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와 생태관광에 대하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DMZ와 생태관광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관련기사 및 조사배경.

Ⅰ.서론
ⅰ.생태관광의 개념
ⅱ.DMZ의 개념

Ⅱ.본론
ⅰ.DMZ관광개발의 배경 및 여건
ⅱ.국내민간여행사 관광현황
ⅲ.정부정책 및 지원
ⅳ.국외생태관광사례 및 시사점
ⅴ.DMZ관광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및 SWOT분석

Ⅲ.결론
ⅰ.DMZ 생태관광 활성화 방안

※참고자료

본문내용

서는 수요와 공급 양 측면에서, 그리고 수요와 공급을 매개하는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의 공급과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함. 또한 이를 위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다각적인 기반조성이 필요함.
공급 : 지속가능한 개발 및 관리 체계 확립
- 공급 측면에서는 지속가능한 생태관광 계획, 개발, 관리 체계를 확립해야 함. 지역사회가
주도하는 지역사회 중심형 생태관광이 최선의 방안이지만, 우리의 현실여건상 지방자치단
체가 지역 내외부의 역량을 결집하여 실질적인 계획, 개발, 관리를 주도할 수밖에 없음.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안목과 능력이 모두 같지 않고 생태관광은 원칙과는 달리 부정적
영향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정부와 시도는 촉진자와 규제자의 역할을 균형 있게 수행
해야 함. 현재 문화관광부, 환경부 등 각 부처에서 추진하고 있는 생태관광자원 활용 및
조성 사업을 확대하되, 전방위적 관광영향 관리체계를 먼저 구축해야 함. 이를테면 친환경
적 입지 선정, 환경에 미치는 영향 및 관리대책, 사후 관리운영 계획, 주민소득 증대방안
을 포함한 지방자치단체의 생태관광자원 개발 사업에 대해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함. 그리
고 생태관광의 모범사례(best practice)를 발굴하고 육성해야 함.
수요 : 지속가능한 생태관광 활동 유도
- 수요 측면에서는 건전 관광문화를 확립하여 지속가능한 생태관광활동을 유도해야 함. 급속한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왜곡된 우리의 관광문화 현실은 아직 올바르게 정착해 있지 못함. 소비자의 관광문화가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패턴으로 변화하지 않는 한 공
급자들은 아무리 환경적으로 건전하더라도 팔리지 않는 관광상품을 개발할 수는 없는 것
임. 역으로 친환경적인 관광지나 관광시설을 선택적으로 방문하는 등 건전 관광문화가 확
립되면 공급자들은 이익 창출을 위해 자발적으로 지속가능한 개발에 동참할 것임.
- 지속가능한 생태관광 활동의 확산은 정부만의 노력으로는 한계가 있으며, 오히려 시민단체와 언론매체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함. 따라서, 생태관광객의 행동 지침 및 생태관광산업의 녹색경영 지침 등을 제정하여 지속가능한 관광문화를 창출하기 위한 정부와 민간단체간의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함.
- 환경적, 문화적으로 취약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생태관광자원은 훼손가능성이 높을 뿐만아니라 한번 훼손되면 원 상태로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관광객과 관광사업자의 책임있는 행동이 무엇보다 중요함.
매개 : 신뢰성 있는 정보 제공
- 공급과 수요를 매개하는 측면에서는 신뢰성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의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상품 선택을 유도해야 함. 특히, ‘무늬만 생태관광’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생태관광상품 인증제를 도입해야 함. 인증제는 생태관광수요의 길잡이도 될 뿐
아니라 공급의 수준도 끌어올리는 계기가 될 수 있음. 수요자들은 인증을 획득한 상품을
선택하여 방문할 것이고 공급자들은 인증을 획득하기 위해 노력할 것임. 결국 지속가능한
관광상품 개발을 촉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하지 않는 관광상품은 시장에서 퇴
출당하게 하여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동시에 촉진할 수 있을 것임.
- 인증제는 호주의 ‘자연 및 생태관광 인증 프로그램(NEAP)’ 사례처럼 민간부문에서 자
발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이상적임. 우리나라의 경우 정부가 먼저 주도적으로 시행하고 여
건이 성숙되면 민간부문으로 전환하는 것이 현실적인 방안임. 물론 인증제는 생태관광업계
166 DMZ 일원 자연환경보전 및 생태관광 추진방향 설정연구의 영세성 등 우리의 현실여건상 오히려 시장진입의 장벽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아직 시기상조라고 보는 시각에 동감함. 생태관광 행동규범(code of conduct),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상품 수상제도(awards) 등을 먼저 시행할 필요가 높음.
생태관광 활성화 기반 조성
- 정부와 시도의 기본적인 책무는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 일임. 첫째,
DMZ 일원의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에 대한 조사연구를 강화해야 함. 세계 여러 지역에서
생태관광의 주요 실패요인으로 잠재관광객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고 상품의 질적 수준이 낮
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음. 우리 지방자치단체는 대체로 지역에는 수려한 산과 계곡, 바다
가 있고 지금도 많은 관광객들이 이 곳을 찾아와 감탄을 하는데 개발만 하면 많은 사람들
이 방문할 것이라고 쉽게 생각함. 훌륭한 상품만 개발하면 관광객이 저절로 찾아오던 시대
는 이미 오래 전임. 따라서 지역 내부의 시각이 아닌 잠재 관광객의 관점에서 질 높은 상
품을 계획하고 개발해야 함. 상품의 질이란 잠재관광객이 기대하는 경험을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함. 생태관광객들이 기대하는 것은 조망대나 생태공원 등 물리적 시설이 아니
라 특색있고 매력적인 생태자원과 경관, 지방색과 이야기, 과학적 지식을 곁들인 안내와
해설, 참여와 체험 등 총체적 경험임. 따라서, 생태관광 소비자 연구, 습지 등 환경이 민
감한 지역의 관광객 특성과 행동 등에 대한 조사연구를 강화하여 자원 및 상품개발을 측면
지원해야 함.
- 그리고 자연자원 및 관련 문화자원을 해설하는 생태관광 가이드를 육성해야 함. 생태관광
을 구별 짓는 고유한 특징은 관광객에게 생태관광자원에 대한 교육 및 해설적 경험을 제공
하느냐 하는 것임.
- 또한, 지방자치단체 관광 및 환경 담당 공무원들의 생태관광 계획 및 집행 능력을 제고하
고, 지역주민 및 업계의 생태관광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
※참고자료
http://economy.hankooki.com/lpage/society/200811/e2008111417111093760.htm
http://news.mk.co.kr/outside/view.php?year=2008&no=690609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98&aid=0002006586
http://www.dmztourkorea.com/
http://www.dmzcamp.com/
99경보전및생태관광추진방향설정-성현찬(경기개발연구원/2007.1)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0.01.2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