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교향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소개
1. 책 소개
2. 저자소개
3. 역자소개
4.저작목적과 내용구성

Ⅱ. 내용
제1부 구약
제2부 신약 성경

Ⅲ. 서평

본문내용

에게 성경의 다양성 속에서 예수 그리스도로 집중되는 통일성을 발견하고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성경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서는 처음부터 그 저작 목적을 잃지 않고 마지막까지 논제를 전개한다. 각 소제의 결론 부분에서 그 소제의 사건이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와 연관되었는지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책의 마지막장을 읽을 때까지 독자들이 ‘예수 그리스도로 귀결’ 이라는 키워드를 잊을 수 없게 만든다.
본서를 읽으면서 놀랍게 생각한 부분은 27p 그레엄 골즈워디(Graeme Goldswothy)의 모형론의 도표를 통해서 본서 전체를 축약한 부분이다. 이 도표를 통해서 본서가 주장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앞으로의 내용 전개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지, 결론으로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한눈에 보여주고 있다. 책을 읽는 중간 중간 27p로 잠시 돌아온다면 본서가 무엇을 말하고 싶은 것인지 요지를 잃을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필자는 본서의 각 소제의 구성적인 측면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각 소제는 전체적으로 a. 요점 : 본 연구의 열쇠 b. 본론 c. 예수 그리스도로 귀결 d. 토의&연습 문제로 구성되어 있는데 요점을 전면에 배치한 연역적 구성이 본론을 읽기 전에 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주며 본론을 거쳐 예수 그리스도로 귀결로 연결되는 부분에서 독자들이 논제를 잃지 않고 본서 전체와 성경 전체를 통일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시각을 제공해 준다. 또한 토의와 연습문제를 통해 저자들이 생각하고 토의와 생각, 반론 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겨놓은 것은 저자가 독자들과 글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하기를 바라고 독자의 사고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매우 높이 평가하고 싶다. 이러한 구성들이 저작 목적에 독자들을 유도함에도 매우 유용한 구성이라고 생각한다.
언약신학
본서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사상은 언약(covenant)신학이다. 하나님 나라는 택한 백성과의 언약을 통해서 이어지고 예를 들면 노아 - 아브라함 - 시내산 언약 - 다윗언약 등의 언약이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궁극적으로 성취되어 진다는 것이다.
언약신학은 츠빙글리(Ulrich Zwingli, 1488-1531)로부터 시작되었다. 당시 재세례파(Anabaptist)와 유아세례에 대한 갈등과 대립 속에서 츠빙글리는 유아세례의 성경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언약에 대한 신학을 발표하면서 유아세례는 언약의 징표로서 부모가 하나님과의 언약관계가 형성됨으로써 자녀들에게 주어지는 특권이라 본다.
신, 구약의 연속성을 주장하였다.
언약신학의 기본 정신은 하나님의 은혜이다. 하나님의 일방적이고 주권적인 은혜로 인간이 하나님과 언약관계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츠빙글리와 칼빈(John Calvin, 1509-1564)은 이러한 은혜언약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주장들 가운데 언약관계 가운데서 인간의 의무를 중요하게 생각한 학자들도 등장하게 되는데 츠빙글리의 제자 블링거(Heinrich bullinger, 1504-1575)는 인간의 의무를 강조하고 쌍무적(bilateral) 계약의 개념을 주장한다.
본서는 2장과 4장을 비롯하여 전체적으로 칼빈주의의 은혜언약을 바탕으로 전개되고 있다. 본 학생은 언약이란 두 당사자가 맺는 것으로서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지만 인간 편에서도 의무에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특히 하나님과 관계에서는 인간의 의무를 등한시 하는 것은 언약파기에 위험성을 그대로 방치하는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윌리엄 퍼킨스(William Perkins, 1558-1602)는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하였다.
“하나님의 언약은 어떤 조건 하에 영생을 얻는 것에 관한 인간과의 계약이다. 이 언약은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하나님의 인간을 향한 약속과 인간의 하나님을 향한 약속이다. 하나님께서 인간에게 하시는 야속은 인간이 어떤 조건을 이행하면 당신은 그의 하나님이 되시겠다고 맹세하시는 것이다. 인간이 하나님에게 하는 약속은 그가 하나님에게 충성을 서약하고 그들 사이의 조건을 이행하겠다고 맹세하는 것이다.” 원종천 ,『청교도 언약사상 : 개혁운동의 힘』,(대한기독교서회, 1998), 47p
이러한 관점에서 특히 시내산 언약은 하나님과 인간의 쌍무적 계약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고 생각하며 인간 편에서 행위 언약적 개념을 더욱 강하게 생각하여야 한다고 본다. 미력하나마 본 학생은 저자의 은혜언약만을 언급하는 부분에 대하여 저자와 생각이 다름을 표현하고 싶다.
성령론
본서 18장에서 성령에 관하여 이야기 하고 있다. 성령론에 관하여서 오순절 주의의 의견과 칼빈주의 의견이 대립하고 있다. 오순절 주의에서는 방언을 성령세례의 첫 표적으로, 오순절 사건의 연속성을, 성령 세례와 성령 충만을 구분지어 생각한다. 이와 반대로 칼빈주의는 방언의 유대인에 관한 표적임을, 오순절의 단회성을, 성령 임재 - 견인 - 구원에 이름을 주장한다.
또한 뚜렷하게 반대의 주장은 성령의 임재하시는 시기를 바라보는 시각이다. 오순절 주의는 중생 이후에 성령 세례를 주장하고 있고 칼빈주의는 중생과 성령 세례가 동시에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구원은 물과 성령으로 거듭나야(요3:3)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성령이 아니면 누구도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할 수 없다.(고전12:3; 요일4:2-3) 그렇기 때문에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을 믿을 때 성령이 임재 하시게 된다는 저자의 견해를(칼빈주의) 지지한다.
“만일당신이 당신을 구원하시는 예수님을 믿고 있다면 그는 당신에게 성령으로 세례를 베푸신 것이다.” 본서 265p 인용
글을 마무리하려 한다. 해석론과 모형론에 절대적인 기준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이러한 기본적인 인식을 가지고 본서를 대할 때 본서는 저자가 의도하는 것처럼 독자들에게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성경 전체를 조화 시키는 안목을 제공해 줄 것이다. 쉬운 문체와 연역, 귀납의 적절한 구성으로 내용이 이해하기 쉽게 전개됨으로 평신도부터 전공자들까지 전 연령층이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으며, 본서를 통하여 신앙과 신학적 지식과 넓은 안목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해보며 글을 마친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6.25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1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