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문][시][소설][수필][희곡][구조주의문예론][형식주의문예론][작품내제적문예론]문예문(시, 소설, 수필, 희곡 등)의 특징 고찰과 구조주의 문예론, 형식주의 문예론, 작품내제적 문예론 심층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예문][시][소설][수필][희곡][구조주의문예론][형식주의문예론][작품내제적문예론]문예문(시, 소설, 수필, 희곡 등)의 특징 고찰과 구조주의 문예론, 형식주의 문예론, 작품내제적 문예론 심층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문예문(시, 소설, 수필, 희곡 등)의 특징

Ⅲ. 구조주의 문예론

Ⅳ. 형식주의 문예론

Ⅴ. 작품내제적 문예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품초월적 이론이 인정하는 주관과 객관의 관계는 주관과 객관의 합을 전제로 하는 관계가 아니라, 반대로 주관과 객과의 분리를 전제로 하는 관계이다. 작품초월적 이론에 내재한 주관과 객관의 관계는 독자인 수용자라는 주관과 문학작품이라는 대상인 객관 사이의 관계가 된다. 현대의 다양한 작품초월적 이론들을 대표하는 수용미학은 문학작품이라는 대상과 그 대상을 감상하는 수용자를 서로 독립된 존재물들로 보기 때문에 대상과 수용자, 객관과 주관의 합이라기보다는 객관과 주관의, 주관과 객관의 분열이라 보는 것이 옳다. 주관과 객관의 합을 전제로 하는 자율성미학에서 주관과 객관의 분열을 전제로 하는 수용미학으로 가치평가론이 전향하는 이유는 문학작품의 기능(Funktion)과 영향(Wirkung)을 강조하는데서 온다. 문학작품은 인간사회 그리고 사회현실과 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이론인데, 문학작품은 인간사회와 사회현실을 위해 어떤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는 말이다. 수용미학은 인간사회라는 사회성(soziale Tatsache)과 사회현실이라는 역사성(historische Tatsache)을 자체 내에 포함하고있는 미학이다. 그리고 수용미학은 수용자와 문학작품의 분열을, 주관과 객관의 분열을 주장하므로, 다시 말해 문학작품이라는 대상의 총체성을 부정하므로 자율성미학이 아니라 타율성미학(Heteronomieasthetik)이라고 보아야 한다. 문학작품은 사회성과 역사성의 대변자로 사회와 역사에 의존하기 때문에 타율성미학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타율성미학인 현대의 수용미학은 문학작품을 초월하여 인간사회와 사회현실 속으로 이주하기 때문에 작품초월적 이론(werktranszendente Theorie)이라고 불리어진다. 주관과 객관, 문학작품과 수용자의 분열을 전제로 하는 수용미학은 그러나 (상과 하라는 표현을 사용한다면) 양자 중 어느 것을 상으로 하고 어느 것을 하로 하느냐에 따라서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문학작품을 상으로 하고 수용자를 하로 하는 경우와 반대로 수용자를 상으로 하고 문학작품을 하로 하는 경우로 가치평가론은 분열하게 된다. 그리고 후자의 경우를, 수용자를 상으로 하고 문학작품을 하로 하는 경우를 극단화시키면 수용자가 전부이고 반면에 문학작품은 전무라는 경우가 되는데, 이 경우 가치평가론은 극단론으로 기울게되어 문학작품을, 하나의 텍스트를 백지 또는 공허지로 보는 이론으로, 다시 말해 문학작품의 존재를 부정하는 이론으로 변모하게 된다. 문학작품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리고 문학작품을 상으로 하는 경우, 문학작품의 존재를 인정하나 그러나 하로 하는 경우, 반대로 수용자만 인정하면서 문학작품을 백지 또는 공허지로 보는, 다시 말해 문학작품의 존재를 부정하는 경우 등 문학작품의 가치평가론은 대단히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이상에서 논한 문학작품의 가치평가론들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미학(Asthetik)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표현하면, 20세기 전반에 독일문학에서 시작하는 문학작품의 가치평가론은 자율성미학과 타율성미학으로 분리된다. 문학작품의 독립적이고 독자적인 자율성을 인정하는 작품내재적 이론은 자율성미학에 속하고, 문학작품의 자율성을 부정하고 문학은 사회적 기능을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작품초월적 이론은 타율성미학에 속한다. 그러나 문학작품의 총체성을 인정하면서도 문학작품은 철학에 의존한다고 보는 여러 가지 철학적 이론들은 역시 타율성미학에 속한다고 보아야하나 자율성미학에서 타율성미학으로 넘어가는 중간 단계에 있다고 보는 것이 옳다. 작품내재적 이론, 철학적 이론, 작품초월적 이론 등을 종합하면, 작품내재적 이론과 철학적 이론은 전통적 고전미학을 의미하고, 작품초월적 이론은 현대의 수용미학을 의미한다. 문학작품에 관한 다양한 가치평가론들을 종합하는 두 번째 결론은 현대문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있는 현상학과 관련하여 표현한다면, 작품내재적 이론은 현상학의 도입이라 할 수 있고, 철힉적 이론은 현상학의 집행 아니면 철학 자체라고 할 수 있으며, 작품초월적 이론은 현상학의 종말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문학작품이 칫솔이나 치약과 같이 단순한 대상이 아니라 주관과 객관의 복합체라는 것은 철학이지 문학이 아니기 때문에 철학의 도입, 현상학의 도입이라 보는 것이 옳다는 말이다. 그리고 문학작품을 철학을 위한 도구로 생각하는 여러 가지 철학적 이론들은 문학작품이 아니라 철학이 목표이기 때문에 현상의 집행이라고 아니면 철학 자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작품초월적 이론은 주관과 객관의 관계 자체는 인정하여 현상학이 잔재해있다고 볼 수 있으나, 주관과 객과의 합이 아니라 그 양자의 분리를 주장하므로 현상학의 종말이라 보는 것이 타당하다. 세 번째 결론은 현대의 다양한 작품초월적 이론들을 대변하는 수용미학은 문학작품을 상으로 하고 수용자를 하로 하는 경우, 반대로 수용자를 상으로 하고 문학작품을 하로 하는 경우, 수용자를 전부로 하고 문학작품을 전무로 하는 경우 등 크게 3가지 방향으로 분리된다. 문학작품을 상으로 하고 수용자를 하로 하는 경우는 문학작품 속에는 규정된 아니면 불규정된 의미가 내재해 있어 수용자는 그 의미를 찾아내야 한다는 입장이고, 반대로 수용자를 상으로 하고 문학작품을 하로 하는 경우는 수용자가 의미가 전무한 다시 말해 백지와 같은 문학작품 속에다 자신의 의미를 집어넣어야 한다는 입장이며, 끝으로 수용자를 전부로 그리고 문학작품을 전무로 보는 경우는 문학의 영역을 탈피하여 일반철학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파리의 에펠탑이 하나의 기호이듯이 문학작품도 하나의 기호라는, 다시 말해 문학작품이나 에펠탑은 동등한 기호라는 구조주의 또는 탈구조주의 이론들로 변모하게 된다. 작품내재적 이론, 철학적 이론, 작품초월적 이론 등을 구체적으로 논하는 것이 순서가 되어야 한다.
참고문헌
김치수 : 구조주의와 문학 비평, 기린원
김광길·심원섭 : 문학비평이란 무엇인가, 국학자료원, 2001
김상태 : 문체의 이론과 해석, 집문당
레이먼 셀던 : 현대 문학 이론, 문학과 지성사
박영순 : 문체론의 성격과 문체 유형에 대하여, 한국어문교육 제6집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키워드

문예문,   문예,   문예론,   ,   소설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8.2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