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개론 요약 정리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언어학개론 요약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으운 특히 유성음(ㄹ,ㄴ,ㅁ,ㅇ,모음)을 반복하고 있고, 한 단어 속에 같은 음운을 초성이나 종성에서 반복하여 나타내고 있다.
(라) 향수의 어휘 특성
향수의 어휘(시어)들은 특이한 어휘들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순수 토박이말을 많이 사용했고, 토속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① 향수의 명사의 특성
순수 토박이말은 아무래도 한자어나 외래어보다 우리의 한국적 정감이 더하다. 그것이 토속어로 이뤄졌기 때문에 더운친근하고 소박하며 고향의 이미지를 살리는 데에 더욱 효과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② 향수의 동사의 특성
상태동사와 동작동사가 같은 비율로 쓰인 것을 분석해 보면, 크게 상태 동사는 정적인 고향 배경 묘사에 관여되고, 동작동사는 고향의 어린 시절이나 가족 등의 사건(추억)과 관련되어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 향수의 인물
향수의 텍스트에서 인물들이 등장되는 연은 2연, 3연, 4연이고, 마지막 5연은 가족 구성원 모두가 한자리에 모이는 공간이다.
(바) 향수의 Metaphor
향수의 텍스트에서 metaphor로 표현된 부분을 발췌하면 다음과 같다.
a) 옛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b)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그 및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c) 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d) 전설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e) 하늘에는 석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사) 향수의 공간 이동
향수의 텍스트에서 공간 이동성이 특이한 것은 각 연마다 공간을 3개씩 설정하고 있고, 1, 2, 3연의 공간 이동은 순환성이 뚜렷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4, 5연은 피상적으로 보면 순환성이 보이지 않는 듯하나, 크게 보면 순환성이 드러난다.
(아) 향수의 색채성
향수의 색채를 분석해 놓고 보면, 각 연마다 3가시 색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2.7에서 살핀 공간이 각 연마다 3개의 공간으로 구성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자) 향수의 방언 기능
화자는 향수 전 텍스트에서 방언(충북 옥천 방언)을 적절히 사용하고 있다. 이것을 통해서 고향의 이미지(고향의 옛스러움과 토속성)를 불러 일으켜 주제를 살리기도 하고, 시의 운율적 효과와 시의 ambiguity를 이루기도 한다.
(3) 맺음말
지금까지 본디말에 정지용의 향수 텍스트를 언어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다루었다.
3. 6. 5 고대소설 속의 미인
(1) 머리말
시대가 바뀜에 따라 미인에 대한 기준과 그 모습은 각기 다르고, 변한다. 따라서 그 시대의 미인의 모습은 그 시대를 대표하는 문화양식에서 찾아 볼 수 있다.
(2) 본디말
(가) 용모
‘용모’라 함은 일반적으로 얼굴모양 또는 얼굴모양과 자세 등의 뜻으로 쓰이지만, 여기선 얼굴모양 전체를 뜻하는 것으로 쓴다.
① 전체적 용모
지금까지 미인의 전체적 용모의 모습은 ‘꽃, 새, 사람, 옥, 달 등’으로 비유되고 있는데, 각각 어떤 특별한 의미자질을 갖는 것이 아니라 보편적이고 전형적인 의미자질로써 [+아름다움, +둥글음, +맑음, +희다]의 의미자질을 갖게 된다.
② 얼 굴
미인의 얼굴은 맑고, 깨끗해야 하며, 둥글고 밝은 표정이어야 하며, 얼굴색은 백옥과 눈처럼 맑고 흰 살결을 가진 아름다운 얼굴이어야 함이 드러났다. 따라서 고대소설에 나타난 미인의 얼굴모습은 [+흼, +맑음, +밝음, +둥글음, +깨끗함, +아름다움]의 의미자질을 갖게 된다.
③ 눈과 눈썹
미인의 눈은 별빛, 물결처럼 맑고 빛나야 하고, 눈물에 젖어 있으면 더욱 미인이다. 눈썹은 초생달처럼 가늘고 곡선이어야 하고, 눈동자는 쌔까매야 미인임을 알 수 있다.
④ 입과 입술
미인의 입술은 하결같이 ‘앵무단사, 앵도, 앵도순, 앵도알’로 비유되어 있고, 직접 ‘붉은, 주홍필로 찍음, 주순(朱脣)’으로 묘사하고 있다. 미인의 입은 ‘조그맣다’로 직접 묘사하고 있다.
⑤ 볼(뺨)
미인의 볼에 대한 것은 ‘꽃, 꽃송이, 부용화, 연지볼’로 비유하고 있다. 또한, 볼은 직접 통통하다고 하고 둥근달에 비유하고 있다.
⑥ 살결
미인의 살결은 한결같이 ‘백설, 달빛, 눈빛, 흰눈, 박속, 백옥’으로 비유되고 있다. 이들의 공통적 의미자질은 [+흼]이다.
⑦ 머리카락
미인의 머리카락은 ‘난초, 흑운, 구름, 삼단’으로 비유되어 있고, 직접 깨끗한 검은 머리로 묘사되고 있다.
⑧ 이(치아)
미인의 치아는 ‘박속’에 비유하고 있고, 직접 ‘흰 이’로 묘사하고 있다.
(나) 몸매
‘몸매’는 일반적으로 몸의 맵시를 뜻한다.
① 허 리
미인의 허리는 ‘세류같은 허리 <춘향>, 버들가지처럼 부드러운 허리 <구운>, 버들이 힘없이 드리운 듯 <춘향>’으로 비유하여 나타내고 있다.
② 손
미인의 손에 대한 표현은 한결같이 ‘섬섬옥수, 옥수’로 표현하고 있다. 여기에서 미인의 손은 가늘고, 연약하고 하얗고, 그리고 고운 손이어야 됨을 알 수 있다.
③ 발
미인의 발은 ‘빙설, 외씨로 비유되고 있다. 여기에서 미인의 발은 외씨처럼 작고 아담해야 하고, 빙설처럼 희고 깨끗해야 함을 알 수 있다.
④ 키, 가슴 그리고 엉덩이
고대소설에서 미인의 키와 가슴 그리고 엉덩이에 대하여 표현한 구절은 찾기 힘들다. 오히려 추녀의 모습에서 그 대조적으로 의미자질을 찾을 수 있다.
(다) 품성과 덕성
미인의 품성은‘ 가을 물길, 꽃, 관음보살, 기린, 빙옥’으로 비유되고 있다. 또한 미인의 덕성은 ‘임사의 덕, 장강의 아름다움, 목란의 절개, 효행, 덕행, 제사봉사, 화목’을 갖추어야 됨을 알 수 있다.
(라) 재질, 재능
미인은 여성으로서 꼭 갖추어야 할 ‘길쌈, 자수, 침선’을 잘 해야 되고, 거기에 ‘문장, 글, 음률, 시부, 칠언율시(한시), 제자백가’까지는 능통해야 이상적 미인이 됨을 말해 주고 있다.
(마) 음성, 나이
미인의 음성을 ‘미옥(美玉), 백옥, 꾀꼬리, 구슬, 진주’로 비유하고 있다. 따라서 미인의 음성은 백옥이나 구슬처럼 맑아야 하고, 꾀꼬리처럼 고와야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미인의 나이는 열대여섯에서 스물 살까지로 나타난다.
(3) 맺음말
지금까지 고대소설 속의 미인관(용모, 몸매, 품성 및 덕성, 재질 및 재능, 기타 음성 및 나이 등)을 비유와 묘사 부분을 중심으로 의미론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09.07.19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5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