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자본][사회자본론][콜맨][부르디외]사회자본의 정의, 사회자본의 구성요소, 콜맨의 사회자본론, 부르디외의 사회자본론, 콜맨과 브루디외의 사회자본론 비교, 콜맨과 부르디외의 사회자본론 비판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자본][사회자본론][콜맨][부르디외]사회자본의 정의, 사회자본의 구성요소, 콜맨의 사회자본론, 부르디외의 사회자본론, 콜맨과 브루디외의 사회자본론 비교, 콜맨과 부르디외의 사회자본론 비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사회자본의 정의

Ⅲ. 사회자본의 구성요소

Ⅳ. 콜맨의 사회자본론

Ⅴ. 부르디외의 사회자본론

Ⅵ. 콜맨과 브루디외의 사회자본론 비교
1. 이론적 맥락
2. 사회자본의 구조
3. 사회자본의 특징
4. 사회자본의 생성 조건
5. 사회자본의 형태
6. 사회자본의 측정도구

Ⅶ. 콜맨과 부르디외의 사회자본론 비판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범적 요소에 경제학적인 자본 개념의 체계적인 적용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인적자본, 문화적 자본 개념의 사용은 곧 바로 사회적 자본 개념을 산출하게 되어 있다.
잘 알려져 있듯이 부르디외는 그의 이론체계에 맑스주의를 상당히 도입하였던 이론가다. 따라서 그의 자본 개념은 기본적으로 맑스의 것이다. 그러나 자본 개념을 경제적 영역 보다는 교육, 문화, 사회 방면에 주로 응용하고 있는 것은 베버의 영향이다. 결국 미국계열에서 인적자본-사회적 자본 개념은 신고전파의 한계효용이론, 신효용주의(neo-Utilitariamism) 철학에서 비롯한 것이고, 부르디외의 문화적 자본-사회적 자본 개념은 맑스-베버의 이론체계에서 비롯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 다룰 콜만은 미국 주류경제학의 방법론을 사회학에 도입하고 있는 대표적인 미국의 사회학자이며, 푸트남은 이러한 흐름에 토크빌의 시민사회론을 가미하여 사회적 자본 개념을 종합화한 이태리 출신의 미국 정치학자다.
이렇듯 극히 개괄적으로 본 개념 계통을 보더라도 사회적 자본의 개념은 매우 상이한 이론적 전통들에 젖줄을 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개념의 용례와 내용이 극히 다양할 수밖에 없는 것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사회적 자본에 대해 최초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했던 부르디외와 콜만의 사회적 자본 개념을 검토함으로서, 이 개념에 대한 가장 중요한 기본 흐름들은 대체로 포착할 수 있다고 본다.
Ⅷ. 결론
사회자본이 국가 및 사회의 성장, 형평성, 빈곤탈출 등을 포함하는 발전결과에 영향을 준다는 실증적 결과는 많이 있다. 이러한 사회자본의 실질적인 결과는 사회자본이 ① 정보공유의 역할을 하여 공식·비공식제도가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여 시장실패를 최소화하고, ② 개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구성원들간의 신뢰를 회복하게 하는 조정역할을 하며, ③ 집단적 의사결정을 통해 외부효과를 창출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Segageldin & Grootaert, 2000: 48-49). 경제적 관점에서 보더라도 사회자본은 투자의 편익(Putnam, 1993b)과 경제성장(Arrow, 2000: 3)을 증진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Seragedin과 Grootaert(2000)의 주장대로 사회자본이 없다면 대체로 사회는 붕괴될 것이며, 사회자본 형성이 미약한 사회는 경제적 성장,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보호, 복지사회 건설 등이 어려울 수 있다. 자연자원, 인적 자본, 생산량이 같은 국가라 하더라도 경제적 성취가 다른 국가의 예에서 사회자본의 긍정적인 측면을 알 수 있다. 2차대전 이후 미발전국이었던 아시아의 많은 국가들은 발전한 반면, 아프리카 국가들은 미발전 상태로 남아있는 것은 사회자본이론으로 설명 가능하다. 또한 한 국가내의 다른 지역, 그리고 한 지역 내에 있지만 다른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는 집단구성원들이 상이한 집단문화를 형성하는 것은 인간간의 관계, 즉 사회자본이 분명히 존재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사회자본은 관계에 존재하며, 관계는 교환을 통해 형성된다(Bourdieu, 1986). 관계형성을 통한 연계의 유형이 사회자본의 토대가 된다. 교환을 통해 형성·유지되는 사회자본이 결국 교환을 촉진하는 순환과정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서로 신뢰하게 되면 보다 기꺼이 상호 협력하고자 하고 이는 다시 신뢰를 증진하게 된다. 따라서 신뢰, 규범, 네트워크와 같은 사회자본의 국면들은 조직 내 구성원의 활동을 원활하게 하고(Nahapiet & Ghoshal, 1998: 250), 이로써 조직의 문제해결 능력이 증진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조직성과와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사회자본이 지방정부조직 내 업무환경과 지방정부 효과성과의 어떤 인과관계가 있을지를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지방정부 조직 내의 업무환경이 조직구성원의 사회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조직구성원의 사회자본이 조직의 업무환경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조직 내 사회자본으로 조직 업무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것과 조직 업무환경의 개선으로 조직구성원의 사회자본 축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결과이다.
한편, 지역사회 수준에서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지방정부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방정부 효과성이 지역사회 사회자본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거버넌스에 영향을 미치고 지역사회의 역량을 증가시킨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박희봉·김명환, 2001a)를 재확인하였다는 의미도 있다. 즉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지역사회 거버넌스와 역량을 증가시켜, 궁극적으로 지방정부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방정부 효과성이 지역사회 사회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지방정부의 노력에 의해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형성될 가능성을 시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전통적인 사회자본이론가들(Putnam, 1993b; Fukuyama, 1995)에 의하면 사회자본 형성에 정부가 역할을 할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정부가 관여하게 되면 부정적인 사회자본이 형성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물론 Evans(1996)와 Skocpol(1996) 등의 학자들은 사회자본 형성에 대한 정부의 역할을 주장하고 있지만, 아직은 다수의 주장은 아니다. 따라서 우리나라 경우에 있어서는 지방정부의 노력 여하에 따라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형성될 수 있다는 점을 본 연구에서 실증적으로 밝혀졌다는 데서 매우 의미가 있다.
참고문헌
◎ 김태룡(2006), 시민단체가 사회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40권, 제3호
◎ 김상묵·박희봉·강제상(2001), 지적 자본 형성 및 효과 - 조직내 사회자본과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행정학회 학술세미나 발표논문
◎ 서순탁(2001), 사회자본 접근방법의 정책적 함의: 도시계획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하계학술대회
◎ 소진광(2004), 사회적 자본의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 유재원(2000), 사회자본과 자발적 결사체, 한국정책학회보 9권 3호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5.0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4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