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QM의 정의와 기업사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QM의 정의와 기업사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TQM (Total Quality Management)의 역사
가. TQM의 이론적 고찰
나. TQM의 개념
다. TQM의 사전적 정의

2. TQM 사례 (SK networks 사례조사)
가. 언론의 SK의 TQM 사례내용
나. “SKN 다이나믹”
<SK 네트웍스의 (1)서번트 리더쉽, (2)다이내믹 팔로워쉽>
사례(1)
경인본부 신규개발TF팀
사례(2)
Servant Leadership 실천을 위한 작은 변화

본문내용

매번 색다르게 진행된다. 팀원간유대감 강화를 목적으로, 이를 극대화 할 수 있는 Ourdoor activity를 캔미팅에 매번 포함시킴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2004년 팀웍 강화 프로그램, 2005년 동강 래프팅, 2006년 모터 사이클 및 발야구, 2007년 볼링과 같은 일련의Activity를 진행해왔으며, 이는 팀원간 상호협력 도모 및 유대감 강화로 이어져, 팀 내 각종 소모임 결성되는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⑥ 소모임 지원
Outdoor 캔미팅을 통해, Tommy팀에는 직급, 직능별 모임뿐만 아니라, 연배를 중심으로 각종 소모임이 하나 둘씩 형성되고 있다. 80년생들의 모임, 76~79년생의 모임 등 다양한 모임이 형성되어,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으며, 팀은 이러한 소모임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3. 나의 느낌 (SK네트웍스의 ‘서번트 리더십’과 ‘다이내믹 팔로워십’)
보통의 기업의 경우 전 구성원은 힘을 모아 목표를 달성을 위해 한 해 동안 전력을 다해야 한다. 그것이 모든 구성원들의 지상 과제이다. 그러나 험난한 목표의 항해를 시작할 때 에도 구성원들 간의 친목과 단결이 있다면 개개인은 외롭지 않을 것이다. 각자가 탄 배가 웅장해서가 아니다. 자신을 포함한 선원들이 지금 하나의 생각을 갖고 앞으로 노를 젓고 있기 때문이다. 내가 바라본 SKN의 바로 ‘서번트 리더십’ 그리고 ‘다이내믹 팔로워십’이 그것이다.
창의적이고 다이내믹한 조직을 만드는 힘!
서번트 리더십과 다이내믹 팔로워십을 정리하며 가장 강하게 남는 게 있다면 “리더의 희생과 봉사는 사랑에 근거한다.” 라는 것이다. 리더의 내면과 행동양상에 시선을 고정한 채, 진정한 리더십의 본질에 관해서 예문과 질의를 통해 보다 궁극적이며 생산적인 발전의 축으로서 리더십을 논하고 있다. 조직을 이끄는 자로서 리더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경영과 리더십에 대한 관심과 연구는 끓이지 않고 계속되는 것이 아닌가싶다. 최근 몇 년간 경영에 대한 요구와 관심이 부상하면서 리더의 조직 경영에서 인간 경영, 자기 경영에 이르기까지 온갖 형태의 리더십 이론이 범람하고 있다. 그런데 특이한 것은 단순히 표피적인 차원에서 리더십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리더 자신이 먼저 갈고 닦아, 진정한 리더로서의 거듭나게 한다는 ‘서번트’ 정신이 강조된다는 점이다. 구성원을 때로는 강하게 밀어 붙여야 하지만, 한편으로는 부드럽게 포용할 아는, 리더의 상이 부각되고 있다. 이제는 리더가 조직과 구성원에 대한 사랑, 뛰어난 창의력, 성실성과 지식 비전과 용기 등 다양한 요소를 갖추지 않으면 급변하는 경쟁 환경에서 우위를 정할 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은 누구나 리더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구성원들의 리더에 대한 신뢰(사랑)는 리더십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만큼, 구성원들에게 솔선수범이라는 행동으로 리더가 먼저 신뢰(사랑)를 보여주어야 구성원의 책임감 및 주인 의식을 고취시키고, 나아가 최대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브랜드 리더십’에서 보여주는 이미지는 관리형 리더가 아닐까 싶다.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남이 가지 않은 새로운 길을 만드는 것에 높은 가치를 두는 리더십이다. 모방보다는 창의적으로 승부하며 남보다 앞서 표준을 장악해 독보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주된 목표인 것 같다. 초점을 맞춰 신뢰를 쌓아가며 차별화된 경쟁력을 만들고 싶은 상황에서 요구되는 리더십이 아닐까 한다. 또한 ‘탱크 주의적 리더십’은 성실과 끈기를 기반으로 솔선수범으로 조직을 이끌며, 말보다는 행동을 요구하는 ‘파워 리더’로서 즉각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고 싶을 때 유용한 리더십일 것이다. 아울러, 슈퍼 리더십을 원하는, 우리 주의에서 흔한, ‘권임형 리더’는 풍부한 지식을 활용해 경영하는 박식한 기본적인 역량을 중요하게 보는 것 같다. 하지만 구성원들에게 스스로 주인 의식을 갖는 ‘셀프 리더’가 되라고 요구하며 자신은 그들의 멘토가 되기를 즐긴다. 풍선이 하늘 높이 올라가기 위해서는 질 좋은 헬륨이 필요하다. 이처럼 다양하게 리더의 상을 제시하고 있지만, 리더와 팔로워와의 관계를 풍선에 비유하여보자면, 풍선을 하늘로 띄우기 위해서는 헬륨이라는 가스가 필요하다. 헬륨이 얼마나 풍선에 채워져 있는가에 따라 풍선은 더 오랫동안 그리고 하늘 높이 올라갈 수 있다. 그런데 이 헬륨이라는 가스는 구성원의 업무 수행 능력, 훈련, 혁신, 열망, 재미, 보람, 봉사, 사람들부터의 인정, 자유 등으로 이뤄져 있다. 따라서 질 좋은 헬륨을 채우기 위해서는 부단한 정제 과정이 요구되는데 그 정제과정이 바로 ‘서번트 리더십’이 발휘되는 과정이라고 생각된다.
서번트 리더십과 다이내믹 팔로워십의 과정에서거둔 확실한 성과들을 확인해보자면 구성원들 모두가 팀의 발전을 위한 노력에 기꺼이 참여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었다는 점은 확실한 변화이며, 직위를 막론하고 서로 간의 이해의 폭이 넓고 깊어졌다는 것 또한 간과할 수 없는 성과이다. 이것은 구성원들 스스로가 마음을 열고 있다는 뜻으로 앞으로 더욱 많은 긍정적인 변화들을 이끌어내는 중요한 토대가 될 것이다. 팀장이지만 지위를 막론하고 막내 여사원의 조그마한 의견도 소홀히 하지 않고 팔로워 하려고 애쓰며, 팀원들도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고 일단 해보자는 적극적인 자세와 자신감으로 충만해진 구성원들의 마음가짐을 이번 보고서 작성을 통해서 느낄 수 있었다. 서번트 리더십 실천을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과거의 술만 먹는 획일적이고도 강제적이었던 문화에서 탈피하였다. 이를 계기로 조금은 귀찮더라도 서로간의 정을 돈독히 할 수 있었고, 흥미로운 요소가 가득한 직장 생활에 활력을 느끼기 시작했다는 것은 높이 평가할 만한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약간의 희생과 인내 뒤에는 더욱 값진 무언가가 되돌아온다는 것을 전 구성원들이 충분히 느끼고 공감할 수 있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SKN의 ‘서번트 리더십과’, ‘다이내믹 팔로워십’의 슬로건아래 이러한 작은 시도와 변화는 후에 회사와 사원들에게 더 나아가 사회에도 좋은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1.07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98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