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난관리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난관리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건의 개요
1.1. 시기
1.2 장소
1.3. 관련인물
1.4. 발생원인

2. 사건의 피해규모

3. 사건의 경과

4. 결론

5. 관련기사

본문내용

인근주민들이 가스냄새로 고통을 겪어온 곳으로 소방당국과 가스공사측은 수차례에 걸친 신고에도 불구하고 묵살하거나, 소방차만 출동시켰다 철수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사고당일에도 가스유출신고를 받은 구청과 가스공사측이 응급조치를 소홀히 하는 바람에 피해가 커졌다는 주민증언도 이번 사고가 인재였음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우선 대형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가스공급기지가 주택 상가밀집지역에 있었다는 점이 이번사고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가스공사측은 지난 91년 주민반대에도 불구하고, 가스관이 통과할 뿐 안전에는 이상이 없다며 공사를 강행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이번 사고를 겪으면서 자신들이 대형사고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알게 됐다. 또 하루 1천60t의 막대한 가스를 공급하는 기지의 상근자가 3명에 불과, 3교대로 근무하는 등 책임있는 관리요원의 부재도 사고의 간접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일반적으로 도시가스관이 지상에서 너무 얕게 매설돼 있는것도 앞으로 또다른 사고의 우려를 던져주고 있다. 가스기지부근에서 진행중인 지하철공사 등이 적절한 안전대책을 세우고 있는지 또한 이번 기회에 철저히 점검 해 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 출처 : http://news.chosun.com 조선일보(1994.12.08(목)|사회면 기사)
【참고 자료】
1. 행정자치부《재난수습 사례집》행정자치부, 1998
2.〈도심 가스 대폭발〉《조선일보》1994.12.8
3.〈서울도심 가스 대폭발〉《동아일보》1994.12.8
4.〈안전관리 허술/마포 가스폭발사고 문제점〉《동아일보》1994.12.8
※ 인터넷 싸이트
- http://article.joins.com 《중앙일보》(2008.03.03 사회면 기사)
- http://contents.archives.go.kr 《국가기록원》
※ 20대 재난 백서 평가보고서 실정.
가지고 있는 관련 자료 모아서 다른 해석 해봤습니다.
[그림1] [그림2] 좌:평면도, 우;계통도
구조의 문제점
아현동 도시가스 중간기지는 시공 초 구조에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내화구조 건축법규 제1장 총칙 제2조[정의]7의2.“내화구조”라 함은 화재에 견딜 수 있는 성능을 가진 구조로서 건설교통부령이 정하는 기준에 적합한 구조를 말한다.
(Steel framed Reinforcement Concret, SRC)로 시공 되었으나, 기둥과 상층부와의 연결 부분이 한
구조물이 아닌 기둥에 지붕을 덮은 형태였으며, 위험시설물 구조가 아니였다.[그림1,2]
[그림3]
[그림4]
폭발 후 현장 사진을 보면 얕은구조[그림3]였으며 외부의 구조물 연결이 허술 했다는 걸 알 수있다. 지상과 지하기지의 매립 깊이가 불과 1m 정도에 불과 하였다.
현장은 지하 1m에 설치된 가로27.2m, 세로17.8m 높이 3.7m의 철근콘크리트구조물로, 천정슬라브위 1m는 출입구 및 환기구 이외의 부분이 흙으로 덮혀 있는 상태[그림3]였다는 걸 알 수 있다.
[그림5]
[그림6]
발생원인
시공 초 밸브관내의 이물질이 투입[그림4,5] 되어 이물질의 부식으로 인한 공급기 정압실 내 배관 및 계량기 밸브스테이션 점검 작업 중 닫힘 상태가 불량인[그림6] 전동밸브는 닫는 과정에서 출구측 부분의 배관내부에 있던 헝겊조각, 토양, 금속조각 등 이물질이 끼여 덜 닫혀진 형상이며, 사고 전부터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었던 걸로 보아 가스 누출의 원인은 전동밸브쪽에 이물질이 끼어 가스가 누출되고, 이런 상황의 지속으로 도시가스 도시가스:LNG(liquefied natural gas)주성분은 CH4 .증기비중 0.55, 공기보다 가벼움
(액화천연가스 liquefied natural gas, LNG)누출이 되어 밸브실로 유출되는 가스는 유출과 동시에 천정의 환풍구를 통해 외부로 상당량이 유출 되었을 것이며, 유출가스는 외부의 노출된 나화 불씨(점화원)가 날리는 형상
*참 고 : 가연가스가 공기중에 유출될 경우 담뱃불, 자동차의 배기가스와 같은 고온기체, 모닥불의 불꽃, 식당의 연소 시 불꽃, 용접불꽃, 금속의 충돌 불꽃 등 미세한 점화원에 의해서도 인화 될 수 있음.
(裸火)와 접촉될 경우, 이에 인화되면 밸브실 내부로 화염이 유입될 것이므로 점화원은 외부로부터 유입되어 폭발의 원이 된 것으로 추정한다.
가연가스가 공기중에 유출되어 적정 상태하의 혼합기체가 되는 경우 미세한 불꽃에 의해서도 인화, 폭발될 수 있으므로 점화원에 대한 구체적 논단은 불가하다고 생각됩니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6.04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3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