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겨루기의 기본원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태권도 겨루기의 기본원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태권도의 경기화

2.태권도 경기의 과학화

3.태권도 겨루기의 정의

4. 태권도 겨루기 시 유의사항

본문내용

, 자기 자신을 조정하기까지의 아주 짧은 순간을 얼마나 유효하게 이용하느냐 하는 것이 문제이다.
리듬 (Rhythm)
리듬은 공간적 조정이라 할 수 있으며 Timing과 깊은 관계가 있다. 겨루기에서 공격할 때 하고 뒤로 빠질 때 빠져야 한다는 것이다. 공격일변도의 겨루기와 수비일변도의 겨루기는 효과적인 겨루기가 되지 못하며 상대에게 역습을 당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공격 시에는 태풍과 같이 공격하고 피할 때는 재빨리 피해줘서 상대방이 작전할 수 없도록 하면 본인의 기술이 노출되지 않는다. 겨루기는 상대의 심리를 빨리 읽을 수 있으면 유리하다. 상대방이 공격할 때 받아 차기와 역습을 하고 상대가 허점이 보일 때 공격하면 승기를 잡을 수 있다.
템포 (Tempo)
때의 선택은 공격의 성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겨루기에서 어떤 공격이나 방어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극히 짧은 시간을 템포라고 부른다. 평상시 연습 과정에서 호흡을 내뱉는 순간을 한 순간으로 해서 호식의 시간과 동작의 시간을 일치시켜 가면서 서서히 호식을 짧게 하는 동시에 동작이동이나 차기동작을 호흡에 일치 시키면 나중에는 '읍'하는 순간적 기합에 큰 힘과 섬광과 같은 기술이 나올 수가 있는 것이다.
페인트 (FEINT)
페인트는 눈이나 손발 그리고 몸 전체를 이용하여 공격하는 것처럼 상대방을 속이는 것으로 상대의 방어동작에 허점을 만들어 효과적인 타격에 이용하려는 것이다. 페인트를 사용할 때 주의할 점은 Footwork에 의한 상대공격시 피할 수 있고 방어할 수 있는 능력이다. 페인트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그것이 공격행위처럼 상대방이 인식하고 어떤 동작을 강제하지 않는 한 아무런 역할도 하지 못한다.
풋웍 (Footwork)
선수의 테크닉은 Footwork가 좋고 나쁨에 달려있다. Footwork의 기동성과 Speed가 주먹지르기와 발차기의 Speed를 선도하는 것이며, Footwork의 최고수단은 발차기와 주먹지르기의 통합이다.
5) 발 뒷꿈치를 드는 이유
① 펀치를 가할 때 체중을 재빨리 옮길 수 있다.
② 펀치를 가했을 때의 충격은 뒷꿈치로서 몸을 가라앉히는 Spring작용으로 감소된다.
③ 뒷발의 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6) 겨루기의 기본 실행 원칙
① 상대를 알고 나를 안다.
② 방어는 공격보다 유리하다.
③ 공격은 최선의 방어이다.
④ 빠른 동작이 필요하다.
⑤ 곡선운동보다 직선운동이 유리하다.
⑥ 무거운 것이 유리하다.
⑦ 긴 것이 유리하다.
⑧ 낮은 자세가 유리하다.
⑨ 집중적 행동이 필요하다.
⑩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동작이 필요하다.
과도한 긴장을 해소해야 한다.
자신의 허점을 역이용한다.
연구심과 지혜로 겨룬다.
7) 공격의 찬스
상대가 공격하려고 하는 순간, 상대의 공격이 끝난 순간
멈추었을 순간, 망설이는 순간, 물러가는 순간, 들숨하는 순간
- 순간적인 힘과 기백은 호흡에서 숨을 내뿜는 순간에 나온다. 숨을 들이 마실 때는 힘이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민첩성 및 순발력이 결여된다.
6.태권도 겨루기 시 공격의 기회
1) 상대가 공격하려는 순간
상대가 공격하려하는 순간은 운동역학적으로 무게중심이 앞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때 상대가 완전한 방어 자세를 갖추지 못하므로 공격의 찬스가 되어 득점할 수 있는 것이다.
2) 상대가 공격이 끝난 순간
상대가 공격이 끝난 직후에는 다음자세로 전환하기위한 중간 자세가 생기므로, 이 순간 방어 자세를 갖추지 못하고 흐트러져 있는 상대를 공격하면
득점할 수 있다.
3) 상대가 공격의 타이밍을 잡지 못해 주춤할 때
상대가 선제공격을 목적으로 기술을 적용하려고 할 때 상대는 받아차기 시술에 대하여 전혀 예상치 못하므로 공격의 타이밍을 잃고 망설이게 된다. 이때 순간적인 공격으로 득점할 수 있다.
4) 공격자의 선제공격에 상대가 밀려나는 순간
선제공격에 상대가 정확한 방어와 방향을 잡지 못하고 뒤로 밀려 나가는 순간 또 다른 공격 찬스가 만들어 진다.
5) 상대의 중심이 흐트러지는 순간
상대가 공격에 의한 타격이나 자신의 부정확한 공격기술로 무게중심을 잃고, 정확한 방어 자세를 갖지 못할 때 공격의 찬스가 되어 득점할 수 있다.
6) 호흡을 들어 마실 때(흡기, 들 숨)
흡기(숨을 들어 마실 때)할 때 인체는 힘이 빠진 상태가 되므로 근육이 이완되어 순발력과 민첩성이 떨어져 공격의 찬스가 된다.
7.태권도 겨루기의 기술적 요인
1) 공격기술
①거리 : 겨루기 상황에서 득점을 내기 위해선 상대를 끌어내리는 다양한 거 리 조절능력이 요구된다. 거리의 조절능력은 바로 득점력이다.
②속도 : 겨루기 상황에서 상대공격을 저지시키고, 공격 방향의 흐름을 끊기 위해선 빠른 속도가 필요하다. 속도 차역시 승패를 결정하는 요인이다.
③반응유형 : 상대의 습관적인 공격패턴의 움직임과 특기의 기술을 빠른 정 보로 받아들여 이해하고(시합 전, 시합 중), 경기를 유리하게 이끌어 간다.
④연결공격유형 : 상대 공격유형을 분석하고, 자신의 특기 발차기와 미약한 발차기 기술을 보강하여 세밀히 준비한다.
⑤라운드별 유형 : 상대의 라운드별 유형과 체력을 분석하여 상대 패턴을 깨 트리는 전술을 준비한다.
2) 반격기술
①상대공격의 기술유형 : 공격기술의 흐름을 파악하여 신속히 대처하고, 즉 각적으로 반격하거나 흐름을 끊도록 한다.
②반격의 타이밍 : 본능적 감각 반응과 타이밍을 만들어 내어 유리한 전술의 바탕이 되도록 한다. 이는 차고 붙고 사이드로 빠지는 빠른 스텝에 의한 움직임이 필요하다. 그리고 피나는 훈련에 의한 동물적 감각이 수반된다.
3) 연결기술
①상대의 거리 : 공격과 방어 사이에 연결기술로 득점 확률을 높인다.
상대의 방응을 끌어내고, 밀어내는 적절한 거리 조절이 필요하다.
②상대의 자세 : 경기 시 연결해서 공격과 방어를 할 때 상대의 자세에 의해 찬스가 결정된다. 상대의 무게중심과 서기 자세를 고려한다.
③상대의 습관적 기술 반응 : 경기 시 연결기술 진행 중 상대방의 습관적 반 응 패턴을 파악해 득점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 1.태권도 지도서
2.우리 태권도의 역사
3.무도론 강의노트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0.01.1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2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