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행정론]평창동계올림픽 유치와 관련 글로벌 거버넌스와 로컬 거버넌스 차원의 해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거버넌스의 의의
2. 거버넌스의 정의
3. 글로벌 거버넌스
4. 로컬 거버넌스
5.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 의의와 중요한 의미
6.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의 주요 추진과정
1) 국내 후보도시 결정
2) IOC의 개최도시 설정
7. 평창 동계올림픽의 필요성
8.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노력의 거버넌스적 의미
1) 강원도 평창의 위상
2) 문화관광의 새로운 패러다임
9.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성공의 파급효과

Ⅲ. 결론 및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개인적 의견

참고문헌

본문내용

열풍으로 아시아 관광객의 발길이 잦은 강원도가 동북아 관광, 스포츠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도 작용할 것이다. 각종 교통망과 사회 인프라 확충은 비교적 낙후된 강원권 지역의 개발에도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엇보다 단일팀 구성이나 일부 종목 분산 개최 등은 남북관계를 진일보시키는 결과를 가져다 줄 수도 있다.
이에 앞서 치러지는 2006숏트랙세계주니어대회, 2009년 스노보드 세계선수권대회, 2009년 바이애슬런세계선수권대회 등의 굵직한 국제 대회는, 동계올림픽의 붐을 조성함과 동시에 개최 후보지로서의 역량을 미리 검증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다. 특히 바이애슬런세계선수권대회는 비유럽 권에서는 최초로 개최되는 대회로 더욱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강원도는 KOC, 문화관광부와 함께 올림픽유치위원회의 인선을 마칠 예정이라고 한다. 이들 유치위원들이 총회를 갖고 활동을 시작한다. 2014년을 향한 장도는 본격화된 셈이다. 전국을 붉게 물들였던 2002년의 환희가 2014년에도 재현될지, 관심과 애정을 가지고 지켜볼 일이다.
Ⅲ. 결론 및 평창 동계올림픽에 대한 개인적 의견
평창의 감동, 프라하의 이변이 2년 후 IOC총회에서 다시 효력을 발휘할지는 미지수다. 솔직하게 털어놓는다면, 산간마을 평창의 도시환경은 지난 날 올림픽 개최도시에 비해 너무 뒤져 있는 것이 사실이라 생각된다. 그렇다면 이제 평창이 서둘러야 할일은 무엇인가, 해답은 확실해진다. 한 마디로 마을의 국제화이다. 고속도로를 넓히고 빌딩을 세우고 호텔을 짓자는 것이 아니라 시골의 자연조건을 최대한 살리면서 문화적인 환경과 함께 세계인이 호흡을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경기시설, 예컨대 가장 까다로운 스키활강경기 코스나 점프경기장, 또는 돈이 많이 들어가는 루지, 봅슬레이 코스를 국제수준에 맞게 확보하는 것은 당연하지만 그것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다. 한마디로 ‘세계의 평창’을 만들어야 하는 것이다. 평창과의 경쟁에서 승리한 2010년 개최지 밴쿠버는 어떠한가. 5년 전 스키기술연수를 위해 찾아갔던 밴쿠버 인근 휘슬러스키장은 한마디로 ‘눈의 파라다이스’ 같았다. 태평양연안의 대도시 밴쿠버에서 스키장에 이르는 산간도로가 비좁고 위험하여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지만 휘슬러마을은 별천지인양 계획적으로 배치되고 정돈된 마을과 인근의 빌라와 로지들이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 했다. 예컨대 언어소통은 물론, 자연과 스포츠, 여기에 예술적 감수성이 어우러진 마을 분위기가 인상적이다. 우리가 반드시 이런 선진화 환경을 따라갈 필요는 없지만 국제화를 위해서는 벤치마킹해야 할 부분이 비일비재하다.
이제 동계올림픽을 열기 위해서는 특정 도시, 몇몇 마을만이 아니라 강원도 전체의 환경을 업그레이드하는 과제가 우리 앞에 놓여 있다. 그렇다고 해서 마을 모두를 뜯어 고치자는 것은 아니다. 우선 중심마을의 도시계획을 자연환경에 어울리도록 아름답게 바꾸고 국제마인드를 갖추도록 청소년부터 교육을 시작해야 한다고 본다. 이것이 경기시설 확보 이전, 국제화의 첫 걸음이라 생각된다.
참고문헌
거버넌스의 정치학
김상배, 지식 네트워크의 국가전략: 외교분야를 중심으로
김정렬. (2000). 정부의 미래와 거버넌스: 신공공관리와 정책네트워크. 한국행정학보. 34(1): 21-40.
한국관광공사,‘국제회의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2005
한국관광공사 http://www.knto.or.kr/
이훈(2002). 스포츠의 관광매력 분석. 한국스포츠사회학회 전기학술대회 발표 원고. p.8.
안민석, 정홍익, 임현진(2002). 새로운 스포츠사회학. 서울 : 백산서당. p. 197.
  • 가격3,6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9.23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8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