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라제버거의 마케팅과 전략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환경 분석
3. SWOT 분석
4. STP 분석
5. 4P 분석
6. 핵심전략 분석
7. 향후 방안
8. 최종 결론

본문내용

유도 있겠으나 가장 큰 이유는 열정이 넘치는 기업 문화와 동시에 인센티브 제도가 한 몫 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우선 할인 제도 위주의 마케팅이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낮은 인지도를 향상시키기위해 고객들에게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자함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프로모션을 통해 만족한 고객들을 재방문 고객으로 확보하였을 경우 증가하는 매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몸은 매장에 있지만 마음은 압구정 이 곳 저 곳을 뛰어다니고 있다"는 압구정 CGV점 점장님의 말씀처럼 단순히 본사에 소속(채용)되어 있는 직원의 마음가짐이 아닌, 인센티브 제도를 통한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행동을 가능하게 하는 동기 부여를 심어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7. 향후 방안
(1) 기존 마케팅의 강화를 통한 브랜드이미지 컨셉 구축
기존 마케팅의 Kraze Green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진행함으로써 브랜드 인지도를 계속 높이는데 주력한다. 아직 국민의 80% 이상이 프리미엄버거를 접해보지 못했지만 최근 프리미엄버거 컨셉의 신규 브랜드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으며, 기존의 패스트푸드 업체들도 프리미엄급 버거를 만들고, 만들어 낼 계획을 가지고 있다. 새로운 시장을 개척한 만큼 크라제라는 브랜드를 키워 이미지 파워를 이용한 진입 장벽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경쟁사들이 생겨난다는 것은 그만큼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아직 전체 햄버거 시장 규모에서 프리미엄버거 브랜드들의 총 시장 점유율은 5%정도에 그치지만 점유율은 계속 성장할 것이며, 경쟁은 치열해 질 것이다. 선두주자로서 우위를 점한 만큼 브랜드 강화를 통해 프리미엄버거 업계 1위의 자리를 고수해야 할 것이다.
(2) Dining Restaurant, KRAZE BURGERS
KRAZE BURGERS의 주 타겟 고객은 직장을 다니는 여성이다. 이들은 자기성취욕이 높으며 자신에 대한 투자를 많이 하는 등 경제적으로 구매력이 높은 층으로 쇼핑과 해외여행 등 감성적인 만족을 위한 소비행위를 한다. 이들은 일반여성들보다 가치 있는 고가 상품을 구입하는데 적극 적이므로 이들을 타겟으로 삼았다면 보다 럭셔리하고 트랜디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될 것이다. 따라서 그 동안 크라제버거는 저가 메뉴나 10% 이상의 할인을 제공하지 않는 등 고가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크라제버거는 자신은 패스트푸드의 범주에 속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크라제버거는 대부분의 고객이 가지고 있는 ‘크라제버거는 고가의 패스트푸드다.’ 라는 인식을 전환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선 DININING RESTAURANT의 성격을 강조하는 것이 필요하다. DINER KRAZE 매장의 홍보 비중을 늘리거나, 기존 매장에 DINER KRAZE의 메뉴를 도입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또한 오더를 받는 그 즉시 조리에 들어가는 dining restaurant의 조리 체계를 가지고 있는 점을 강조하여 크라제버거는 패스트푸드점이 아닌 dining restaurant이라고 홍보할 수 있을 것이다.
(3) 미디어믹스를 통한 브랜드인지도 극대화
다양한 매체를 통해 브랜드 홍보를 하는 시도가 요구된다. 크라제가 그 동안 주력했던 인터넷과 신문기사를 통한 MKT도 좋았지만, 그 두 매체가 소비자들이 크라제버거를 방문하도록 유도하는 주된 요인이 되었다고 하기엔 노출수면에서나 집중도면에서 영향력이 취약했다고 여겨진다.
크라제는 홈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지만 소비자가 직접 사이트나 매장을 방문하여 그 정보를 얻지 않으면 그러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는지 조차 알기 어렵다.
따라서 좀 더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최대의 광고 효과를 낼 수 있는 미디어믹스 개발이 필요하다.
8. 최종 결론
햄버거는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간단하고 빨리 먹는 간식 정도로 소비자들에게 인식되어져 왔다. 특히 크라제버거의 브랜드 런칭 당시에는 경제적 어려운 IMF 시절이었고, 고가의 프리미엄 햄버거의 런칭은 무모한 도전이라는 주위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IMF를 졸업하며 경제적으로 국민소득이 향상되어 생활수준이 상승됨에 따라 패스트푸드에 보다는 건강을 생각하는 슬로우 푸드를 소비자들은 원하기 시작하였고, 햄버거 또한 일반적인 것(정크 푸드)과 다른 형태가 필요하다는 고객의 욕구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래서 이러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겨난 제품이 우리 고유의 브랜드인 바로 크라제버거이다. 때마침 시대에 웰빙 열풍이 불면서 일반 햄버거 업계 선두 주자인 맥도날드나 버거킹은 패스트푸드의 정크 푸드라는 이미지로 많은 타격을 입었지만, 오히려 크라제버거는 웰빙 푸드라는 프리미엄으로 소비자들에게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으며 성장해 나가기 시작했다.
경쟁업체들이 대부분 정크 푸드였기 때문에 크라제버거는 경쟁업체의 약점을 강점으로 변화시켰다. 그 예로 신선한 야채와 질 좋은 패티를 사용하고 오픈 키친으로 고객들에게 신뢰감을 형성하는데 성공하였다. 최근에는 미국산 쇠고기의 광우병 파동을 의식하여 소비자들에게 크라제버거는 호주산 쇠고기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광고하며 소비자들의 신뢰감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젊은층의 문화 감성 마케팅(명품화 전략)으로 두터운 매니아층을 확보하고, 소비 타켓으로 잡은 강남 여성 고객들의 마음을 사로잡는데 성공하여 매출 신장에 큰 기여를 하였다.
이처럼 위기를 기회로 보고 레드오션 분야인 햄버거 시장에서 기존의 다국적 기업들의 매출 하락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하여 10여 년 동안 두터운 고객층을 바탕으로 매출 상승과 20여개에 이르는 점포들로 확장하였다. 이처럼 사회 트랜드를 선도하고 블루오션을 개척함으로써 웰빙 외식 업체의 선두 주자로 올라선 크라제버거의 행보에 주목해 보겠다.
<참고자료>
www.kraze.co.kr
www.foodnews.co.kr
www.foodbank.co.kr
month.foodbank.co.kr
www.hotelrestaurant.co.kr
www.mk.co.kr
www.munhwa.com
www.moneytoday.co.kr
www.e-today.co.kr
www.hankyung.com
www.newsis.com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1.19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6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