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원론]'엠씨엠(MCM)' 마케팅전략 분석 및 브랜드강화 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케팅원론]'엠씨엠(MCM)' 마케팅전략 분석 및 브랜드강화 전략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MCM 마케팅목표
2. MCM 환경분석
1) 패션산업
2) 소비자
3) 인구통계학적 환경
4) 경제적 환경
5) 사회문화적 환경
6) SWOT분석
3. MCM STP
1) 시장세분화(Segmentation)
2) 목표시장선정(Targeting)
3) 포지셔닝(Positioning)

4. MCM 4P's Mix
1) 제품(Product)
2) 가격(Price)
3) 유통(Place)
4) 촉진(Promotion)

Ⅲ. 결 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자 세대만을 돕겠다고 월드비전의 문을 두드린 때가 지난해 말이다. 그 때 저소득 가정을 위해 6천5백만원 상당의 현물을 기부하기도 했다.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회사의 전국 매장에 가장 여성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적극 열어놓겠다는 성주 쪽 계획이다. 하지만 당장 실현되긴 어려워 보인다.
대부분 생활고를 겪는 한 부모 가정의 생활터전이 매장이 편중되어 있는 대도시와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상대적으로 젊은 여성에 국한될 일이다.
성주가 월드비전과 함께 궁리해야할 대목이다. 만일 하나의 유형을 구축하면 한 부모 여성에게 물고기 대신 낚싯대를 쥐어주는 일에 속도가 붙을 수 있다.
“여성을 주 고객으로 하는 기업에서 얻은 수익을 여성에게 환원하는 일은 지극히 당연해요.” 지난해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선정한 ‘주목할만한 세계 50대 여성기업인’으로 뽑히기도 했던 김 사장은 기업을 하나의 ‘기업시민’으로 인식하며 지난해만도 회사의 순이익 가운데 12%를 사회로 돌려보냈다.
“너무 작은 액수로 시작하지만, 지속적으로 돕겠습니다.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는 여성과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 지, 이 사회가 어떻게 책임져야 하는지 다시금 새겨봅니다.” 협약식에 참석한 김 사장의 작은 목소리였다.
임인택 기자 imit@hani.co.kr
ⓒ 한겨레(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매스티지 마케팅』에서 말하는 Promotion 전략에서 알아두어야 할 것들
제품의 브랜드, 상점의 브랜드, 가격과 가치의 상관관계가 판매를 촉진한다.
브랜드는 잘 샀다고 생각하게 하는 이유는 되지만 브랜드 때문에 사는 것은 아니다.
너희들은 가질 수 없지만 나는 가질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희귀성 혹은 독점성은 절대 브랜드의 매력이 될 수 없다. 그보다는 사사로움과 개성이 호사 의식을 갖게 한다.
브랜드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매스티지 브랜드는 소비자가 브랜드에 기대하는 역할을 수 행해야 한다.
브랜드의 인지도가 아니라 브랜드 충성도가 브랜드와 소비자의 실질적 관계를 말해준다.
매스티지 브랜드는 기업의 전략을 소비자 심리와 맺어주는 존재이다.
Ⅲ. 결 론
MCM과 매스티지, 그리고 지금시장의 마케팅목표, 환경분석, MCM의 STP, 4P's Mix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MCM은 독일의 회사를 성주D&D에서 합병한 회사이다. 합병하기 전에는 MCM은 다른 명품브랜드들과 같이 고급화 전략을 써서 브랜드를 전개 시켰다. 하지만 성주에서 합병을 하고 나서 MCM은 변화하기 시작했다. 최고가는 아니더라도 소비자들이 어느정도 구매를 하기에 합리적인 가격의 고가전략을 사용하고 일반대중이 쉽게 구매할 수 있도록 유통망도 확장시켜 나갔다. 그리고 창의적인 디자이너와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새롭게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개발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또한 마케팅목표를 기업의 성장을 목표로 하여 거기에 따른 STP와 마케팅믹스를 구현해 왔다. MCM은 여성들이 사회에 진출함에 따른 여성의 구매력 증가를 빠르게 예측하여 패션에 민감한 여성들의 매스티지 시장에 다른 브랜드보다 먼저 진출하여 매스티지 시장을 선점하였고 포지셔닝맵을 통해서 틈새시장을 파악하여 투자를 집중하였고 지속적인 시장 조사, 상품 개발 등을 통해 소비자의 감각 변화에 발 빠르게 대응하였다.
지금도 MCM은 기업성장의 마케팅 목표를 멈추지 않고 더 나아가고 있다. 세계 곳곳에 스토어를 만드는가 하면, 가장 최근에 일어난 중국의 지진사고를 자선행사를 통해 모금활동을 하는 등 사회지향적인 마케팅 노력도 아끼지 않고 있다.
MCM의 이런 마케팅 노력에 따른 여러 활동들의 조화는 MCM을 더욱 더 큰 기업으로 성장하게 해주는 동시에 고객들의 인지도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MCM의 마케팅 우수사례를 통해 다른 매스티지 시장에 진출하려는 우리의 기업들은 무조건적인 MCM의 모방보다는 자신의 브랜드의 이미지와 기업의 문화에 맞춰서 MCM을 통해 배울점과 MCM을 통해 자사의 브랜드와 비교하였을 때 고쳐야 할 점등을 알아내는 타산지석의 기회를 누려야 할 것이다.
의류학과에서 의류의 유통과정, 소재, 의류제품의 마케팅, 패션에 대해서 배우고 있는 동시에 로데오아울렛에서 남성수트를 판매를 하고 있다. 아울렛에 있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저렴한 가격으로 옷을 구매하기 위해서 아울렛으로 온다. 하지만 이런 고객들을 살펴보면 저렴한 가격의 옷을 구매하러 왔으면서도 품질이나 디자인(가치)이 괜찮다면 더 가격이 비싼 제품을 구매하기도 한다. 이것을 위해서 판매사원들은 가격과 가치사이에서 가치의 크기를 크게 하기 위해서 고객을 응대하면서 여러가지 설명으로 제품에 가치를 더해준다. 이것을 보면 고객들은 저렴한 제품을 원하면서도 단순하게 저렴한 것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 가격이 비싸더라도 가치 있는 것을 구매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매스티지의 기본개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 일반 대중이 모르는 사이에 매스티지 시장은 새로운 기회로 의류시장에 다가오고 있다. 패션이란 인간에게 자신감을 채워주기도 하고 자신의 욕구를 해결해 주기도 하는 등 긍정적인 측면이 많이 있다. 하지만 이런 것은 단순히 인간들의 허영심을 채워준다고도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표현이 어떻든 인간의 자기표현의 욕구와 다른 사람들로 부터 인정받고 싶어하는 욕구가 있는 이상 명품시장과 매스티지 시장은 죽지 않고 계속해서 살아남을 것이다. 특히 최고부유층이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만 무리하면 구매할 수 있는 매스티지 상품들의 인기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커질 것이고 이것을 잘 포착할 수 있는 기업, 마케팅관리자, 제품개발자 등은 크게 성공할 것이다.
<참고자료>
『패션마케팅』 - 안광호ㆍ황선진ㆍ정찬진 저
『마케팅원리』 - 박찬수 저
『마케팅액츄얼리』 - 이종호 저
『매스티지 마케팅』- 파멜라 댄지거(유니티 마케팅 대표) 저
MCM 메인 홈페이지 (www.mcmworldwide.com)
NAVER검색 - "MCM","매스티지"
SERI (www.seri.org)
패션비즈
메일신문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05.0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6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