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의 고부가가치산업-의약품과 환경기술 분야 중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덴마크의 고부가가치산업-의약품과 환경기술 분야 중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덴마크의 고부가가치산업

1. 개요
2. 덴마크의 제약업체 노보 노디스크社
1)개요
2)노보 노디스크社의 연혁
3)노보 노디스크社의 역사
4)노보 노디스크社의 로고에 대해서
5)노보 노디스크社의 경영
6)당뇨관리제품
7)노디스크社의 블루오션전략
3. 그런포스社

1) 개요
2) 그런포스 그룹에 관하여


3)그런포스의 기업이념

4) 그런포스社와 한국 그런포스社
4. 베스타스社

1)개요
2)풍력산업과 베스타스社
Ⅲ. 나오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덴마크 Vestas, 미국 GE Wind, 독일 Enercon, 스페인 Gamesa, 독일 Siemens 등 상위 6개 업체가 전체 시장의 86%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덴마크의 Vestas가 2005년 기준 전세계 풍력발전설비 시장의 약 33%를 점유하면서 풍력발전시스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설비의 공급부족과 가격상승은 2008년 이후까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2010년 시장규모는 380~39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렇듯 덴마크가 ‘풍력대국’으로 성장한 데에는 베스타스의 힘이 절대적으로 작용했다. 베스타스는 설립 초기에는 일상용품과 농기구 등을 생산했으며, 1979년 처음으로 풍력발전의 가능성을 확신하고 풍력산업에서 활동적인 역할을 해온 업체다. 또한 고도의 기술로 풍력발전의 문제점을 해결해 온 주요한 생산자이기도 하다.
베스타스는 전기를 일으키기 위한 풍력발전 시스템의 R&D와 제조, 판매는 물론 철저한 A/S를 제공하고 있다. 베스타스가 처음 보급한 풍력 터빈은 55kW급으로 연간 217MWh의 전력을 생산했으며, 지금까지 판매한 터빈의 용량은 2만MW 이상으로 추산된다.
<그림 11> 연도별 베스타스 매출 추이
출처: 베스타스
1990년 이래 해양 풍력발전기에 대한 기술 개발이 가속화돼 왔고 세계에서 가장 세금이 많기로 유명한 덴마크 정부도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풍력발전기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차지하는 덴마크의 베스타스는 최근 자국뿐만 아니라 풍력 발전이 가능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 국가에 대한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베스타스는 제주도 풍력발전기를 직접 공급하고 최근 설치된 대관령 풍력발전기에 대한 기술 제휴에 관여, 한국에도 이미 소개된 바 있다.
덴마크의 리소국립연구소(Riso National Laboratory)는 풍력발전 연구개발의 중심지로, 1978년 처음으로 테스트 스테이션을 설치했으며, 발전시설 설치 및 정부 보조금 신청에 전제조건이 되는 형식승인 작업을 주관하고 있다.
리소국립연구소는 이로부터 획득한 노하우를 전통적으로 우수한 역량을 확보한 기상학과 재료공학, 덴마크공대와 다른 대학의 유체역학 전문가들을 결집, 덴마크 풍력발전산업의 기술서비스 기관으로 기능하고 있다.
리소국립연구소와 터빈생산업체들은 공동연구 개발프로젝트를 수행해 왔으며, 지난 2002년에는 덴마크 풍력발전 업계·리소국립연구소·덴마크공대·알보그(Aalborg)대학·DHI-Water & Environment가 공동으로 연구컨소시엄을 설립해 풍력터빈 분야에서의 산·학·연 협력 강화와 풍력에너지 기술개발에서 시너지 효과를 창출, 교육 및 훈련을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덴마크 풍력발전산업은 최근 업체간 합병 등 큰 구조변동을 경험했다. 지난 1999년 당시 세계시장 점유율 1위의 NEG Micon의 A/S가 기어박스 결함으로 인한 납품기한 문제로 결정적인 타격을 입고 베스타스社에 1위 자리를 물려준 뒤, 2004년 베스타스社에 흡수됐다. 또한, Bonus Energy社 역시 2004년 독일 지멘스社에 인수됐다. 그러나 세계 최대의 베스타스社는 NEG Micon을 인수·합병함으로써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다.
Ⅲ. 나오며
환경 및 바이오, 대체에너지 산업 등 차별화된 선진 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해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덴마크는 여러 제약요건 속에서도 사회 안전시스템과 효율성 및 창의성을 추구하는 문화 등으로 그 제약들을 극복하고, 상위권 국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덴마크는 단일 산업화 전략으로 한 분야에서 세계 1위를 하는 기업들을 많이 배출한 것을 보았다. 그 중에서 전 세계 인슐린시장에서 독보적인 노보 노디스크와 세계 풍력산업 1위인 베스타스, 그리고 세계 펌프시장 1위인 그런포스를 살펴보았다. 고부가가치산업을 육성 성장 시킨 덴마크의 이런 선례를 바탕으로 우리나라도 고부가가치산업에 충분히 도전할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럴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고 보여 진다. 신 재생에너지 기술을 살펴보아도 이 기술이 현 시점에서 대내외적인 요구이자 생존을 위한 필수불가결 요소임을 세계적 현황을 통해 우리는 알 수 있었다. 신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온실가스 배출권을 확보해야 한다는 것은 전 세계가 당면한 과제로 2013년이 되면 풍력발전에너지는 화석에너지보다 더 저렴한 신재생에너지원으로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 지금 우리나라도 고부가가치산업에 더 많은 투자와 사회적·문화적인 뒷받침으로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기업들을 배출할 수 있는 날이 빨리 찾아오길 바란다.
<참고문헌>
·김동용, "새로운 대체 에너지로서의 풍력발전 현황 및 전망", 대한전기협회
·김은일, "풍력산업의 종주국 덴마크의 풍력발전 보급정책", 에너지관리공단동우회
·류영지, 세계 풍력터빈 30% 점유 “한 분야 영원한 1등 목표”(2009.02.16), 서울신문
·배준호, 일본경제개관, 한신대 사회과학대학2009
·윤 산, 덴마크 소재 그런포스사 500만불 광주 투자확정(2008.11.21), 중앙통신뉴스
·윤현철, "독일, 풍력발전설비산업 세계최고 유지", KOTRA
·이민식, "세계 풍력발전산업의 동향 및 전망", 한국산업은행
·이태훈, 풍력 발전기 세계 1위 ‘베스타스’(2008.10.11), chosun.com
·WEF 국가경쟁력 보고서, Politiken지 기사(2006.10.05), 무역관 보유자료 종합
<참고사이트>
·http://www.grundfos.co.kr/
·http://www.novonordisk.co.kr/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8/04/11/2008041100870.html
·http://blog.naver.com/moodys123?Redirect=Log&logNo=40064263503
·http://blog.naver.com/sendu/10017896371
·http://blog.naver.com/favedesign/20022867339
·http://blog.naver.com/mdfox?Redirect=Log&logNo=600649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6.20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