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회로실험] 반파 및 정파 정류 결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반파 및 정파 정류

1. 실험 결과 데이터
1) 문턱전압
2) 반파정류
3) 반파정류(계속)
4) 반파정류 계속
5) 브릿지 방식 전파정류

2. 실험 결과 및 검토

본문내용

이론 최대 : +0.52V
이론 최소 : -4V
c, 오실로스코프 출력 파형 최대치 : 0.5V 최소치 : -4V
b의 과정과 파형이 비슷함을 볼 수 있다.
d. 다이오드 방향을 바꾸고 출력파형을 그려라
출력전압의 부호가 반대로 바뀌어졌다. 그 이유는 다이오드 방향이 바뀌었기 때문에 정류방향이 바뀌어졌기 때문이다.
5) 브릿지 방식 전파정류
c. 예상되는 출력전압의 파형을 그려라
이론치 최대값 4.8V 이론치 최소값 0V
d. 오실로스코프의 결합 스위치를 DC위치에 놓고 의 파형을 그려라.
최대치 5V 최소치 0V
e. Vdc의 계산치 : 2.9892V
f.측정하고 측정치의 오차율을 계산하라
Vdc 측정치 2.72V
오차율 9%
g.D3과 D4를 2.2k 저항으로 교체하고 Vo을 예측하라
이론 : 최대치 3.2V 최소치 0V
h.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의 파형을 그려라.
최대치 2.932V 최소치 0V
파형의 주파수나 모양은 크게 차이는 없으나 엠플리튜드의 값이 약간 낮아졌다.
I. Vdc 이론치 = 2.0352V
j Vdc 측정치 = 1.865V
오차율 = 8.4%
k. 두 다이오드를 저항으로 교체 후의 주요 효과는 무엇인가?
엠플리튜드가 낮아졌다.
2. 실험 결과 및 검토
이번 실험은 다이오드의 특성을 이용하여 정류 회로를 꾸며보고 각 정류회로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반파정류기에서 여러 정류기를 써보았는데 대체적으로 오차율이 적고 정류되는 파형도 잘나와서 만족스러운 실험이 되었다.
이번 실험을 하면서 궁금한 것이 생겼는데 오실로스코프에서 AC-GND-DC 스위치가 무엇인지 잘몰라서 실험순서에 나와있는데로만 실험을 하였는데 보고서 쓰는 과정중에 알게 되었다. AC 커플링의 경우에는 DC성분을 제외한채 순수 AC성분을 보여주는데 AC의 특성은 바로 한주기동안 적분을 하였을 때 0이 되는 것 즉 평균전압이 0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GND는 그라운드를 잡아주기 위해서 캘리브레이션을 위해서 있는 것이다. DC 커플링은 AC성분과 DC성분을 둘다 보여주는 것으로 진정한 측정하는 신호이다.
첫번째 실험에서 다이오드의 방향을 반대로 했을 때 출력되는 파형이 부호가 바뀌어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두번째 실험에서는 저항의 위치에 따라 출력되는 파형이 0V로 가지 않고 천이전압인 -0.52V까지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저항의 위치에 따라 제대로된 정류역활을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번째 실험에서는 입력전압이 +일때와 - 일때가 나뉘어져서 다이오드가 순방향일 때 측정전압이 다이오드에 걸리고 역방향일때는 저항에 걸려서 출력전압이 나올 적에 아주 재미난 결과를 보여준다.
네번째 실험은 브릿지 방식으로 전파 정류이다.
회로는 좀 더 복잡해졌지만 뛰어난 정류특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다섯번째 실험과 비교되는데 이는 다섯번째 실험에서는 한 다이오드가 순방향이면 다른 다이오드는 역방향이되고 출력 전압은 저항에 걸리므로 전압이 볼테이지 디바이드룰에따라 나오게 되어 네 번째 실험에 비해 낮은 전압이 측정되는 것을 볼 수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5.06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36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