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독부산물(트리할로메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독부산물(트리할로메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1 < 트리할로메탄의 특성 >
1.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이란 ?
2. 생성 메카니즘
3. Trihalomethan 발생원인
4. THMs의 위해성

Ⅲ. 본론 - 2 < THMs 위해성 평가 >
1. 위해성 평가의 개념
2. 위해성 평가의 단계
3. THMs의 위해성 평가

Ⅳ. 본론 - 3 <한국 정수장의 THMs 생성현황과 제거효율성 평가>
1. THMs 생성현황
2. THMs 생성 저감대책

Ⅴ. 결론 및 고찰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노출량
Hs : 사람의 체표면적 기준 노출당량
Wm : 생쥐의 체중(0.03kg)
Wb : 사람의 체중 (70kg)
2) 노출 평가
THMs는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서 인체에 흡수되지만 음용수를 통한 노출에 국한시켜 그 노출량과 노출인구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농도에 따른 노출량을
산정하고 대상지역의 급수인구를 노출인구로 삼았다.
2-1) 노출량 산정
3) 위해도 결정
노출량 반응평가의 결과 산정된 단위 위해도와 실제 상수중 THMs 농도를 고려하여
계산된 노출량을 결합하여 각 도시별 발암확률을 구하고 각 도시의 급수 인구를
고려하여 예상 발암자수를 계산해보았다.
단위 위해도 추계치 자체가 70kg의 성인 남자가 단위 농도에 평생동안(70년)노출
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발암확률도 이에 기준을 한 것으로 70kg의
성인 남자가 70년동안 다음 표와같은 노출량을 지속적으로 일정하게 받을 때 암이
발생활 확률이다.
Ⅳ 본론 - 3 < 우리나라 정수장의 THMs 생성현황과 그 제거효율성 평가>
1. 우리나라 6개 정수장의 THMs 생성현황
조사지역 : 반월 정수장(BW), 시흥 정수장 (SH), 성남정수장 (SN),
와부 정수장(WB), 일산 정수장 (IS), 태백정수장(TB)
조사시기 : 1998년 1월 ~ 1998년 12월
조사방법 : 최종처리수에 대한 THMs 생성현황조사와 각 처리공청에성의
THMs 생성능 및 THMs 생성 전구물질의 제거효율평가
< 표 - 6개 정수장의 연중 최소, 최대, 평균 THMs 농도 >
< 단위 mg/ℓ )
취수원 상류 팔당호 하류
정수장 TB BW SH SN WB IS
최소값 0.018 0.013 0.017 0.015 0.020 0.021
최대값 0.042 0.030 0.057 0.051 0.053 0.071
평균값 0.027 0.024 0.032 0.036 0.034 0.036
2. THMs 생성능 (THMFP)
THMFP 실험은 상수원수에 실제 정수장에 투입하는 염소량과 반응시간으로 THM
생성에 관여한 THM 생성 전구물질량을 측정하는 보다 직접적인 방법이다.
< 표 . 6개 정수장 원수의 연중 최소, 최대, 평균 THMFP값 >
취수원 상류 팔당호 하류
정수장 TB BW SH SN WB IS
최소값 0.012 0.026 0.022 0.029 0.030 0.028
최대값 0.061 0.072 0.074 0.087 0.072 0.073
평균값 0.040 0.047 0.048 0.051 0.049 0.044
유입원수의 높은 THMFP값은 최종 처리수의 높은 THMs 농도라는 상관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THMs 생성은 염소주입량, 전구물질량, 반응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는 것을 감안하고 제거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다.
3. THMs 저감방안
3-1) 응집 친전공정
응집침전공정을 통한 THMs 생성전구물질의 제거율은 BW 정수장의 경우 62.4%의
제거율을 보였고 SH정수장 및 모든 정수장에서 연평균 50% 이상의 THMs전구물질
제거효율을 보았다.
염소 주입위치를 변경하고 응집에 의한 전구물질의 제거가 필요하다. 염소 투입위
치를 침전조 이후로 변경하면 THMs 생성농도를 평균 75% 이상 감소할 수 있다.
3-2) 정수 처리시에 이산화염소, 오존등을 병용하여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오존처리 후에는 NOMs (Natural organic Matter) 의 성분이 대부분
BDOM(Biodegradable Organic Matter) 형태로 전환되어 이 후 생물학적
처리 공정이 후속공정으로 도입될 경우 효과적으로 THMs 전구물질이 되는
NOMs를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3) THMs등이 생성될 경우에는 활성탄등의 흡착제를 사용하도록 한다.
Ⅴ. 결론 및 고찰
본 보고서 정리 결과 우리나라의 THMs 에 대한 규제 기준치는 70kg의 성인
남자가 70년간 매일 2 Liter의 물을 마신다고 가정할 경우 1.03×10-4
~ 1.07 × 10-3 의 발암 위해도를 갖는 농도로서 규제기준치를 강화시킬 때
그에 따른 발암 위해도의 감소를 보여준다.
규제 기준치(㎍/L ) 발암 위해도
100 (우리나라 규제기준치 ) 1.03 × 10-4~ 1.07× 10-3
50 5.15×10 -5 ~ 5.35 × 10-4
30 (WHO 권장 기준치 ) 3.09 × 10-5 ~ 3.21 × 10-4
10 1.03 × 10-5 ~ 1.07 × 10-4
우리나라의 음용수중 THMs농도 현황을 살펴보면 대개 연구결과가 규제 기준치를
넘고 있지는 않으나 계절적인 차이가 심하여 여름에는 그 기준치를 훨씬 상회하는
조사보고도 있다. THMs의 위해성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위해성 평가 결과
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 상수 중 THMs에 대한 정확하고 지속적인 조사결과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단위 위해도가 매우 높은 물질이라도 환경 내 농도가 극히 낮다면 극히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THMs와 같이 단위 위해도가 높으면서 환경내 농도가 비교적 높은 물
질에 대해서는 그 노출경로와 흡수률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그 노출량을 정확이 알
수 있어야 하고 따라서 환경 내 그 물질의 농도를 광범위 하고 지속적으로 감시 해야 하는 것이다. 또한 THMs는 정수처리과정중 전구물질에 의해서 생성되므로 그 전구물질을 제거 할수 있는 고도 정수처리법의 도입과 활성탄을 이용한 THMs의 제거 연구도 앞으로 계속해서 이루어 나가야 할 것이다.
Ⅵ. 참고문헌
음용수의 위해성 평가에 관한 연구 - Trihalomethane을 중심으로 -
박은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물 속 유기물 발생원에 따른 소득 부산물 생성 특성
최유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정수처리과정 중 트리할로메탄 유발 전구물질의 발생현황과 제거효율 평가
방석배 한국외국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기존 정수처리장에서 트리할로메탄 생성 및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송명은 동아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6
IAST를 이용한 NOMs의 활성탄 흡착특성 고찰
안상규 숭실대학교 산업기술정보대학원 2001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12.15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4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