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자 정약용과 성리학의 사상jo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학자 정약용과 성리학의 사상j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학사상에 나타난 정치사상
1) 민본주의적 왕도정치 사상
2) 평등사상
3) 능력본위의 인재등용
4) 덕치·예치주의 사상
5) 다산 실학사상의 의의

2. 정약용의 성리학 사상
1) 성리학의 전래와 초기 수용
(1) 양반 사회의 통치이념화
(2) 의리 실천의 도학적 경향
(3) 이기심성(理氣心性)의 이론적 탐구
(4) 예학적 변용과 그 구현
(5) 인성(人性)·물성(物性)의 동이론(同異論)
2) 성리학에 대한 도전과 성리학의 응전
3) 한국 성리학의 특징
① 정주학의 절대 우위
② 주지주의(主知主義)적 경향
③ 예학(禮學)의 발달
④ 주리론(主理論)의 보수성
⑤ 인존정신(人尊精神)의 지향
4) 정약용과 성리학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조선의 문화적·철학적 담론의 보편양식이었다. 실학과 개화의 시대조차도 이 담론의 양식에서 자유롭지 않았다. 따라서 조선에 태어난 학자, 정약용의 철학을 온전히 이해한다는 것은 성리학의 맥락을 떠나서는 쉽지 않다. 정약용은 성리학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었을까. 그리고 어떤 계기를 통해 성리학의 전면적 비판을 행했고 그리하여 나름의 철학을 전혀 다른 패러다임 위에 정립하게 되었을까. 이 질문에 다가서는 가장 유효한 디딤돌은 역시 조선 유학의 방향을 정한 두 거인, 이황과 이이의 철학적 갈등이다. 정약용은 당대의 누구나 그랬듯이 이 문제를 안고 심각한 고뇌와 모색의 방황을 거듭했다. 과연 누가 옳은가. 동일하게 주희의 사유에 기반을 두면서 어떻게 서로 다른 철학적 체계를 형성할 수 있는가.
초기의 정약용은 이이의 사상에 동의하여, "기는 독립적 실체인 데 비해 理는 의존적 이상을 갖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차츰 두 설 모두 독자적인 가치를 지닌 독립된 체계임을 인정하게 된다. 퇴계와 율곡이 비록 똑같이 사단과 칠정을 논하고 있고, 함께 리기를 담론하고 있으되 그 리기 두 글자의 해석이 현격히 다르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황은 인간 속에서 갈등하는 사회성과 이기성에 입각하여 리기를 논했고, 이이는 체용이라는 포괄적 세계관의 관점에서 리기를 논했던 것이다. 둘은 동일한 개념을 쓰고 있는 서로 다른 체계임을 자각한 정약용은 논쟁을 통해 두 체계를 귀일할 해결책은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정약용은 이에서 그치지 않고, 이 두 설에 대한 객관적 공정의 이름 뒤에 자신의 견해를 숨기지 않았다. 정약용의 철학은 리기론 위에 서 있지 않다. 그는 인간과 세계를 연속적으로 읽어서는 인간의 실상을 적절히 이해할 수 없다는 자각에서 성리학의 구상을 벗어 던졌다. 정약용은 주희의 사유, 그리고 주희의 사유를 충실히 정돈하고 있는 이이의 사유를 무기명으로 함께 비판했다.
이상과 같이 정약용은 그의 개혁 사상이 가지고 있는 특성들은 그의 철학적 사유 내지는 역사관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 그는 새로운 천관을 제시하며 천명과 인간본성이 이중구조적 단일체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여기서 그는 성리학의 입장과는 다른 인간관과 윤리관을 가질 수 있었고, 제반 사회개혁론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그는 역사관에 있어서도 특출한 면을 드러내고 있다. 즉, 민의 일상적 생산활동을 통해 과학기술이 진보, 발전된다는 인식을 확립했던 것이다. 그리고 역사적 사실의 객관적 이해를 위해 노력했고 그것이 도덕적 가치와는 무관하게 존재하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비로소 그는 역사발전의 원동력이 민에 있음을 인식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정약용의 사상은 당시 사회가 직면해 있던 봉건적 질곡을 극복할 수 있는 탁월한 것이었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학계에서는 그를 실학사상의 집대성자이자 조선 후기 사회가 배출한 대표적 개혁사상가로 평가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당시 사회가 직면해 있던 각종 해체 현상을 직시하고, 사회개혁을 위한 여러 방향을 모색하였다. 그리고 현실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의식을 가지고 그 문제점들을 찾아 나갔다. 나아가 그는 문제점이 가지고 있는 근본적 원인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그 문제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개혁안을 마련해 보기 위해 노력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개혁안은 정조와 같은 성군이 왕도정치의 구현을 위해서 실천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 왕도정치의 실현에는 창의적이고 강직한 신하의 보필이 필요하며, 아마도 자신이 이와 같은 역할을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 듯하다. 정약용은 정조의 치세기였던 자신의 젊은 시절에는 한때 관직에 있으면서 직접 개혁 정사를 실천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생애의 대부분은 개혁의 현장과 유리된 상태에서 보내게 되었고, 오랜 귀양살이를 통해 당시 사회의 피폐상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었다. 이로써 그는 이상적이며 참신한 개혁안들을 제시할 수 있었던 것이다.
반면에 그는 개혁안을 자신이 직접 추진할 수 없었고, 관직에 대한 경험 부족은 그의 개혁안에 현장성의 결여라는 문제점을 안겨주었다. 즉, 개혁의 목표와 개혁된 사회상에 대해서는 뚜렷이 제시하고 있지만, 개혁된 사회를 이루기 위한 구체적 방법이나 과정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안을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여기서 그의 개혁안이 가지고 있는 이상적 특성과 함께 실천에 있어서의 제한성이 드러나게 된다. 한편, 그의 개혁안은 민본주의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민본주의에서는 민을 객체화하여 통치나 보호의 대상으로만 파악할 뿐, 민 자신을 통치의 주체로 인식하지는 못했던 것이다. 이러한 제약성은 그 개혁안의 실현가능성에 상당한 의문을 제기하게 된다.
그러나 정약용은 18세기를 전후하여 우리나라 사회에서 강력히 제시되고 있던 개혁의 의지를 집대성했고, 개혁의 당위성을 명백히 해주었던 인물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에게는 개혁을 향한 열정과 함께, 빈곤과 착취에 시달리던 민에 대한 애정이 확연히 드러나고 있다. 그는 시대의 문제점을 밝혀내는 데 과감했으며,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고뇌하던 양심적인 지식인이었다. 그는 이상적인 왕도정치가 이 땅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리라는 희망을 간직하고 있었다. 그러기에 그는 스스로 좌절하지 않고 그 방대한 개혁사상을 전개해 나갈 수 있었다. 우리는 그의 개혁안이 묵살되거나 좌절되어가는 과정에서 조선왕조의 몰락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문식, 조선후기 經學사상연구
-김형효, 《다산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미》, 한국정신문화원, 1998-다산연구소, http://www.idasan.org/-「茶山丁若鏞 : 실학의 세계」, 금장태,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9.
-「실학파의 철학사상」, 주칠성, 예문서원, 1996
-유동원, 1983, 한국실학개론, 정음 문화사,
-이재룡, 1975, <한국사>
-정약용 저/ 박석무정해렴 편역, 《다산논설선집》, 현대실학사, 1996
-최익한, 1989, 한국실학개론, 청년사, -최익한, 1989, 실학파와 정약용 청년사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청년사, 1989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