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음식의 역사 일본의 대표음식 및 일반음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 음식의 역사 일본의 대표음식 및 일반음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일본 음식의 역사
2. 일본의 대표음식 및 일반음식
3. 일본의 명절음식과 축제음식
4. 일본 요리의 특징
5. 일본의 식사 예절
6. 한국과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7. 한국음식에 자리 잡기 시작한 일본 음식문화

본문내용

로 둘러싸인 한국은 산과 평야, 강과 바다를 고루 갖춘 입지로 인해 예로부터 다양한 식품이 산출되었다.
농업국가로서 일찍이 벼농사가 발달하여 쌀을 주식으로 하였으며 산야에 자생한 각종 채소를 비롯하여 육류, 어류 등 풍부한 산물로 음식물의 다양성과 조리법의 여러 유형을 보여준다.
특히 발효음식과 저장식품이 발달하여 김치나 젓갈 등 영양적인 면에서나 맛의 면에서 세계적인 특이성을 보인다.
상차림은 밥과 국을 기본으로 김치와 조치(찌개), 나물 등 모든 반찬이 한 상에 차려지는 것이 특징으로 반찬의 가짓수에 따라 서민의 3첩 반상에서 임금님 수라상의 12첩 반상까지 있다. 또 면상과 죽상 등 각기 차려지는 주식과 부식의 성격에 따라 상이 정해지며 격식을 중하게 생각하여 독상 차림이 발달하였다. 또한 중국과 일본을 포함한 동양 3국 가운데 가장 수저가 발달할 정도로 국이나 찌개, 탕 등 국물류가 발달하였는데 이러한 조리법은 최근의 여러 연구에서 아주 과학적인 조리방식으로 인정받고 있다.
주식과 부식이 명확한 우리나라 음식에서는 숟가락으로는 밥을, 젓가락으로는 반찬을 집어 먹는데, 일본 고대 분묘에서 우리나라에서 사용된 수저와 식기 세트가 발견되어 한국에서 일본으로 식생활 문화가 전파된 근거가 되고 있다.
※ 일본인의 식생활
일본의 식생활 고도 경제성장 시대에 들어선 1950년대 후반 이후에 일본인의 생활은 크게 변했다. 그것은 국민 소득이 대폭적으로 증대함과 동시에 텔레비전 세탁기 냉장고 취사기 등과 전화 제품이 보급된 결과 일본인의 생활이 매우 편리하게 됨과 동시에 생활을 즐길 여유가 생겼기 때문이다. 당연히, 식생활에 있어서도 그 영향이 나타났다.
예를 들면 식생활에 대한 사고방식이다.
옛날에는 \"남자는 주방에 들어가서는 안 된다\"라고 하는 말이 있었다. 이것은 가정 내에 있어 요리를 만드는 것은 여성의 임무이고, 남성이 하는 일이 아니라고 하는 의미이지만 바꿔 말하면, 남성이 식사에 흥미를 보이는 것은 사내답지 않는 것으로 취급되었다.
현재는 이 말은 사어처럼 되어 남녀를 불문하고, 식사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 많아졌다.
또, 부엌 환경도 일변했다. 이전에는 집의 구조상으로 보아 조건이 나쁜 위치에 놓여지는 일이 많았지만 지금은 조리 설비를 갖추는 것뿐만이 아니고, 채광이나 통풍 등 좋은 조건의 장소에 배치하기도 하고 인테리어도 충분히 배려하고 있는 가정이 많다.
하루의 식사 횟수는 아침 점심 저녁의 3회이고, 가장 중점이 주어지는 것은 저녁식사이다.
전쟁 전 까지는 많은 가정이 일본식 중심으로, 쌀을 주식으로 생선이나 야채 등의 부식, 거리에 된장국과 채소절임이라고 하는 편성이 일반적이었지만, 전후부터는 학교 급식의 영향으로 빵이 보급되기도 하여 육류, 계란, 유제품도 많이 섭취하게 되었다. 또, 식사의 내용은 경제성장과 함께 다양화 되어 왔다. 현재,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일본식뿐만 아니고, 양식, 중식과 여러 가지 풍부한 식사가 식탁에 진열된다. 게다가, 인스턴트 라면을 비롯한 즉석식품, 반조리품, 조리가 끝난 식품 같은 수고를 덜 들이고 먹을 수 있는 식품이 수많이 출회되고 있다.
거리에 나가면, 초밥, 튀김, 메밀국수, 우동 등 많은 일본식과 함께, 중화요리나 프랑스요리를 비롯해 한국, 이탈리아, 독일, 인도 등 세계 각국 요리를 즐길 수 있고, 후라이드 치킨이나 햄버거 등의 패스트푸드도 좋아하는 경향이다. 더구나 일부에서는 건강식으로서의 자연식품, 다이어트식 손수 만든 요리가 인기를 넓혀가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일본은 「포식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이다.
7. 한국음식에 자리 잡기 시작한 일본 음식문화
언젠가부터 양식 돈까스에서 일본식 돈까스로 많이 바뀌고 있다는 점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느낄 것이다. 한국음식문화 속에 언젠가부터 일본음식이 많이 자리 잡고 있다. 과거에도 분명히 많은 일본음식들이 있었지만, 요즘 급격하게 그동안 식품업계는 국민들의 반일감정 탓에 일본식 제품명 사용을 금기시해왔던 일본식 이름을 딴 식품이 잇따라 등장, 눈길을 끈다. 반면 미국식 명칭은 퇴조현상 조심이 뚜렷하다.
이라크 파병 등으로 미국에 대한 감정이 악화되고 대신, 일본을 친숙한 이웃나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 사회적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음식업체 CJ는 일본에서 직수입한 가다랑어포 농축액 (가쓰오부시) 을 사용한「가쓰오 우동」과 녹차를 사용한 일본식 죽제품 「오차즈케죽」을 선보였으며 풀무원은 「튀김가쓰오」,「유부가쓰오」,「하나가쓰오」등 일본식으로 이름지은 우동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대상은 정통 일본식 덮밥요리 「돈부리」, 동원 F&B는 달콤한 간장맛의 일본식 볶음국수「야끼소바」를 출시했다.
이러한 현상들은 지난해 한일월드컵 공동개최 등으로 한일관계가 개선 된데다 깔끔하고 맛깔스러운 것으로 알려진 일본 음식의 이미지를 전달하기위해 일본식 제품명이 늘어난 것으로 본다.
분명 과거 우리에게 많은 악영향을 미치기도 하고 아직까지도 반일 감정을 느끼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지만, 일본 문화가 전면 개방된 지금 시대에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버리자 라는 말이 옳은 듯하다. 이번 레포트를 하면서, 지금까지 일본음식이라면 회나 우동 정도만 알고 있었는데, 이번 기회로 일본의 음식문화에 대해 좀 더 깊이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신속함과 위생, 그리고 미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는 요즘의 음식문화에 일본음식 문화는 좀 더 깊숙이 우리나라를 파고 들듯하며, 앞으로도 크게 성황을 누릴 것이다.
자료출처 : www.naver.com 지식N, naver 백과사전, naver 블로그
http://www.japan815.com/ja6/siksayejeol.htm
http://myhome.naver.com/blue752/frameset1_1.html
http://blog.naver.com/itu2004?Redirect=Log&logNo=40045849746
참고문헌 :『일본식생활사』와타나베 미노루 저
『우동 한 그릇에 담은 일본』 김자경 저
『세계의 음식문화』동아시아식생활학회 연구회
『세계의 음식과 문화』 우문호, 이재우 저
『일본음식』제닝스 저

키워드

  • 가격4,6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9.07.20
  • 저작시기2008.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60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