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A+] 주민소환제 이론적 고찰과 주요사례(경기도 하남시,밀양시)와 주민소환제 평가 및 향후 개선방안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행정학A+] 주민소환제 이론적 고찰과 주요사례(경기도 하남시,밀양시)와 주민소환제 평가 및 향후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 1
2) 연구범위와 방법 .................................... 2

Ⅱ 본론
1) 주민소환제의 이론적 고찰........................... 3
(1) 주민소환제의 개념
(2) 주민소환제의 절차와 효력
(3) 주민소환제의 필요성
(4) 주민소환제 운용 현황
(5) 주민소환제의 찬성론, 반대론
2) 주민소환 주요 사례................................... 7
(1) 경기도 하남시
(2) 경상남도 밀양시
3) 주민소환제 평가....................................... 10
(1) 긍정적 측면
(2) 부정적 측면
4) 주민소환제의 개선방안 .............................. 14
(1) 성숙한 시민의식
(2) 주민 감사 청구제도 등의 활성화 필요
(3) 주민소환 갈등 중재 위원회 설치를 위한 규정 도입
(4) 법률적 측면의 개선

Ⅲ 결론 .............................................. 16

◈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이 부결되더라도 모든 비용을 자치단체에서 부담하게 하는 등의 주민소환에 관한 법률의 내부적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또한 주민소환제의 오용 가능성으로 인한 지자체장의 업무 위축 우려와 이 제도의 특성을 이용한 정치적 악용우려의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고 주민들의 지역이기주의 조장, 주민들 간, 지역 간 갈등 등이 그 예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봐야한다.
우선 진정한 주민참여는 제도(법) 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민주주의는 제도이기보다는 생활양식이며, 지방자치나 주민참여도 제도이기보다는 생활 그 자체다. 또한 주민참여는 공직자와 주민의 의식과 태도가 먼저 민주화되고, 행정자체가 참여적인 것으로 변할 때 이루어지는 것이다. 말하자면 진정한 주민참여가 실현되려면 참여적인 행정문화가 형성돼야 가능하다.
그래서 우선적으로 성숙한 시민의식이 전제되어야 한다. 공익이 사익보다 우선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될 때 자신의 이익을 조정하여 그 공익의 실현을 돕고 자신의 이익을 절제하는 합리적 선택을 할 수 있어야 하며 타인들의 권리와 이익도 존중하고 타인의 추구행위를 당연한 것으로 수용하여야 한다. 그래서 주민소환제의 장점과 단점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그 사용법을 잘 알아 이것을 누구에게 어떻게 써야 지역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것인지를 심사숙고해서 판단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공직자 역시 윤리 확보를 위한 노력 등의 의식적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성숙한 시민의식, 공직자 윤리와 더불어서 해야 할 것은 주민소환제가 최후의 보루라는 수단이기에 그에 앞서 현행제도상 주민투표제와 주민발안제, 주민감사청구제도, 주민소송제등 다양한 선행 제도를 이용하며, 이 현행제도들의 문제점들을 개선할 수 있도록 개혁해 나가야 한다. 그리고 주민소환제의 오용이나 남용으로 인한 자치행정의 혼란을 막기 위한 횟수의 제한 및 ‘해당 공직자를 선출할 때 참여하였던 유권자들의 권리와 책임을 일치시키는 의미’와 ‘오남용을 방지하려는 의미’에서 주민소환에 대한 투표권을 해당 공직자를 선출할 때 참여하였던 유권자로 제한하는 등의 투표자의 범위 제한이 이루어져야 한다. 공무원과 관변단체의 주민소환 방해행위를 차단시킬 제도를 갖추고, 주민소환제의 비용문제 등 절차상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주민소환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어느 한 가지 측면에서만의 개선이 아닌 다양한 측면 모두에서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앞서 언급한 공익지향적 자세, 합리성, 자기절제, 이성적자율적 시민, 지역에 대한 애정을 가지고 주민소환제를 바로 보고, 선행 제도의 이용 및 현행 제도상 개혁으로 대변되는 제도적으로서 개혁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주민소환제의 진정한 의미의 발전이 가능하다.
이처럼 주민소환제는 어느 한쪽만의 일방적인 주장에 따른 해결보다는 주민과 공무원, 개인과 사회, 그리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모든 구성원이 책임의식을 갖고 오랜 기간 동안 꾸준히 공동 노력을 계속할 때 상호 원활한 관계가 형성되어 제도의 취지에 맞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참고문헌
국회사무처 법제실(2005). 「주민소환제도의 도입에 대한 법제방향」.
김진태(2008). 「주민소환제 운용에 관한 연구」,동국대사회과학대학원.
김영기(2003). 「주민소환제의 도입방안」, 지방행정연구 제17권 제3호.
김영기(2006). 「한국의 주민소환제: 양날의 칼, 어떻게 쓸 것인가?」, 대영문화사.
김충환(2007). 「주민소환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세미나」, 한국지방정책연구원.
김혜란(2008). 「주민소환의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 한일 사례비교」, 부산대학교 대학원(석사논문)
노현수(2005). 「주민참여와 주민소환제」, 영남대 대학원.
유성종(2005). 「우리나라 주민직접창정제도의 실태분석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창원대 행정대학원.
이기우(2001). 「지방자치단체의 책임성과 주민소환제도; 주민소환제도의 입법방향」,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정세욱(2007). 「주민소환 무엇이 문제인가」, 법개정을 위한 공청회.
정연정(2007). 「주민소환제 도입과 발전 방안」. 충북개발연구원.
정인규(2007). 「주민소환제도의 도입과 시행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조경련, 김영기(2008). 「우리나라 주민소환제 운용에 관한 연구」.
하승수(2006). 「주민소환제도의 특징과 시민사회에 주는 함의」, 제주대학교 법학부.
광명시민신문(2007.06.10). 「선거법 연재) 주민소환제 절차와 효력은?」.
연합뉴스(2007.12.12). 「하남시 주민소환투표 일지」.
서울신문(2008.4.28). 「하남시 광역화장장 포기」.
세계일보(2007.12.17). 「주민소환법, 제도적 보완 시급하다」.
연합뉴스(2007.12.12). 「김황식 하남시장 '소환불발' 시장직 유지」.
http://blog.daum.net/ankwan/15712092
http://blog.daum.net/alk9935/17950108
http://www.imiryang.com/data.php?table=criticism&query=view&l=141&p=1&go=5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76858
http://www.cbs.co.kr/nocut/show.asp?idx=1002514
http://www.shinailbo.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1350
http://buk.daili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83
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1/16/2009011601083.html
http://www.yn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17322
http://kr.news.yahoo.com/service/news/shellview.htm?linkid=4&articleid=2009011910202835370&newssetid=1352
  • 가격2,7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11.03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