EDI(무역자동화)의 구성요소와 작동과정, EDI(무역자동화) 변환처리의 유형, 차세대 EDI(무역자동화)의 등장, VAN EDI(무역자동화)와 인터넷 EDI(무역자동화)의 비교, EDI(무역자동화)의 기대효과와 전망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EDI시스템][무역자동화]EDI(무역자동화)의 구성요소와 작동과정, EDI(무역자동화) 변환처리의 유형, 차세대 EDI(무역자동화)의 등장, VAN EDI(무역자동화)와 인터넷 EDI(무역자동화)의 비교, EDI(무역자동화)의 기대효과와 전망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EDI(무역자동화)의 구성요소

Ⅲ. EDI(무역자동화)의 작동과정
1. 1단계 : 전자 문서 준비
2. 2단계 : 외부 데이터로의 변환
3. 3단계 : 통신
4. 4단계 : 내부 데이터로의 변환
5. 5단계 : 전자 문서 처리

Ⅳ. EDI(무역자동화) 변환처리의 유형
1. HOST 방식
2. Front-end 방식
3. Stand-alone 방식

Ⅴ. 차세대 EDI(무역자동화)의 등장

Ⅵ. VAN EDI(무역자동화)와 인터넷 EDI(무역자동화)의 비교
1. VAN EDI
2. 인터넷 EDI

Ⅶ. EDI(무역자동화)의 기대효과

Ⅷ. 결론 및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있다.
따라서 오늘날에 있어 무역자동화는 무역업을 영위하는 기업에 있어 선택의 사항이 아닌 필수요건일 뿐 아니라, 무역자동화를 통하지 아니하고는 무한경쟁시대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Ⅷ. 결론 및 전망
EDI는 기업간에 전자적인 거래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추적인 수단으로 활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이제 EDI는 존폐의 기로에 서있는 상태이다. 향후 EDI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볼 수 있다. 미들웨어와 기업 대상의 응용 개발업체가 사용하는 message broker와 ORB가 전통적인 EDI를 대체할 수 있는 주요한 기술로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들은 기업들이 전자상거래를 이용하여 서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전자상거래를 위한 업무 프로세스를 공통적으로 정의해 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개발될 객체 클래스 라이브러리들은 여전히 개발업체와 응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업-대-기업간, 응용-대-응용간의 전자상거래를 손쉽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ORB와 message broker 기술들이 전통적인 EDI와 구현지침들을 완전하게 대체할 수 있는 솔루션일 수는 없다.
그 대신에 XML/EDI는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기업간에 사용할 업무 프로세스를 서술하고 업무 거래에 포함된 정보를 해석하는데 필요한 메타 데이터(즉, 데이터를 서술하는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교환하는 메시지가 수신측의 기술적 역량으로 처리될 수 있도록 교환하는 메시지를 캡슐화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대형 EDI 시스템을 갖추고 just-in-time, QR(Quick Response) 혹은 ECR(Efficient Customer Response) 등과 같은 업무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는 대기업들은 여전히 Batch 방식의 EDI를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전 세계적으로 약 25000-35,000여개의 업체). 그러나 이러한 대기업들도 소규모 거래업체들과의 전자적인 거래를 위해서 다른 종류의 API를 구현할 것이다. 여기에는 비표준적인 비즈니스 객체 클래스와 분산 컴퓨팅을 중심으로 구축된 팩키지 소프트웨어 API 등이 포함된다. 많은 기업들은 이러한 팩키지 API 솔루션을 이용하여 메시지의 전송뿐만 아니라 웹을 통한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등을 지원할 것이다. 또한 XML/EDI의 발전과 객체 클래스 및 분산 컴퓨팅 기술을 웹과 연결함으로써 EDI가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전통적인 EDI를 포함한 다양한 차세대 EDI 기술들은 상호 보완적이고 병렬적이다. 다시 말해서 조만간에 어느 하나의 EDI 기술이 여타 EDI 기술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즉 전통적인 EDI는 그 나름대로 발전해 나갈 것이고 보다 많은 기능을 갖춘 차세대 EDI 기술도 그 나름대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참고문헌
▷ 김재욱·박명섭(1996), 물류 정보시스템의 EDI도입과 성과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제 25권, 4호
▷ 김우규, 관세행정에서의 EDI 시스템 추진현황
▷ 박준철(1998), EDI 이용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 외국어대학교 경영정보학 석사학위 논문
▷ 이현수·강원식(1996), 국외 EDI SYSTEM 현황의 비교분석, 한국해운학회지
▷ 한국전자거래표준원(1998), EDI/EC Magazine, 가을호
▷ 한국전산원(1996), 전자거래 및 EDI 관련 법제도 정비방향 연구
▷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1996), EDI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도, 사업구조에 관한연구, 연구과제발표자료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3.2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4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