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t의 적출 회장(Visceral Muscle) 대한 Acetyl choline, Atropine, CaCl2, Papaverine 약물과 adrenergic drug 작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거리면서 쭉 늘어지는 것을 관찰했다. Washing후 Propranolol을 넣자 반응이 없었고, Epinephrine을 넣자 약간 꿈틀거리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그러나 Kymograph상에서의 변화는 관찰 할 수 없었다.
이번실험에 사용한 약물의 구체적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 표2와 같다
표2. 약물의 구체적 작용 (4)
약물명
약물의 특징
Acetycholoine
체내에 있는 모든 콜린성 수용체 및 무스카린성 수용체 또는 니코틴성수용체와 직접결함하여 이를 흥분시키는 작용을 한다.
CV: Ach는 다른 어떤 장기보다 순환기계에 현저한 작용을 나타내며 저용량의 Ach 정맥주사는 혈관평활근의 이완과 혈압강하를 일으킨다.
Respiratory: 기관지 수축과 분비증가 및 비인두분비선으로부터 분비증가를 일으킨다
GI: 소화기계에서 타액분비 및 위산분비촉진, 장관 수축력과 연동운동의 증가, 대부분 괄약근의 이완등을 일으킨다.
신장: 방광의 배뇨근 수축, 삼각부와 외괄약근의 이완을 통하여 배뇨를 촉진시킨다.
안구: Ach 용액 점안시 동공수축과 근시안을 일으킨다.
Ach는 작용이 너무 많아서 약으로서의 선택성이 없고 AchEsterase에 의해 빠르게 분해되므로 임상용도로서는 큰 가치가 없다.
Atropine
콜린성 수용체 중에서 무스카린성 수용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항 무스카린성 3급 아민이다. 이 약물은 평활근, 심근 및 각종 선세포에 있는 무스카린성 수용체에 대해 Ach와 상경적으로 결합하여 Ach의 효과를 차단한다. 무스카린성 길항제들은 자체적인 활성은 가지고 있지 않고 단지 무스카린성 효능제 또는 신경에서 유리된 Ach에 의한 수용체 흥분의 차단을 통해서만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 약물의 반응을 이끌어내는 능력은 콜린성 신경활성의 정도 또는 무스카린성 수용체 흥분제의 존재에 따라 다르다.
GI: Atropine은 소화기계에 많은 효과를 가지고 있는데 위산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의 치료에 사용되며 Ach에 대한 수축반응을 억제하며 장관평활근의 식후위경련과 관련된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부작용: 구갈, 시각혼란, 변비, 배뇨곤란, 빈맥, 부정맥 그리고 중추효과 등이 있을 수 있다.
CaCl2
smooth muscle로 칼슘이온을 들어가게 하므로 근수축을 유발한다. Atropine에 의해서는 길항되지 않으며 무스카린성 수용체와 관계없이 papaverine과 기능적 길항관계가있다.
Papaverine
아편 알칼로이드로서 진경약 및 혈관 확장약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진통약은 아니다. 칼슘채널 길항제인 verapamil이 개발될 수 있도록 원인을 제공한 약물이다. 평활근에 대해 이완작용이 강하고 소화기의 경련에 유효하므로 진정제로 사용한다. 또한 위장, 담낭, 수뇨관, 방광, 자궁의 경련, 구토, 담석증, 천식, 협심증에 허용된다.
Epinephrine
Epi는 α와 β-adrnergic receptor에 강력한 stimulant이다. 특히 심장과 혈관, 다른 평활근에 대한 action이 두드러진다.
CV: 강력한 심장 자극원이다. myocardium 과 pacemaker와 conducting의 세포의 β1receptor에 큰 영향을 준다. 심박수와 heart rate를 증가시키고, 심장수축이 더 강력해지고 심박출량을 증가시킨다. 심장의 work와 산소소모도 증가시킨다.
GI: 위장관의 평활근을 이완시켜 intestinal tone과 spontaneous contraction의 frequency와 amplitude를 감소시킨다. 위는 이완시키고 pyloric과 ileocecal sphincter는 수축시킨다.
Isoproterenol
α-receptor에는 친화력을 가지지 않는 강력하고 비선택적인 β-receptor 효능제이다. 정맥주사시 심박출량은 증가한다. 모든 평활근을 이완시키는데 특히 위장관과 기관지 평활근의 이완이 두드러진다. 이것은 기관지 수축을 예방하거나 감소시켜서 천식치료제로도 사용된다.
Propranolol
경쟁적인 β-receptor 길항제이다. heart rate를 느리게 하고 myocardial contraction을 감소시킨다. β-receptor의 tone이 낮을 때는 이 작용이 미미하나, tone이 높아져 있을 때는 이 작용이 크게 나타난다. Short-term으로 투여 시 심박출량을 줄인다. 위장관의 평활근을 수축시킨다.
이번 실험은 적출회장에 대한 약물의 반응을 관찰하는 것이었다. 원래는 Kymograph결과를 이용해 ED50값을 구해야 하지만 결과가 나오지 않아서 그릴수가 없었다. 처음에 Ach 을 투여했을 때 회장의 운동이 관찰되지 않아서 회장이 벌써 손상되었나 했었는데 BaCl2를 넣으니깐 갑자기 회장이 반응을 해서 회장이 살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뒤부터 하는 실험에서는 Kymograph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눈으로 회장의 반응을 관찰할 수 있어서 신기했다. Kymograph를 그리는 펜촉과 회장을 연결하는 lever가 무거워서 회장의 움직임에 따라 오르내리지 못해 그래프가 그려지지 않은 것 같았다. 그리고 회장과 lever를 연결한 실이 단단하게 묶였어야 했는데 느슨하게 묶여져서 반응이 제대로 안 나온 것 같다. 처음에 ㄱ자 유리관에 묶은 실이 용액에 넣자 계속 풀어져서 다른 회장을 가지고 다시 단단히 묶은뒤 실험을 했다. 그래서 그런지 다른 조에 비해 1시간정도 늦게 끝났다. 실험 시간도 많이 걸렸는데 눈에 띄는 결과를 얻지 못해 아쉬웠다. 우리도 저번 이론 수업시간에 보았던 실험에서 사용한 physiograph를 사용해서 실험을 할 수 있었으면 하는 생각에 아쉬움이 남았다.
참고 문헌
1. 선배 족보 05학번 고은정
2. 김경환 이우주의 약리학 강의 p65~70(2001)
3. 주왕기 약리학, 독성학 실험47-58p.,(1993)
4. J.G. Hardman, L.E. Limbird, and A. Goodman Gilman Goodman and Gilman's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11th ed., p183~200, p243~277(2006)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6.15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13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