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추추간판탈출증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요추추간판탈출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기간 및 방법

Ⅱ. 본 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 개인력
- 신체 검진
- 진단검사
- 수술과정
- 수술후간호
- 입원중 처치
3. 간호과정

Ⅲ. 결 론
1. 연구결과 정리
2. 실습 소감

본문내용

부불쾌감, 급격한 혈압저하, 호흡곤란
만성간질환에서의 간기능 개선, 비타민B2 결핍에 의한 질환
아목시썰탐주
2 via
아목시실린 나트륨 및 설박탐 나트륨으로서 150mg을 매 8시간 마다 IV, IM
오심, 구토, 설사, 식욕부진, 상복부통, 위막성 대장염,복통, 빈번한 설사
황색포도구균, 표피포도구균, 부생포도구균, 화농성 연쇄구균, 폐렴연쇄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대장균
중외생리식염주사액 1 amp
보통 20-1000ml 를 SC,IV
대량 급속 투여에 좌해 울혈성 심부전, 부종, 산증, 혈청 전해질 이상
수분결핍시의 보급, 전해질 (Na, Cl)결핍시의 보급, 주사제의 용해희석제
< 약물요법 >
약물명
용량/용법
용량/용법
예상부작용
효과
고덱스캅셀 2 cap
보통 성인 1회 2캅셀, 1일 2-3회 복용한다. 연령, 증상에 따라 증감
때때로 가려움증, 드물게 발진
트란스아미나제
(SGPT)가 상승된
간질환
우소산정 1 tab
성인 1회 50-100밀리그람을 1일 3회 경구 투여
때때로 설사, 구역, 구토, 드물게 복통, 변비, 가슴쓰림, 위부불쾌감
담즙분비 부전으
로 오는 간질환,
담도(담관, 담낭)
계 질환, 만성 간
질환의 간 기능
개선, 고지혈증,
담석증
3. 간호과정
간호진단
#1. 동통으로 인한 안위의 변화
사정
객관적 자료 : 체온: 37.2˚C 맥박: 82회 호흡: 20회
혈압: 120/80
붉어진 피부색
고통을 이기려고 눈을 감고 인상을 씀.
주관적 자료 : “아 아파요”
“말하기 귀찮아요.
“가슴이 답답해”
간호목표
안위가 증진된다.
간호계획
1. 환자의 체위변경을 2시간마다 실시한다.
2. 침상과 환경을 잘 정돈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킨다.
3. 등 마찰 등, 이완요법 제공한다.
4. 개인적으로 선택해 온 유용한 동통 완화방법이 있다면 이 방 법의 사용을 격려한다.
5. 수술부위를 잘 지지한다.
6. 처방된 진통제 투여한다.
간호수행
1. 환자에게 침대에서 앉기를 수행했다.
2. 책을 보면서 안정을 찾으신다.
3. 수면 시에 조명을 어둡게 하고, 소음을 줄였다.
4. 수술부위를 되도록 지지하라고 교육하였다.
평가
효과적인 동통완화법을 스스로 적용한다.
간호진단
#2. 카테터 삽입 및 수술부위 상처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사정
객관적 자료 : 2009년04월27일(OP) foly catheter 삽입, hemovac 삽입.
하루에 한번 드레싱 실시함.
28일 수술부위 oozing이 있음.
주관적 자료 : “아 불편하고 모든 쫌 편하게 눕고 싶어요.
“이관은 대체 언제 빼요?”
간호목표
피부손상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다.
간호계획
1. 수술부위에 발적, 발열 등 감염증사이 나타나는지 1회/Day이
상 관찰한다.
2.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3. 드레싱이나 상처간호를 실시할 때 무균법을 지킨다.
4. 수술부위와 상처부위는 항상 건조하게 유지한다.
5. 환자와 보호자에게 발적, 발열 등 감염증상에 대해 설명한다.
6. 필요시 처방된 항생제나 해열제를 투여한다.
간호수행
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AM10:00
PM12:00
PM2:00
PM4:00
BP
110/70
120/80
110/70
110/60
BT
36.7
36.1
36.5
36.6
2. 드레싱이나 상처 간호 시 무균법을 지켰다.
3. 환자와 보호자에게 피부손상위험성 대해 설명했다.
(손톱은 짧게 깎고 손은 청결하게 유지한다. 가려운 부위는 비누 사용을 금지한다.)
평가
정기적으로 드레싱을 해주고 피부손상에 대한 교육 결과 주변피부가 깨끗하고 대상자도 더 이상 불편감을 느끼지 않았다.
간호진단
#3. 합병증과 관련된 불안
사 정
객관적 자료 : 호흡수는 20회 이지만 불규칙하다.
BT가 수술직후 36.9에서 6pm에 37.2도로 올랐다.
주관적 자료 : “아 왜이러지 열 나면 안되는데..”
“기침이 잘 못해요”
간호목표
합병증에 대해 이해하고, 불안감을 해소시킨다.
간호계획
1. 합병증 대한 교육을 해준다.
2. 불안해소를 돕기 위해 환자와 대화를 한다.
3. 불안감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4. 불안의 정도를 사정한다.
간호수행
1. 합병증의 종류와 예방을 위한 교육을 해주었다.
2. 시간이 날 때 마다 병실에 방문하여 대화를 하였다.
3. 불안의 정도가 < 6 > 으로 나타났다.
평 가
합병증에 대해 이해하셨고, 대화로 인해 다른 화제 제공으로 불안이 감소 되었다.
Ⅲ. 결론
이상의 사례보고서의 대상자인 19세 김ㅇㅇ씨는 추간판 탈출증환자로서 환자는 가족력은 없으나 1년 6개월 전부터 허리가 자주 아프며 양반다리를 할때마다 허리가 저리는 통증을 느꼈다고 한다. 환자는 군입대 후 허리통증이 심해져 본원 신경외과를 통해 op를 위해 입원 하셨다.
흔히들 말하는 디스크라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은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나쁜생활 습관과 불량한 자세로 인해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서 섬유륜의 파열로 수핵이 일부 또는 전부가 정상적인 위치를 탈출하여 척수의 경막이나 신경근을 압박하여 신경증상을 유발하는 질환으로 환자분은 PHL with discectomy L4-5,L5-S1 수술을 하신 후 OP 11일째로 많이 회복하셔서 5월 11일 퇴원할 예정이다.
대상자의 증상과, 상황에 가장 적합한 간호진단을 3가지 내리고 체계적인 간호과정을 계획하였다. 간호진단은“동통으로 인한 안위의 변화”, “카테터 삽입 및 수술부위 상처와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합병증과 관련된 불안”이렇게 3가지로 내리고, 이에 알맞은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간호를 수행하였다.
지금까지 수행한 간호가 환자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라면서 본 사례연구를 마칩니다.
※참고 문헌
1. 신뢰할 수 있는 1000만 건의 고급자료
2. http://www.druginfo.co.kr/
3. 홍영혜 외 다수공저(2006. 7) : “간호과정과 비판적사고”
4. 영한 의학사전 (1999): 이병희 외 , 서울: 수문사
5. 이향련 외 다수공저(2008. 1) : “성인간호학 Ⅰ”, 서울: 수문사
6. www.naver.com
7. www.kimsonline.co.kr
8. 강남연세신경통증의원 의학정보
  • 가격2,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0.01.08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26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