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교육정보공개법에 관하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교육비,교육정보공개법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사교육
- 사교육이란?
- 사교육의 현실태 및 문제점
- 유발요인
- 개선방안

2. 교육정보공개
- 문제점
- 특례법

본문내용

없을 것이다. 여론조사를 보면 학부모 60% 이상이 평준화를 지지한다. 폐해를 알고 있다. 실제 평준화 지역인 5대 광역시의 임팩트가 강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체제가 없어지진 않을 거다.
결국 엘리트 고등학교를 늘리려는 전략인 것 같다. 이 학교들이 잘 되려면 내신이 불리하지 않아야 한다. 내신이 불리하게 되면 학부모들이 안 보내려고 하니까 대학이 고교를 등급화할 수 있어야 한다. 결국 줄을 세워서 학교 서열 정보를 대학에 주려는 것이다.
이건 입학사정관제와도 관련이 있다. 입학사정관제가 지금까지는 꽤 성공한 편이었다. 기회균등제 구실로 교육격차를 완화하는 목적이었는데 이게 정시로 들어오면 입학사정관들이 고교 때 성취 정보를 알 수가 없으니 결국 필요한 정보는 수능 점수다. 넓게 볼 때 ‘엘리트 고교’만 육성이 될 거다. 그런 저의가 아니면 수능 성적을 다 공개할 필요가 있을까.
- 교육정보공시제 전반에 대해 찬반 논란이 있어 왔다. 교육 정보를 공개할 때 무엇을 기준, 원칙으로 삼아야 한다고 보나.
교육정보 공개를 전적으로 나쁘게 보진 않는다. 학교교육계획서에서부터 중도탈락률, 청소년 비행 등이 다 공개된다. 그런 건 좋다고 본다. 예를 들어 장애인 시설이 있는지, 특수반이 있는지 등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창구다. 단, 학업성취도 정보 공개는 반대다. 학부모들이 학교 선택 때 가장 관심 있어 하는 게 학업성취도 정보다. ‘전략적 행위자’는 ‘이기적 행위자’라고도 부르는데 학부모들이 그렇다. 내 자녀가 조금이라도 유리해야 한다는 태도를 갖게 되기 때문이다. 인간은 이기적인 존재이니까 도덕적으로 비판하긴 어렵다. 현 정부가 머리를 잘 쓴다고 본다. 수능 성적 공개의 이데올로기적 효과를 잘 아는 것이다. 시민들을 의도적으로 심한 경쟁자로 만들어버린다. 학업성취 정보를 공시하기 위해 다른 모든 교육정보 공시를 하는 거 같다.
- 애초 수능성적 공개의 명분은 ‘공교육 경쟁력과 질 향상’이었다. 하지만 이번 성적 공개는 의도에 맞는 공개도 아니거니와 대안이 없다고 비판받는다. 공교육의 질이 향상되려면 어떤 방법들이 필요하다고 보나.
교육 목표대로 가면 된다. 시험이나 경쟁을 목표로 두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 개선할 점도 여전히 있지만 초등학교 교육이 상당히 나아졌다. 석차와 중학교 입시 경쟁이 사라진 덕이다. 고입 경쟁이 치열해지면 공교육이 비정상화한다. 고교 교육의 문제는 대입 때문에 생기지 않았나. 시험 맞춤형 공부를 하는 게 문제다. 시험 자체를 다 없애자는 얘기는 아니다. 중학교의 경우 과목별 석차를 내지 말고, 교사별 평가 등을 하는 방법이 있을 거다. 고교 교육은 대입 때문에 정상화가 어려울 수 있지만 중학교까지는 가능하다고 본다. 최소 9년 동안 시험 맞춤형 공부를 안 하게 하는 게 공교육 정상화라고 본다. 교육 목표에 ‘주입식’, ‘획일식’이라는 말은 없다. 창의적 인재, 배려하는 인간, 자기존엄성을 추구하는 인재 등이 목표로 적혀 있을 거다.(웃음)
- 수능 시험 자체에 대한 생각도 해보게 된다. 수능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의견들이 있다. 이번에 성적이 공개된 수능시험은 과연 유효성이 있을까.
수능, 내신, 논술 중에서 수능이 가장 마지막에 없어져야 한다고 본다. 입학관리가 안 되는 대학이 많기 때문이다. 학교 쪽이 출제, 평가, 채점, 사정을 해서 합격자 발표하는 가운데에 입시 부정도 우려된다. 미국 SAT처럼 에티튜드(Aptitude) 즉, ‘적성’을 보는 시험으로 바뀌면 시험이 쉬워진다. 근데 이렇게 되면 변별력이 없어져서 본고사가 부활된다고들 이야기하지 않나. 공교육이 대학별 본고사 대비를 하는 건 수능 대비보다 더 어렵다. 사교육 시장은 더 늘어날 거고, 그래서 이 부분 역시 딜레마다.
- 일제고사를 비롯해 수능성적 공개까지 이명박 정부는 영·미식 신자유주의 교육 모델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그들 사회를 통해 우리 교육의 미래를 그려본다면.
학업성취도 시험을 봐서 등수를 학교 누리집에 공개한다는 건 미국 부시 정부가 지난 8년 동안 해온 것들이다. 오바마 정부는 여기에 손을 보겠다고 했는데 아직까진 모르겠다. 대선 과정에서 강조한 부분이기 때문에 분명 변화가 있을 거다. 미국과 영국은 국제성취도 성적이 중간 이하다. 중도탈락률까지 하면 미국은 더 낮을 거다. 그런데 공교육비는 높다. 결국 시험을 봐서 학교를 등급화하고, 책무성을 묻겠다는 그들 나라의 생각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거다.
차이점이 분명히 있다. 미국은 시험 자체가 많지 않다. 그러니 시험 준비를 위해 연일 공부하는 일은 없다. 획일식, 주입식 수업도 잘 안 한다. 일제고사의 폐해가 있겠지만 우리 정도는 아니다. 반면 우린 이미 획일식, 주입식 수업을 한다. 일제고사 말고도 중간, 기말, 학년에 따라선 학업성취도평가 등 많게는 일 년에 일곱 번의 시험을 치른다. 프로젝트, 토론 등 다양한 수업 방법이 있는데 시험 준비 때문에 교사들은 이를 시도하기 힘들고, 시도해도 시험에 신경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거다.
이번 정부의 교육 정책 전반에서 가장 큰 잘못은 입시경쟁을 강화한 것이다. 고교 다양화 정책이 큰 문제다. 이젠 초등학교 고학년부턴 입학경쟁에 돌입해야 한다. 실제 그러고 있다. 달리기 경기로 치면 42.195km의 마라톤을 뛰게 하지 말고, 가능하다면 뛰는 거리를 줄여줘야 한다. 10km, 5km만 뛰게 하자는 거다. 대입은 입시 때문에 불가피하더라도 고입부터 아이들을 괴롭히며 진을 다 빼놓는 경쟁을 유도해선 안 된다. 초등학교부터 중ㆍ고교 초기까지는 창의력을 기르게 하고, 적성, 진로 등을 찾도록 도와야 한다. 이미 너무 많은 시간 진을 빼고 대학에 들어오니까 능동적으로 자기 분야에서 탐구할 시기에 ‘순치형 아이들’이 된다. 도전적인 아이들도 있지만 기대에 미흡할 정도로 나오는 게 아쉽고, 안타깝다. 이건 국가경쟁력 문제로 이어지는 거다.
글·사진 김청연 기자 carax3@hanedui.com
※ 토의 주제
1. 증가하고 있는 사교육 문제에 대해 알아보고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한 해결방안을 토의해 보자.
2. 교육정보공개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하라.
  • 가격4,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12.06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5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