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개념,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개발과정,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데이터수집기술,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제공 분석(GILS, 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개념,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개발과정,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데이터수집기술,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제공 분석(GILS, 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개념

Ⅲ.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개발과정
1. 1977년
2. 1980년
3. 1990년
4. 1991년
5. 1991-1992년
6. 1993년
7. 1994년

Ⅳ.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데이터수집기술
1. 현장 방문
2. 포커스 그룹
3. 설문 조사
4. 레코드 내용 분석
5. 트랜잭션 로그 분석
6. 온라인 이용자 평가
7. 정책과 문헌 검토

Ⅴ.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제공

참고문헌

본문내용

를 제안할 수 있다.
Ⅴ. GILS(행정정보소재안내서비스)의 제공
GILS의 기본 개념은 개별적인 소재 정보에 흩어져 있는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정보의 소재는 매우 다양하므로 정보를 얻는 방법도 인쇄매체, 전화를 통해 얻는 것부터 전자 네트워크 기술을 사용하는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GILS는 흩어져 있는 정보서비스와 각 기관에서 제공하는 소재 정보의 조합체이므로 정보에 대한 책임은 그 정보를 제공하는 기관이나 개인이 가진다. 각각의 기관이 제공하는 정보가 GILS의 요소임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GPO, NTIS와 같은 기관은 국민이 정부가 어딘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정보에 대해 접근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GPO와 NTIS와 같은 기관은 GILS Core 요소에 다른 기관의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므로 GPO Access System, NTIS FedWorldTM System, National Geospatial Data System, Global Change Data and Information System에 접근이 가능하다. 즉 GILS의 이용자는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정보를 통해 광범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다양한 정부의 수준(주, 지역, 외국, 국제기관)에 따른 정보와 비정부기관의 정보에 대한 접근도 가능하다.
GILS는 locator에 있는 정보뿐만 아니라 참조정보자원에 대해서도 직접적인 접근을 제공한다. 즉 데이터 시스템과의 연결을 제공하며 정보 상품의 전자적 전송을 가능하게 하나 전자적 네트워크화의 경향에도 불구하고 많은 참조정보자원들은 아직도 전자적 형태로 이용할 수 없다. 그러므로 GILS는 정보기관에 의해 지정된 다양한 배포방법에 따라 정보를 제공한다.
참고문헌
○ 박은아(1997), 미국의 전자정부 추진정책과 동향, 정보통신정책, 9(8): 25-53
○ 이재윤, 메타데이터 환경과 과제, 한국정보검색위원회 1998년 10월 월례발표회
○ 정윤수(2002), 미국의 전자정부 추진, 지역정보화, 통권 제20호: 83-87
○ 최명규 안계성(1997), 정부정보 소재 안내서비스(GILS)의 구축현황, 제2회 과학기술정보워크샵, 한마당(1998)
○ 행정자치부(1999), 행정정보 공동이용 시스템 구축 설계(결과보고서)
○ 행정자치부(1998), 전자정부의 비전과 전략 - 21세기 전자정부로 가는 길
  • 가격5,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9.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4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