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외과 고관절,슬관절 치환술 간호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형외과 고관절,슬관절 치환술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슬관절
1. 슬관절 정상구조
2. 슬관절 손상과 통증의 원인
3. 진단
4. 인공슬관절치환술(TKR)
1) 적응증
2) 수술방법
3) 기대효과
4) 삽관물의 수명
5) 합병증 및 후유증
6) 수술 전 관리
7) 수술 후 관리
CPM continuous passive motion

Ⅱ. 고관절
1. 고관절의 정상구조
2. 고관절손상과 통증의 원인
3. 진단
4. 인공고관절 치환술(THR)
1) 적응증
2) 수술방법
3) 기대효과
4) 삽관물의 수명
5) 합병증 및 후유증
6) 수술 전 관리
7) 수술 후 관리
참고1.THR 후 재활 프로토콜
참고2. 올바른 목발보행법

본문내용

만 주다가 통증이 없거나 불편함이 없어지면 부분적으로 체중을 환측 다리에 준다. 부분적으로 체중을 주어도 문제가 없다면 목발(crutch)이나 walker로 걷는 연습을 한다.
1. 손과 침대 옆의 판을 이용하여 누운 자세로 등척성 외전운동을 한다(2일~3일 정도).
2. 발목운동을 실시한다.
3. 누운 자세로 외전운동을 한다. 다리를 옆으로 외전시키고 제자리로 되돌아온다.
4. 조심히 엎드려서 둔부 운동을 실시 한다.
5. 환측 다리가 위로 올라오게 옆으로 누워, 다리를 위로 올리며 외전운동을 한다.
6. 서서 외전운동을 한다. 다리를 바깥으로 올리고 제자리로 내린다.
7. 밴드운동을 실시 한다(5~6주).
모든 운동은 초기에 통증이 있을 시에는 중지해야 한다. 그 외에 운동은 체중 싣기, 걷기(보조 도구 이용) 등인데, 이 운동 역시 통증이 있을 경우 주의해야 한다.
참고 2. ::::  올바른 목발 보행법
목발 보행법
대상자는 목발 보행을 시작하기 전에
목발을 삼각위나 또는 기초적 목발
위치에 둡니다.
→ 목발은 양발 앞으로 15cm, 각 발의
옆으로 15cm.에 둡니다.
※ 이 자세는 목발과 발 사이에 삼각형이 생겨 넓은 기저면이 만들어 기지 때문에 안전합니다.
→ 체중부하는 액와에 주지 말고
손바닥과 손목에 힘을 줍니다. <목발을 짚고 선 자세>
목발 보행법의 종류
1) 2점 보행
: 대상자가 양쪽 다리에 어느 정도 체중을 지탱 할 수 있을 경우 시행합니다.
① 대상자에게 팔꿈치를 30도 구부린 상태에서 양쪽으로 목발을 잡게 한다.
② 대상자에게 오른쪽 목발과 왼발이 앞으로 나가고 다음 왼쪽 목발과 오른 발을 앞으로 내딛게 합니다.
2) 3점 보행
: 대상자는 한쪽다리는 체중을 지탱할 수 있고 다른 쪽다리는 지탱할 수 없거나 약간 견딜 수 있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①대상자에게 양목발과 지탱할 수 없는 다리가 앞으로 나가게 합니다.
②지탱할 수 없는 다리를 앞으로 내딛습니다.
③목발을 앞으로 가져가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3) 4점 보행
: 대상자의 양다리에 체중을 지탱할 수 있으나 균형이 어렵거나 약해서 보행능력이 충분치 않아 목발을 사용하여 천천히 움직이는 경우 시행합니다.
①한쪽 다리와 목발이 하나씩 앞으로 나가는 방법입니다.
-왼쪽 목발이 앞으로 나갑니다.
-오른발이 앞으로 나갑니다.
-오른쪽 목발이 앞으로 나갑니다.
-왼발이 앞으로 나갑니다.
4) swing to 보행법
: 다리와 둔부의 마비처럼 한 다리나 혹은 양다리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시행합니다.
①양쪽 목발을 같이 앞으로 내디디면서 몸무게를 다리에서 손잡이 쪽으로 이동합니다.
②다리를 그네식으로 흔들어 앞으로 나아가게 하여 다리가 목발과 평행하게 놓습니다.
(5) swing through 보행법
: 이 보행의 경우 상당한 기술, 힘과 협조가 필요합니다.
①양쪽 목발을 같이 앞으로 내디디면서 몸무게를 다리에서 손잡이 쪽으로 이동합니다.
②다리를 그네식으로 앞으로 나아가게 하여 다리가 목발보다 앞으로 나아갑니다.
A. 4점 보행 B. 3점 보행 C. 2점 보행
< 올바른 목발 >
일상생활에서의 올바른 목발 사용법
1. 목발 사용하여 걷기
1) 다친 다리에 부분적으로 체중 싣고 걷기
① 어깨의 힘을 빼고 팔은 가볍게 구부린 후 바로 섭니다.
체중을 목발과 다치지 않은 다리 사이에 실어 앞으로 몸을 기울입니다. 체중의 일부를 다친 다리에 실을 수 있습니다.
② 목발을 앞쪽으로 이동시킨 후 여기에 맞춰 다친 다리를 이동시킵니다.
③ 목발 앞쪽으로 다치지 않은 다리를 이동시킬 때 다친 다리 위로 체중의 일부를 싫을 수 있습니다.
2) 다친 다리에 체중을 싣지 않고 걷기
① 대상자의 전 체중을 다치지 않은 다리에 싣고 똑바로 섭니다.
어깨의 힘을 빼고 손상 받은 다리는 약간 구부린 채 바닥에 발을 내려놓지 않습니다. 약간 앞쪽으로 목발을 위치시킨 후 전 체중을 실어 균형을 잡으면서 다치지 않은 다리의 발을 바닥에 내려놓습니다. 몸을 앞쪽으로 기울일 때는 다치지 않은 다리와 목발을 사용하여 체중을 지지합니다.
② 다치지 않은 다리로 전 체중을 이동시키고 앞쪽으로 두 목발과 다친 다리를 동시에 이동시킵니다. 절대로 다친 다리에 체중을 싣지 않습니다.
③ 다치지 않은 다리를 앞으로 움직이면서 손과 손목, 목발 뒤로 전체중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목발을 이용하여 몸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다치지 않은 다리에 전 체중을 싣고 걷습니다.
2. 계단에서의 목발 사용법
※ 주의
- 계단을 오를 때는 다치지 않은 다리가 먼저 올라갑니다.
- 계단을 내려갈 때는 다치지 않은 다리가 나중에 내려갑니다.
1) 계단 오르기
① 계단 밑에 서서 두 목발을 오른쪽으로 옮기고 왼손으로 난간을 잡고 오른쪽 목발에 체중을 싣습니다.
② 목발에 힘을 주며 손상되지 않은 다리를 계단 위로 올린 후 몸이 앞으로 움직이면서 다친 다리를 들어 올립니다.
③ 난간을 잡고 다치지 않은 다리에 치중을 싣고 계단에 목발을 내립니다.
2) 계단 내려가기
① 계단 오르기의 과정을 반대로 하며 목발과 다친 다리를 먼저 이동시킵니다.
3. 의자에 앉을 때
1) 의자에 앉을 때
① 다치지 않은 다리의 뒤쪽이 의자의 앞에 닿게 합니다.
② 다치지 않은 다리에 체중을 싣고 목발을 다친 다리 쪽으로 이동합니다.
③ 체중을 목발에 싣고 반대편 손을 뒤로해 의자 팔걸이를 잡습니다.
④ 다친 다리에 체중이 실리지 않게 하며 앉습니다.
2) 의자에서 일어나기
① 다치지 않은 다리를 의자 앞쪽으로 내밀고 목발을 똑바로 세웁니다.
② 다친 다리 쪽의 손으로 목발의 손잡이를 잡고 다른 쪽으로 의자의 팔걸이를 잡습니다.
③ 다치지 않은 다리와 함께 몸을 앞으로 기울이고 체중을 싣고 일어섭니다.
4. 넘어졌을 때
1) 넘어졌을 때 일어나기 (소파에서 넘어졌을때)
① 소파와 같이 높이가 낮고 단단한 가구가 있는 쪽으로 몸과 목발을 움직인 후 소파 위로 목발을 비스듬하게 기울여 놓습니다.
② 소파에 양손을 올리고 손바닥으로 소파에 힘을 가해 엉덩이를 들어 올려 놓습니다.
③ 한쪽 손에 양 목발을 잡고 안정을 찾고 다른 손으로 소파에 힘을 가해 일어섭니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5페이지
  • 등록일2009.06.0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4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