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학] 코카콜라의 중국 현지화 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학] 코카콜라의 중국 현지화 전략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경영학] 코카콜라의 중국 현지화 전략
1. 코카콜라의 중국진출 단계

2. 코카콜라의 현황

3. 코카콜라의 현지화 전략

4. 위협과 도전

23억 인구 노려 시골 구석까지 공략 박차

본문내용

양성, 중국과 인도의 전국 각지로 파견해 소매점과 찻집은 물론 노점상 가판대에서도 콜라를 구입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이다. 회사측은 태어나서 한 번도 콜라를 마셔보지 못한 중국 및 인도의 시골 거주자 4억명을 내년 말까지 신규고객으로 끌어들인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시골의 소매점에는 냉장고를 반드시 구비하도록 재정지원을 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차가운 콜라를 마실 수 있게 하겠다는 것. 또 생산비용을 낮추기 위해 기존의 전통적인 콜라병보다는 용량이 작은 200㎖짜리 병을 사용하기로 했다. 일반 플라스틱 병이나 캔보다 내구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20회 이상 재활용이 가능해 가격을 낮추는 데는 안성맞춤이다. 중국과 인도의 시골지역에서 콜라 한 병은 각각 1위안과 5루피. 이는 달러로 환산하면 12센트에 불과한 가격이다. 그러나 중국과 인도의 시골 소비자들을 유인하겠다는 코카콜라의 전략에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빈곤층 시골지역에는 개당 12센트에 콜라를 공급하고 있지만 과연 언제까지 ‘손해를 봐가면서까지’ 이런 가격대를 유지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코카콜라의 최대 경쟁업체인 펩시콜라는 최근 인도에서 20% 이상 콜라 값을 인상했다. 고객유치를 위해 그동안 초저가 정책을 써 왔지만 회사 입장에서는 더 이상 영업 마진율 하락을 가만히 볼 수 없다는 판단을 내렸다.
중국과 인도의 도시지역 소비자들을 잃어버릴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현재 코카콜라는 도시지역 중산층에는 ‘품격 있는’(Stylish) 브랜드 이미지를 갖고 있지만, 만약 시골의 빈곤층 소비자가 즐겨찾는 음료가 된다면 도시지역 소비자들이 코카콜라를 외면할 가능성이 있는 것이다. 펩시콜라의 경우 도시지역 마케팅에만 총력을 기울여 대조를 보이고 있다. TV나 신문 광고를 통해 상하이 등 대도시의 젊은이들에게 ‘펩시는 높은 사회적 지위를 추구하는 사람들만 마신다’는 메시지를 꾸준히 심어주고 있다. 중국 내 인구 100만 명 이상 165개 도시지역에 콜라를 판매한다면, 중국의 가처분소득 75%를 가진 소비층과 만난다는 결론을 내린 후 이런 전략을 밀어붙이고 있다. 펩시콜라의 론 맥이천 아시아담당 사장은 “가난한 소비층을 공략하는 코카콜라의 마케팅은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며 “펩시콜라가 45억달러로 추산되는 중국의 탄산음료 시장을 장악할 날도 멀지 않았다”고 말했다. 코카콜라의 생존전략이 적중할지 지켜보는 일이 관심거리가 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1.11
  • 저작시기2009.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04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