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환자][환자간호][중환자][중환자실]간호의 정의, 간호 메타패러다임, 환자상태의 평가 방법, 중환자실의 설비, 중환자실의 기구, 중환자실의 기계환기, 중환자실의 간호 지침, 중환자실의 간호시 주의사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간호][환자][환자간호][중환자][중환자실]간호의 정의, 간호 메타패러다임, 환자상태의 평가 방법, 중환자실의 설비, 중환자실의 기구, 중환자실의 기계환기, 중환자실의 간호 지침, 중환자실의 간호시 주의사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간호의 정의와 메타패러다임
1. 인간
2. 환경
3. 건강
4. 간호

Ⅲ. 환자상태의 평가 방법
1. 평가의 기본적인 사항
2. 우선순위
1) 외상의 경우
2) 급성질병의 경우
3) 의식장해가 없을 경우
4) 의식장해가 있을 경우
3. 환자평가
1) 외관관찰
2) 표정
3) 구토, 실금
4) 활력징후(Vital sign)

Ⅳ. 중환자실의 설비와 기구
1. pulse oximetry
2. 심전도
3. 심율동전환기
4. nebulizer
5. Emergency Kit
1) Air way
2) Ambu bag & Mask
3) Laryngoscope
4) Endotracheal tube
6. 인공호흡기

Ⅴ. 중환자실의 기계환기
1. 적응증
1) Primary Indicators(주 적응증)
2) Clinical Indicator(임상적 적응증)
2. Mechanical ventilator의 분류
1) Negative Pressure ventilator
2) Positive Pressure ventilator
3. Modes of Mechanical ventilation
1) Spontaneous
2) PEEP
3) CPAP
4) BiPAP
5) Control mode
6) Assist/Control ventilation
7) IMV(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8) SIMV(Synchronized Intermittent mandatory ventilation)
9) MMV(Mandatory Minute Volume)
10) IRV(Inverse I:E ratio ventilation)
11) PSV(Pressure support ventilation)
12) PCV(Pressure control ventilation)
13) 기타환기 방식
4. 인공호흡기와 관련된 변화
1) 양압 환기로 인한 합병증
2) 전신적인 효과
3) 심리적인 효과
5. 인공환기로 부터의 중단(Weaning)
1) 중단 기준
2) 중단 시도가 실패할 경우
3) 중단 방법
6. 인공환기 환자의 호흡관리
1) 원리 이해
2) 환기개선 및 산소화 개선의 전략

Ⅵ. 중환자실의 간호 지침
1. chane position : 적절한 체위 유지
2. Tube Feeding : 경장영양
1) 관 삽입부위
2) 관의 형태
3) 영양액 투여 원리
4) 실습 관찰
3. Vital Sign check : 활력징후 사정
1) 활력징후의 필요성
2) 활력징후가 필요한 상황
3) 활력징후의 측정시기
4) 실습 관찰
4. Suction : 흡인 간호
1) 목적
2) 준비물품
3) 흡인방법

Ⅶ. 중환자실의 간호시 주의사항
1. 병원 감염의 최소화
1)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병원 감염 - 폐렴, 창상 감염, 요로 감염 등
2) 병원감염예방
2. 환자간호와 안전관리
1) 낙상
2) 억제를 사용할 경우 유의사항
3) 열
4) 피부관리
5) 화학약품
6) 유기물질
7) 정서적 안정유지
8) 자해행위 예방
9) 자살기도 예방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로) 한다. 정맥주사를 주입하고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IV Pole이 항상 허리선 이하에 있도록 한다. 치료시, 침상을 오르고 내릴 때에도 환자를 잘 부축하여 보호한다.
2) 억제를 사용할 경우 유의사항
억제의 방법이 적절해야 한다.(손목 둘레에 맞추어 고리가 지어지게 한다.) 최소한의 필요한 시간만 이용토록 하며, 지나치지 않도록 한다. 국소적인 과도한 압박을 피한다. 장시간 억제대 사용시는 정기적으로 이를 제거하였다가 다시 실시하며 순환 상태를 관찰 한다. 흉부억제의 경우는 호흡에 지장이 없는가를 확인한다. 소아의 억제는 피부가 연하고 뼈가 가늘며 관절이 약하다는 것을 고려한다.
3) 열
임상에서 흔히 발생하는 사고이므로 각별한 주의를 요한다. 순환 장애가 있는 경우에 더운찜질을 많이 사용하며, 이로 인한 화상은 치유가 힘들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열에 의하여 발생가능한 문제의 가장 흔한 원인은 화재, 더운찜질, 더운물 주머니, 전기기구 등의 사용으로 인한다. 병원에서 사용되는 전기기구는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환자가 사용하는 전기기구 등은 간호사가 미리 점검하여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한다. 중환자실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문제는 관장이나 좌욕시에 부적절한 온도의 용액, 석고붕대, 또는 더운물주머니에 의한 열상이다. 하반신 마비환자, 혼수상태의 환자, 피부가 예민한 환자, 순환장애, 당뇨병 환자, 노인, 영유아에게는 사용시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더운 물주머니에 사용되는 물은 온도를 측정한 후 알맞은 온도일 때 주머니에 담궈야 한다. (감각과 순환이 완전한 성인의 경우 46℃~51℃, 무의식 또는 쇠약하거나 순환기 장애가 있는 성인일 경우 40℃~46℃ 이하)
더운물 주머니의 물의 양은 주머니의 1/2~2/3 정도 채우고 주머니를 평평한 곳에 놓고가볍게 눌러 공기를 배출시킨 다음 마개(Clamp)를 안전하게 잠궈야 한다. 주머니 입구 쪽을 아래로 향하여 흔들어 보아 물이 새는지 점검한 후 더운물 주머니용 덮개에 싸도록 한다.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매 2시간마다 교환해주어 필요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얼음주머니의 경우 대준 부위에 과냉 또는 압력에 의해 조지기 저리거나 푸른 반점이 생기는지 등을 잘 관찰하고 마개부분으로부터 압력을 받지 않도록 부위를 교대하여 사고를 예방하도록 한다.
4) 피부관리
환자 중에는 의식이 없는 경우나 병에 따라 사지마비가 오는 경우 스스로 몸을 움직이지 못해 그대로 방치해두면 Foot drop 이나 압력으로 인한 신경손상 및 욕창을 일으키기 쉽다. 그러므로 아래의 사향에 유의하여 예방에 힘쓰도록 한다.
체위변경을 2사간마다 행하며 압력을 받을 수 있는 돌출부위나 서로 맞닿는 부위를 자주 마사지하여 베개나 부드러운 솜뭉치 같은 것을 만들어 대어준다. Back care는 1일 6회 정도하여 피부상태를 관찰하도록 한다. 발치에 Footboard를 대주어 Foot drop을 예방하되 Heel sore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유의한다(발치에 베개로 대용할 수도 있다). 피부와 피부 주위에 심한 압축이나 마찰을 줄 수 있는 외부 장치, 열, 냉의 자극을 주는 장치를 통한 위험을 예방한다. 가능하면 의식이 없거나 사지마비가 있는 장기환자의 경우 Water mattress나 Air mattress를 사용하여 욕창방지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5) 화학약품
방부제 또는 상처 치료용 약품 등 유독한 화학물질은 환자 침상 근처에 두지 않도록 하며, 사용할 때에는 조심하여 다루도록 한다. 약장에 보관할 때에도 환자에게 투약할 약과 구분하여 별도로 관리하며 보통 사용하는 약품이라도 용량이 과다하거나 너무 자주 사용하면 유해하다는 것을 명심한다. 간호사는 약품을 다룰 때 용량이 적은 약품일수록 그 측정과 계산법에 특별한 주의를 요하며 약품 성질에 따라 보관 방법, 명확한 약품명, 변질약품의 처리 등은 간호사의 특별한 의무가 된다.
6) 유기물질
유기물질에 대한 안전 대책은 한 환자에게서 다른 환자에게 병을 감염시키거나 전파시킬 수 있는 이물질이나 분비물 등을 안전하게 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과 음식물의 안전한 처리방법과 매매업자의 식품취급은 반드시 감염을 방지하는 방법을 따라야 한다. 분비물이 묻어 있는 오염 물질 등은 경우에 따라서 하수도에 버리기 전에 소독을 요한다. 해로운 유기물은 손을 통하여 전파되므로 의사, 간호사, 기타 직원(면회객)들은 손을 자주 씻도록 한다.
7) 정서적 안정유지
정서적 안정유지를 위한 안전관리는 감정적 혼동과 흥분을 예방하는데 있으며 이는 간호사의 정숙하고 신뢰성 있는 태도와 안정된 분위기를 조성해 주고, 환자에게 용기를 줌으로써 도움을 줄 수 있다.
8) 자해행위 예방
볼펜이나 음료수 캔의 예리한 날, 바늘, 면도날 등으로 자신의 몸에 상처를 내거나 몸을 찌르는 경우가 있다. 이런 위험이 있는 환자는 좀 더 다른 것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고 자해 행위에 사용할 수 있는 도구는 모두 제거하도록 하며 소지품의 점검을 자주하여 환자파악에 만전을 기하도록 한다.
9) 자살기도 예방
자살을 시도하려는 사람은 말이나 태도에 자살의도를 비치므로 말이나 행동 하나 하나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예방토록 하며, 다음과 같은 경우 주의가 요구된다.
- 유난히 우울해 하고 보통 때와는 다른 태도를 보일 때.
- 죽고 싶다는 말을 할 때
- 대인 관계의 변화가 올 때
- 사람을 피하고 혼자 있으려 할 때
- 자주 울고 슬퍼 할 때
- 모든 일을 귀찮아 할 때
- 중요한 대상자의 상실이 있었을 때
- 위험한 물건이나 약 등을 소지 했을 때
- 잠을 못자고 특히 새벽에 깨어 우울해 할 때
- 식사를 잘 안하고 불안정할 때
참고문헌
◇ 고금자 외, 성인간호학 호흡기·순환계·혈액계, 도서출판 정담
◇ 김문실 외, 최신 수술실환자간호, 수문사
◇ 김매자 외, 성인간호학 하(1), 현문사, 2000
◇ 김조자·노유자·최영희, 성인간호학 상(2), 현문사, 2000
◇ 서문자 외, 성인간호학
◇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 문제중심학습 실습지침서, 정담미디어
◇ 이소우 외, 간호이론의 이해, 수문사, 2000

키워드

  • 가격10,000
  • 페이지수35페이지
  • 등록일2009.04.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92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