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건축과 주거문화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국의 건축과 주거문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특징으로는 1층 거실과 2층 주인실 전면의 넓은 베이(Bay) 창이다. 햇볕이 잘 들지 않는 겨울철에 외부로 부터 빛을 실내 깊숙이 끌어들이는 역할을 한다.
< 세미 하우스의 실내 구성 >
전형적인 Semi-detached 하우스의 실내 평면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현관으로 들어서면 좌측이나 우측에 2층으로 올라가는 주로 일자형 계단이 있고 그 반대편에 거실이 위치한다. 계단과 거실 사이에는 주방과 다용도실로 가는 복도가 있다. 다이닝룸은 거실에 연장되어 주방과 접하며 파티오(Patio) 도어를 통해 정원으로 통한다. 1층은 주로 가족의 휴식과 단합을 위한 공용공간으로 구성된 반면, 2층에는 사적공간이 자리 잡고 있어 철저하게 사적공간과 공적공간이 분리되어 있다.
∞ 테라스 하우스 (Terraced House)
테라스 하우스는 17세기 후반부터 지어지기 시작한 형태다. 2세대가 측벽을 맞대고 한 지붕으로 연결된 세미 하우스(Semi-detached)와 달리 3세대 이상의 같은 평면 레이아웃(Mirror Image)으로 된 주택이 측벽을 서로 맞댄 형태다. 즉 하나의 통일된 디자인을 가진 각 세대가 그 길이의 길고 짧음에 상관없이 연속되어 있는 주택을 말한다. 측벽을 외부와 면한 첫 번째와 마지막 세대는 ‘End Terrace’라고 부른다. 앞에서 설명한 단독주택이나 세미 하우스보다 프라이버시 확보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테라스 하우스는 산업혁명 이후 1차 산업이 붐을 이루면서 인기 있는 주거 형태가 됐다. 많은 노동자들을 거주시키고자 도심지 내 좁은 대지에 효율적으로 건물을 지었는데, 이것이 바로 테라스 하우스다. 이후 테라스 하우스는 영국 전역으로 급속히 퍼졌으며 2차 세계대전까지 고밀도 주거 주택의 일반 형태로 알려졌다. 테라스 하우스의 외형적 특징은 폭이 좁고 깊이가 긴 직사각형 형태가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으며 적게는 4∼5세대, 많게는 20∼30세대까지도 지붕과 건물이 하나로 연결돼 있다.
∞ 타운 하우스(Town house)
역사적으로 영국의 타운 하우스는 대도시 또는 수도권에 있는 귀족이나 상류층이 살던 고급스러운 주거 형태였다. 이러한 상류층 대부분은 도심 외곽에 1채 이상의 대저택(100∼1000에이커의 부지 포함)을 소유하고 1년 중 대부분을 그곳에 거주했으며, 국회 소집 등 사교활동이 요구되는 기간 동안에만 도시의 타운 하우스에 머물렀다.
형태적으로 타운 하우스는 테라스와 구별하기 힘들며 실제로 타운 하우스를 테라스하우스라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타운 하우스는 주로 3층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서 2층이 대부분인 테라스 하우스와 구분된다. 타운 하우스는 대개 1층에 차고와 주 출입구가 있고 세미 하우스와 마찬가지로 출입구를 다른 세대와 공유하지 않으며 각 세대마다 출구가 별도로 있다.
재미있는 사실은 오늘날 영국의 주택개발업자나 부동산 중개업체들은 새로 지은 테라스하우스를 타운하우스하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아마도 요즘 사람들의 생각 속에 아직도 테라스 하우스는 그 옛날 노동자들을 위한 주거 형태라는 고정 관념 때문에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어렵다는 이유에서일 것이다. 영국의 대표적인 타운하우스를 꼽으라면 토니 블레어 총리가 사는 런던 다우닝가(Downing Steet) 10번지를 들 수 있다.
< 타운하우스의 실내 구성 >
출입구로 들어서면 긴 복도를 중심으로 서재와 화장실, 다용도실이 배치되어 있고, 주로 다용도실에 정원으로 나가는 문을 냈다. 2층에는 테라스가 있는 거실, 주방 및 다이닝룸이 있으며, 각 실마다 출입문이 달린 것이 특징이다. 주방과 거실은 대부분 벽이나 출입문으로 막힌 구조다. 3층에는 침실과 가족용 욕실이 자리 잡고 있어 공용공간으로부터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 방갈로(Bungalow)
우리나라에서 방갈로(Bungalow)라고 하면 흔히 주말주택이나 여가와 휴식을 위한 펜션을 떠올린다. 하지만 영국에서는 면적이나 형태에 관계없이 1층으로 된 주거 형태를 통틀어 방갈로라고 일컫는다. 이런 주택은 전통적으로 건물의 규모가 작으며 대부분 단독주택이다. 방갈로는 필요한 모든 주생활 공간이 한 층에 집약돼 있고 계단이 없다는 점에서 매우 편리한 주거 형태로 알려져 있다. 특히 휠체어 출입이 가능한 환경으로 내부를 쉽게 바꿀 수 있다. 영국에서는 주로 움직임이 불편한 노인과 휠체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사람들 또는 은퇴한 노부부에게 인기 있는 주거 형태다. 방갈로는 도심지에서는 찾아보기 힘들며 주로 도심 외곽의 조용하고 한적한 곳에 위치한다.
∞ 플랏(Flat)
우리나라의 연립주택, 다가구주택, 아파트에 해당하는 주거 형태를 영국에서는 ‘플랏(Flat)’이라고 부른다. 1층에 있는 주 출입구와 각 층으로 연결된 계단을 통해 진입한다. 교외에 있는 플랏은 2, 3층 정도로 낮은 건물이 대부분이며, 외관은 일반 단독주택처럼 모양도 다양하고 특징이 있다. 고층 플랏이 생겨난 이유는 전반적인 주택 공급은 계속 늘어났지만 주요 도시로의 지속적인 인구 유입과 핵가족화 등으로 도심지의 주택 공급 부족 현상이 상시적으로 낫기 때문이다. 런던과 같은 대도시에 오래 전에 지은 고층 플랏(특징이 없는 평범한 박스 형태의 콘크리트 블록)은 일반 다른 주택보다 렌트비가 저렴하다. 이러한 이점 때문에 생활이 넉넉지 못한 사람들이 주로 거주하면서 건물 관리가 전혀 되지 않아 점점 슬럼화되어 각종 범죄가 끊이지 않고, 이로 인한 도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와는 다르게 최근 새로 개발되는 도심지의 중·고층 플랏은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맞게 실용적인 디자인과 고급스러운 실내 마감 등으로 차별을 두어 주로 전문직종에 종사하는 젊은 커플 또는 싱글족이 선호하는 주거 형태가 됐다. 기존 도심 외곽의 정원이 있는 주택에 비해 비싸지만 그 수요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 참 고 문 헌
최희섭,한일동/영국문화 바로알기/동인/2007
노만포스터/현대 영국 건축/미건사/1992
이식/영국 바꾸지 않아도 행복한 나라/리수/2007
신영숙/주거와 문화/신광출판사/2004
윤복자/세계의 주거와 문화/신광출판사/2000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9.12.30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07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