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사회전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국이란?

2. 중국의 기후

3. 중국의 산업

4. 중국의 물가와 노동 및 임금

5. 천차만별의 급여 체계

6. 중국의 사회, 문화, 경제적 변화

본문내용

해왔는데, 이는 정부가 노동력 배치하여 직업·임금을 결정하는 제도이다. 개혁·개방 이후 경제영역의 확대와 자율화로 노사간의 계약형식이 도입되게 되어 과거의 ‘쇠솥밥[鐵飯碗]’이라는 평생직장 개념이 흔들리고 있다. 실업률은 2005년 기준 9% 이다.
새로운 고용제의 기본방침은 공개채용, 자발적 지원, 우수인재 채용, 수습노동자의 견습기간 제도화, 수습성적에 따른 채용, 자유로운 퇴직 허용 등을 근간으로 한다. 1952년부터 시작된 사회주의 분배원칙에 입각한 계획임금제도로 중국의 임금은 전반적으로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경제개혁 이후 상여금 및 성과급을 지급하고, 식품가격보조와 승진에 따른 임금가산제 등으로 임금구조가 개선되었고, 임금은 개체경제(個體經濟)나 사영경제(私營經濟)에서 빠르게 상승되었다.
2000년 상반기의 도시지역 임금근로자 평균임금(6개월)은 4,1770위안(국유기업 4,296위안, 민간기업 2,777위안, 기타 산업단위 4,904위안)이다. 금융보험(5,881원), 과학연구, 종합기술서비스업(5,844원), 전력·가스 및 수도업(5,796위안)이 제조업의 평균임금(3,829위안)보다 훨씬 많고 매년 격차가 심해지고 있다. 2004년에는 석유화공이 7,949위안, 금융 7,457위안, 운송및 물류 7,269위안 등 주요 제조업과 금융업에서는 7,000위안을 상회하였다.
5. 천차만별의 급여 체계
(1) 파견 형식 채용의 경우
한국에서 채용되어 중국에 파견 형식으로 근무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경우가 모든 조건 면에서 가장 유리하다. 대부분의 경우, 급여 외에 주택(혹은 기숙사), 식사 등이 무료로 제공된다. 또한, 각종 비자 연장 관련 비용, 비행기 비용 등이 제공되며, 급여는 일반적으로 세금은 회사에서 부담하고, 전액을 근로자에게 준다. 이러한 파견 형식 채용에 있어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데, 대기업의 경우는 주택제공, 자녀학비지원, 파견 수당 지급 등이 더 포함된다. 그래서 외국에 나가 보면 대기업 주재원들의 생활은 어느 중소기업 사장의 생활과 견주어도 전혀 손색이 없을 정도로 꽤 괜찮다. 중소기업의 경우에도 좋은 기업은 파견 수당이 별도로 지급되는 경우가 있다.
(2) 현지 채용 형식의 경우
중국에서는 현지 채용은 절대로 권하고 싶지 않은 형식이다. 그도 그럴 것이 감당해야 할 불이익이 너무나 많다. 첫째로 주택관련 비용이 제공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급여도 파견 형식의 채용보다 낮은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현지 채용의 경우 한달에 1,200위엔(144,000원) 받고 다니는 사람도 있다.
6. 중국의 사회, 문화, 경제적 변화
현대 중국은 이념적으로 사회주의 사상과 실용주의 사상 간의 대립과 조절 과정을 겪고 있다. 1970년대 중반 이전까지 주류를 이루었던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강조하는 모택동 사상은 중국 사회가 안고 있는 실제적인 문제와 중국혁명을 올바로 인식하기 위하여 마르크스주의를 이론과 이념으로서가 아니라 행동의 지침으로 간주하여 중국의 현실에 적합하게 적용하고자 하였다.
  • 가격1,1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16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03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