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의 중국사(사쿠라다 아츠히데, 강원대학교 출판부 번역) 레포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장성의 중국사(사쿠라다 아츠히데, 강원대학교 출판부 번역)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프롤로그 - 장성(長城)은 왜 만들어졌을까?

제1부 - 진의 시황제와 장성

제2부 - 역대의 장성

제3부 - 명대의 장성 - 점선에 선으로

제4부 - 명의 장성 - 충실과 종언

에필로그

본문내용

적대와 합쳐져 모두가 벽돌로 구축된 것처럼 변장의 모양이 나타났는데, 이것이 현재의 만리장성이 되었다.
산해관은 장성을 따라서 만들어진 대규모 물자보급과 군대주둔을 목적으로 수축된 관성의 하나이다. 산해관 주위를 둘러싸며 겹겹이 축성된 성벽을 포함하면 그 장대한 규모는 다 표현할 수 없다. 이 산해관은 확실히 ‘천하제일관’의 이름에 어울리게 난공불락이었다.
순치제는 북경을 수도로 정함으로써 중화제국으로서의 청나라가 시작되었다. 이 단계에서 명나라 시기 여러 가지로 궁리를 모아 새로운 기법을 도입하여 축조된 변장은 그 역할을 다하였다. 이것은 동시에 중국에 있어 장성의 역사가 끝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였다.
에필로그
학교를 통학하기에 長城의 中國史(사쿠라다 아츠히데, 강원대학교 출판부 번역)라는 책을 읽는데 일주일정도의 시간이 걸렸다. 집을 오고가는 기차에서, 집에 와서 1~2시간씩이기에 많은 부분이 생각나진 않는다. 하지만 책을 읽으며 왕의 업적 중심, 왕의 교체, 나라간의 침략, 전쟁, 국가의 흥망, 시대별 문화적 발전과 유산 등의 주가 되는 다른 중국사 책들과는 다른 관점에서의 중국사를 볼 수 있었던 것 같다.
또한 수업시간에 봤던 진시황제의 다큐멘터리도 생각나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시간도 갖게 되었다.
책을 읽으며 관심을 갖게 되다보니 인터넷을 통해 만리장성, 자금성 등 사진도 찾아보게 되었는데 만리장성은 세계적인 문화유산이자 관광지답게 장엄하고 놀라웠다.
군대를 제대한지 오래되지 않아서 작업을 해서 무언가를 만들고 하던게 얼마나 힘들었던지 생각났는데 만리장성 그 큰 장성을 쌓으며 그 당시의 장성을 쌓던 민중들은 얼마나 힘이 들었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중국은 오래전부터 티베트를 대상으로는 서남공정을, 위구르 지역의 서북공정을 내세우고 있으며, 대한민국, 일본, 몽골, 러시아 등 동북아 문화공동체 안에 있는 나라들 사이에는 중국이 내세운 동북공정 때문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동북공정은 단지 고구려 역사를 중국에 편입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21세기를 향한 중국의 거대한 국가전략의 시각에서 바라보고, 우리 나름대로의 합리적이고 철저한 대응책을 강구해야 할 것 같다.
평소 소설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데 비록 레포트를 위해 읽었지만 여러 가지로 중국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쏟아지는 시기에 좋은 책을 읽을 수 있었던 것 같다. 중국의 역사를 다른 시각에서 보게 해 준 유익한 책이었던 것 같다.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0.01.11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3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