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왕국 신라를 읽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천년의 왕국 신라를 읽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박ㆍ석ㆍ김의 나라
2. 노련한 지증왕
3. 거룩한 법흥대왕
4. 짧고 굵게 산 영웅 진흥태왕
5. 못다핀 채 스러져간 진지왕
6. 하늘이 준 옥대를 찬 진평왕
7. 향기가 나는 선덕여왕
8. 마지막 성골 진덕여왕
9. 새로운 왕실의 싹 비형랑
결론(느낀점)

본문내용

를 기약한 선덕여왕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8. 마지막 성골 진덕여왕
상대등 비담이 일으킨 반란의 와중에서 선덕여왕이 죽고, 사촌여동생인 승만, 진덕여왕이 즉위를 한다. 그녀는 남아있는 마지막 성골로서 이 시기는 통일을 위한 노력이 점차 구체화되고, 김유신과 김춘추가 실권을 장악한 시기였다. 김춘추의 뛰어난 외교술이 빛을 발하였고, 그 덕으로 당의 원조와 당나라식 복식을 들여올 수 있었다. 진덕여왕은 비교적 김유신과 김춘추의 뒷받침으로 왕권이 안정된 가운데, 비록 허수아비와 같은 역할이었지만 마지막 성골왕으로서 역할을 다했다.
9. 새로운 왕실의 싹 비형랑
이 장에서는 김춘추의 아버지인 용춘의 탄생과 일생을 통해 새로운 진골왕실의 탄생을 들려준다. 용춘이 진지왕의 아들이라는 것과 전해져 내려오는 도화녀 비형랑 설화를 분석하여, 비형랑이 용춘임을 밝혀내고 있다. 즉, 일찍 폐위당한 진평왕과 도화녀 사이에서 태어난 용춘이 유복자이고, 폐위된 왕의 아들이라는 약점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인생을 헤쳐나가 마침내 새로운 진골왕실을 개척해 내는지를 당시 신라 민중의 설화창작 심리를 감안해 해석해내고 있다.
또한 ‘비형’이 코의 가시를 나타냄으로서 당시 코에 뿔이 있는 형태로 형상화된 용을 함축하는 단어라는 해석을 제시하는데 이것 또한 흥미로운 해석이다. 저자는 진평왕 재위시절 상대적으로 위태로운 신분이었던 용춘이 국가의 공을 세우며 성장하여, 김춘추가 왕위에 등극할 수 있는 기반을 닦은 것을 높이 평가한다. 즉 환경을 극복한 어느 신라인의 성공시대라고 말 할 수도 있겠다.
책을 읽고 나서
이 책은 지은이가 쓰고자 했던 인간중시의 이야기로서의 역사의 의도를 충분히 반영하여 딱딱해 지기 쉬운 역사를 이해하기 쉽게 풀어냈다는 점에서 높게 평가 하고 싶다. 돋보이는 점은 삼국사기, 삼국유사 외에도 각종 신라의 금석문 자료를 다양하게 인용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아주 작은 단서들도 어떻게 당시 사회상을 알 수 있는 큰 실마리가 되는지 알 수 있었고 실제로 고대 신라인들이 왜 금석문을 세웠는지 그리고 거기에는 무엇이 적혀있었는지 실제로 한번 읽어볼 수 있었다.
나의 역사를 보는 폭도 많이 넓어졌다. 지금까지 서너 번 경주를 가서 여러 문화유산을 보았다. 첨성대를 보면서 늘 생각한 것은 신라인들이 이걸 만들어서 천체를 관측했으려니 하는 단순한 생각이었다. 지금 만약 첨성대를 본다면 그 우주우물을 통해 매일 밤 천상과 교통하기를 염원하였던 선덕여왕의 슬픈 심정이 떠오를 것이다.
필자는 객관적인 사료를 토대로 역사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당시 있었을지도 모르는 역사적인 사실성을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이렇게 엮어간 논의된 많은 고대사 자료에 대한 분석과 석가모니의 탄생을 염원했던 진평왕, 고대의 우주관에서 연원한 첨성대의 상징성, 선덕여왕을 모델로 한 듯 한 감실석불의 한국적 아름다움, 신라 중대 왕실을 열어간 숨겨진 비형의 이야기 등은 독자들에게 고대사의 생생한 일면을 전해주고 있으며 한번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 볼 수 있는 대중역사서로써 추천하고 싶다.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4.28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23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