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양란의 충격과 문학적 대응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머리말

II. 양란과 문학
1) 양란을 제재로 한 작품
2) 군담소설의 발달
3) 기행기록을 통한 민족감정

III. 맺음말

본문내용

일기>에서 그리고 있는 조선인 포로가 노예시장에서 사고 팔리는 처참한 광경을 사실적으로 기록한 것들이 그것이다.
III. 맺음말
지금까지 양란을 제재로 한 작품을 통하여 문학적인 대응방식을 살펴보고 <삼국지연의> 등의 전란을 계기로 한 외래문화의 유입과 군담소설발달의 상관적 측면을 확인해 보았다. 또한 전란 후 일, 중의 내왕기행문들의 기록을 통해 생생한 민족적 감정의 측면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학의 모습은 전란을 계기로 외적으로 민족적 분노를 수용하며 내적으로는 자신의 체질을 반성하는 양면적 성격이 표리를 이루어 그것이 작자와 독자를 성장시켜 온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영·정조연간에 일어나는 문예부흥이 계속 되는동안 전란을 극복하고 자성의 시간을 통해 축적된 민중의 힘과 성실성이 결합되어 우리 문학이 진일보하여 풍자소설, 사설시조, 판소리 등 현실을 폭로하고 탐구하려는 민중적 장르의 발달과 더불어 성장을 기약하는 토대를 이루어나가게 되는 것이다.
※ 참고자료
조동일,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82
장덕순, 「병자호란을 전후한 전쟁소설」,『인문과학』, 1959
이동근, 「임진왜란과 문학적 대응」,『관악어문연구』, 1995
  • 가격1,5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5.02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2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