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학]수질오염기준&활성슬러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수질오염기준 조사
1) 수질환경기준
2) 방류수 수질기준
3) 폐수배출 허용기준

2. 활성슬러지의 정화기능으로 알아본 혐기*무산소*호기상태에서 미생물과 오염물질

본문내용

요약될 수 있다. 활성슬러지 미생물에 의해 제거되는 하수중의 주요성 분은 탄소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하는 탄소계유기물, 질소함유화합물, 인함유화합 물 등이 있다.
한편, 이러한 유기물을 제거하는 활성슬러지 미생물은 생리적인 특성에 의해 다 음과 같이 네가지 군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① 호기적 조건(산소가 존재하는 조건)에서 탄소계유기물을 이용하여 증식하는 종속영양생물(세균류 외에 원생동물과 대형생물 포함)
② 호기적 조건하에 암모니아성질소를 아질산성질소, 또는 질산성질소로 산화시 키는 독립영양미생물(Nitrosomonas 등의 암모니아 산화미생물, Nitrobactor 등의 아 질산 산화미생물을 포함하며, 이 반응을 질산화라 하며, 이러한 미생물을 질산화 미생물이라 함)
③ 무산소상태(용존산소가 존재하지 않는 상태)하에서도 질산성호흡, 아질산성호 흡을 행하는 통기성미생물(종속영양미생물로 분류되며, 탈질미생물이라 함)
④ 혐기상태(산소와 질산 및 아질산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와 호기상태를 교대 로 반복하여 다중인산을 통상적으로 다량 축적하도록 하는 미생물(종속영양미생 물로 분류되며, 탈인미생물, 인축적미생물이라 함)
활성슬러지법의 운전조건의 제어는 이러한 4가지 군의 미생물들이 각각 탁월한 생리특성을 발휘할 수 있는 조건을 인위적으로 실현하는 것이다. 반응조 내의 고형물체류시간(SRT : Solids Retention Time)을 상대적으로 짧게 하면 종속영양생물에 따른 탄소계유기물의 제거는 진행되지만, 암모니아의 산화(질산화)는 진행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반대로 SRT를 상대적으로 길게 하면 질산화 미생물의 증식이 진행되어 암모니아의 질산화가 일어나기 쉽다. 또 질산화가 진행된 뒤(질산아질산 포함), 활성슬러지혼합액을 탄소계유기물이 존재하는 조건하에서 용존산소가 없는 상태로 유지한다면, 탈질미생물이 활동하여 질소제거가 일어난다. 이것이 생물학적 질산화탈질법의 기본원리이다. 또한 인 축적미생물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인제거를 꾀하는 것이 생물학적 인제거법이다.
한편 활성슬러지법에는 다음과 같은 기초적인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① 1개 이상의 포기조를 설치한다.
② 포기조내에는 미생물 성장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시켜야 한다. 산소 공급원으 로 산소가 포함된 대기중의 공기 혹은 순산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는 포기조에서 잘 분산되도록 공급한다.
③ 유입하수가 포기조내의 미생물과 잘 혼합되도록 한다.
④ 포기조로부터 유출된 MLSS를 침전지에서 분리한다.
⑤ 침전지내에 침전된 슬러지는 침전지로부터 뽑아내며 배출된 슬러지는 다시 포기조로 반송시켜야 하며, 일부분은 폐기시켜야 한다.
<참고문헌>
http://water.nier.go.kr/monitoring/waterquality_st.html
http://www.samanec.com/
수질환경 및 규제기준의 합리적 조정, 최지용, 신은성 지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펴냄, 1997
http://www.jkaqua.com/Home/banglyusu.html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06.08
  • 저작시기200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01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